$\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새만금 방조제 외측 고군산군도 지역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Gogunsan Islands outside the Saemangeum Dik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5 no.2, 2011년, pp.156 - 165  

김주희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고용덕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김영식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남기완 (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군산군도의 해조상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7개 정점을 선정하여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계절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고군산군도에서 출현한 해조류는 총 58종으로, 녹조식물 10종, 갈조식물 16종, 홍조식물 32종이 채집 동정되었으며, 그 중 11종은 연중 출현하였다. 평균 생물량은 Sinsido 1 정점에서 213.8 g $m^{-2}$, Sinsido 2 정점에서 143.1 g $m^{-2}$, Sinsido 3 정점에서 133.3 g $m^{-2}$, Munyeodo 정점에서 164.0 g $m^{-2}$, Seonyudo 정점에서 116.9 g $m^{-2}$, Jangjado 정점에서 145.1 g $m^{-2}$으로 Sinsido 1 정점에서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였으며, Sinsido 4 정점에서 최저 생물량을 나타냈다. 생물량에서 우점종은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구멍갈파래(Ulva pertusa), 톳(Sargassum fusiforme) 및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이었으며, 지충이는 전 계절에 걸쳐 가장 높은 생물량을 보여 이 지역 대표종으로 확인되었다. 이 지역의 6개 기능형군은 성긴분기형(46.6%), 사상형(27.6%), 엽상형(17.2%), 다육질형(3.4%), 유절산호말형(3.4%), 각상형(1.7%)군으로 구분되었다. 해조류의 지역적 특성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C/P, R/P 그리고 (R+C)/P값은 각각 0.33~0.75, 1.11~2.50, 1.47~3.25이었다. 종다양도지수(H')와 우점도지수(DI)로 본 고군산군도의 해조군집 안정도는 '불안정'하고 환경상태는 '나쁜것'으로 나타났다. MDS와 군집분석 결과, Sinsido 2, Sinsido 3, Seonyudo, Munyeodo로 이루어진 그룹, Sinsido 1, Jangjado로 이루어진 그룹, 그리고 Sinsido 4로 이루어진 총 3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암반이 적어 해조류가 빈약하였던 Sinsido 4는 다른 정점과 유사도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selected seven sites for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nd investigated seasonally from December 2008 to November 2009 in Gogunsan Islands, the west coast of Korea. A total of 58 species including 10 green, 16 brown and 32 red algae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mong these spe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새만금 방조제 건설에 따라 변화가 예상되는 이 지역 해조류의 생물량, 수직분포, 종 다양성 분석 및 군집분석 등 정량적인 연구에 주안점을 두어 이 지역 해조군집의 특성을 보다 명백히 하고, 추후 시간적 경과에 따른 해조상 변화를 확인하며, 잠재적 유용 해조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및 보존,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의 활용성은? 많은 해양생물 중에서 연안에 서식하는 해조류는 기질에 부착한 이후 사멸하기 전까지 한 곳에 서식하는 고착 생물이기에 주변의 다양한 환경요소에 그대로 노출되어 살아가므로 흔히 오염된 조건에서 생물지표(bioindicators)로 이용되기도 한다(Levine, 1984; Haglud et al., 1996).
고군산군도 7개 정점에서 채집 동정된 해조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는? 이 지역 해조류에 대한 집괴분석 결과, Sinsido 2 정점(신시도 북서측), Sinsido 3 정점(신시도 서측), Munyeodo 정점(무녀도), Seonyudo 정점(선유도)가 함께 묶이는 Group 1은 지충이와 구멍갈파래가 높은 비율로 우점하고 있는 지역이었으며, Sinsido 1 정점(신시도 북측)과 Jangjado 정점(장자도)가 묶이는 Group 2는 작은구슬산호말이 높은 비율로 우점하고 있었고, Sinsido 4 정점(신시도 남측)는 해조식생이 빈약하여 다른 그룹과 전혀 유사도를 보이지 않아 따로 분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 정점 간의 기질 종류 및 파도의 노출 정도 등 생육환경의 차이가 이 지역 해조류를 3개 그룹으로 묶는데 커다란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조류의 생장생리에 주요한 제한요인은? 일반적으로 빛, 수온 및 영양염은 해조류의 생장생리에 주요한 제한요인으로 인식되고 있고(Lobban and Harrison, 1994), 이것에 대한 해조류의 생리적 적응의 정도가 개체의 생육, 나아가서는 개체군 유지를 위한 생식 및 수직, 수평분포의 결정인자 중의 하나로 해석되므로 다양한 환경요인별 정보를 축척하여 해조류 군집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Kim, 1997). Saito and Atobe(1970), Sait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tobe, S. and Saito Y.(1974)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intertidal marine algae. III. Effect of wave action on algal zonation. Bull. Fac. Fish. Hokkaido Univ. 24: 133-138. 

