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지외반증 환자에서 제1중족골두의 연골 미란: 수술 중 실측한 연골 미란과 수술 전 측정지표의 연관성
Hallux Valgus and Cartilage Erosion in First Metatarsal Head: Correlation between Intraoperative Cartilage Erosion and Preoperative Parameters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15 no.2, 2011년, pp.68 - 71  

윤영필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  송호섭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  남호진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  이창수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  이봉주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analyze relation between age or parameters measured before operation and cartilage erosion of the first metatarsal head measured during oper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targeted at 56 patients and 79 feet, who underwent Scarf osteotomy or Scarf and Akin osteotomy from N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수술 중 제1 중족골두의 연골 미란을 실측하여 기록하였고, 수술 전 환자의 평가에 사용되는 여러 방사선학적 지표 및 나이와 실제 제1 중족 족지 관절의 연골미란과의 연관성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 몇몇 저자들에 의해 무지외반증 환자에서 제1 중족 족지관절의 연골 병변에 대한 보고는 있어 왔는데, 수술 전 측정하는 여러 계측치들과 연골 병변의 구역별 위치, 그리고 구역별 호발 부위에 대한 연구나 계측치와 연골 병변의 깊이에 따른 정도와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였다. 이에 저자들은 수술 중 제1중족골두의 연골 미란을 묘사하여 실측으로 기록, 수술 전 환자의 평가 시 측정하는 여러 계측치들과의 연관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지외반증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도 불분명하지만 부적절한 신발 착용,7) 골성 변형,8) 회내전,9) 여성,10,11) 유전적 요인11,12)등의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무지외반증은 무엇을 동반하는가? 무지외반증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족무지의 외측변위와 제1 중족골의 내측 변위 변형, 그리고 점진적인 제1 중족족지 관절의 아탈구가 동반된다.1) 전 인구의 2~4%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2) 노인층에서 유병률이 더높고,3-5) 특히 65세 이상일 경우 37% 이상