  2. Brattstrom, H.(1980) Rocky-shore zonation in the Santa Marta area, Colombia. Sarsia 65: 163-226. 

  3. Cheney, D.P.(1977) R&C/P-A new and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 J. Phycol. 13: 129. 

  4. Choi, C.G. (2007) Algal flora and Ecklonia stolonifera Okamura (Lminariaceae) population of Youngo in Busan, Korea. Algae 22: 313-318. (in Korean) 

  5. Choi, C.G. and H.S. Rho(2010) Marine algal community of Ulsan, on the eastern coast of Korea. Kor. J. Fish. Aquat. Sci. 43: 246-253. (in Korean) 

  6. Choi, H.G.(2008) Effects of thermal effluents from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on macroalgal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lgae 23: 151-162. (in Korean) 

  7. Clarke, K.R. and R.M. Warwick(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2nd ed.), PRIMER-E, Plymouth, 170pp. 

  8. Druehl, L.D.(1966) Vertical distribution of some benthic marine algae in British Colombia lnlet, as related to some environmental factors. J. Fish. Res. Bd. Canada 24: 3-46. 

  9. Feldmann, J.(1937) Recherches sur la vegetation marine de la Miditerranee. La cote des Alveres. Rev. Algol. 10: 1-339. 

  10. Haglund K., M. Bjorklund, S. Gunnare, A. Sandberg, U. Olander and M. Pedersen(1996) New method for toxicity assessment in marine and brackish environments using the macroalga Gracilaira tenuistipitata(Gracilariales, Rhodophyta). Hydrobiologia 326/327: 317-325. 

  11. IRCMA(2009) Consultation on the coastal utilization on construction work across road Gogunsan Islands. Iksan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 (in Korean) 

  12. Kang, J.W., C.H. Sohn and C.W. Lee(1980) Summer algal flora of Gogunsan Islands, western coast of Korea. The report of the KACN 16: 103-107. (in Korean) 

  13. Kang, P.J. Y.S. Kim and K.W. Nam(2008)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wang Bay, Korea. Algae 23: 1-10. (in Korean) 

  14. Kapraun, D.F.(1980) Summer aspects of algal zonation on a Texas Jetty in relation to wave exposure. Mar. Sci. 23: 101-109. 

  15. KHOA(2011) Temperature, salinity data of coast.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http://www. khoa.go.kr 

  16. Kim, Y.H.(1994) Seaweed distribution of southeastern Yellow Sea. Yellow Sea Reserch 6: 131-150. (in Korean) 

  17. Kim, Y.H., H.J. Yoon and J.S. Yoo(1995)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marine algal community on the mid-western coast of Korea. J. Plant Biol. 38(4): 389-398. (in Korean) 

  18. Kim, Y.S. and J.W. Lee(2001) Summer marine algal flora and vertical distribution at 13 uninhabited Islands near Gogunsangundo and Wido, western coast of Korea. Bull. Coastal Res., Kunsan National Univ. 13(1): 21-32. (in Korean) 

  19. Kim, Y.S.(1997) Physiological study on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Korean Gracilaria verrucosa(Rhodophyta). Ph. 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 pp. 1-6. (in Korean) 

  20. Koh, C.H. and H.B. Lee(1982)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algae in coast of Deogjeog Isladns. The Korean National Council for Conservation of Nature 1: 227-248. (in Korean) 

  21. Koh, C.H.(1983) Community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phytobenthos in Juckdo(eastern coast of Korea). II. Seasonal changes of algal vegetation in relation to annual growth of large brown algae. Korean J. Bot., 26: 181-190. (in Korean) 

  22. KRCC(2006) Study on ecological change of Saemangeum near-shore area and reclaimed land(III).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pp. 7-50. (in Korean) 

  23. Lee, G.H, H.I. Yoo and H.G. Choi(2007). Seasonal community structur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edicinal seaweeds at Kkotji in Taean peninsula, Korea. Algae 22: 209-219. (in Korean) 

  24. Lee, H.B. and R.H. Chang(1989)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easonal change of an algal community at Padori of Tae-an peninsula, west coast of Korea. Algae 4: 19-40. (in Korean) 

  25. Lee, J.W.(1983) Studies on the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mid-western coast of Korea I. Summer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Maryang ri, Gogunsan Islands and Eocheong do. Bull. Gunsan Fish. J. Coll. 17: 93-106. (in Korean) 

  26. Lee, J.W., B.G. Oh and H.B. Lee(1997b)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Podori area in the Taean peninsula, the west coast of Korea. Algae 12: 131-138. (in Korean) 

  27. Lee, J.W., B.G. Oh and H.B. Lee(2000) Marine benthic algal community at Padori, west coast of Korea. Algae 15 : 111-117. (in Korean) 

  28. Lee, S.W.(1992) The Maritime of Coast of Korea. Jib-mun-dang, 334pp. (in Korean) 

  29. Lee, W.J., H.S. Yoon and S. M. Boo(1997a) Marine algal community of Gyonggiman islets on the west sea of Korea. Algae 12: 139-144. (in Korean) 

  30. Levine H.G.(1984) The use of seaweeds for monitoring coastal waters. In algae as ecological indicators, L. E. Shubert (ed.). Academic Press, New York 189-210 pp. 

  31. Littler M.M. and D.S. Littler(1984) Relationships between macroalgal functional form groups and substrate stability in a subtropical rocky intertidal system. J. Exp. Mar. Biol. Ecol. 74: 13-34. 

  32. Lobban, C.S. and P.J. Harrison(1994) Seaweed Ecology and Physiology. Cambridge Univ. Press, N.Y., 366pp. 

  33. MAFF and JB(1994) Study on compensation on actual state of fisheries demage. Ministry for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Jeonla Buk-do, pp. 341-394. (in Korean) 

  34. MFAFF and KRCC(2008) Ecological changes in the Saemangeum water and reclaimed land areas(IV).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7pp. (in Korean) 

  35. Oh, B.G. and H.B. Lee(1998)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Uihang in Tae-an Peninsula, western coast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6: 181-192. (in Korean) 

  36. Orfanidis, S.P. Panayotidis and N. Stamatis(2001) Ecological evaluation of transitional and coastal and water; A marine benthic macrophytes-based model. Medit. Mar. Sci. 2: 45-65. 

  37. Park, C.S., M.Y. Wee and E.K. Hwang(2007) Summer algal flora of uninhabited in Dochodo, southwestern coast of Korea. Algae 22: 305-311. (in Korean) 

  38. Park, Y.K., K.S. Seo and C.K. Choi(2006) Environmental Biology. Daehakseolim. (in Korean) 

  39. RKOHA(1989) Sailing Directions of Coast in Korea (Sea of West Coast). Republic of Korea Office of the Hydrographic Affairs, 271pp. (in Korean) 

  40. RKOHA(1995) A Tide Table. Republic of Korea Office of the Hydrographic Affairs, 250pp. (in Korean) 

  41. Russell, B.D., J.I. Thompson, L.J. Fakenberg and S.D. Connel(2009) synergistic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local stressors: $CO_{2}$ and nutrient-driven change in subtidal rocky habitats. Glo. Cha. Biol. 15: 2153-2162. 

  42. Saito, Y. and S. Atobe(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1. Usujiri Benten-Jima Hokkaido. Bull. Fac. Fish. Hokkaido Univ. 21: 37-69. 

  43. Saito, Y., K. Taniguchi, S. Atobe and S. Nakamura(1971) Phytosociological study of the intertidal marine algae. III. The algal communities on the vertical substratum face on several directions. Jap. J. Ecol. 20: 230-232. 

  44. Segawa, S.(1956)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Seaweeds of Japan. Hoikusha Publ. Co. Osaka. 

  45. SERC(2003) Study on ecological change of Saemangeum near-shore area and reclaimed land(I), Saemangeum Environmental Research Center, Gunsan Nat'l. Univ., 19-24pp. (in Korean) 

  46. Shannon, C.E. and W.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onis Press, Urbana. 

  47. Simpson, E.H.(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48. Song, H.S., K.S. Seo and S.M. Boo(1996) Field studies of the brown alga Pelvetia siliquosa with implications for taxonomy and distribution. Algae 11:65-71. 

  49. Tseng, C.K.(1994) Selected works of C.K. Tseng. Oceanic Pub., pp. 272-282. 

  50. Wildowson, T.B.(1965) A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intertidal algae along a coast transitional in respect to salinity and tidal factors. J. Fish. Tes. Bd. Canada 22: 1425-14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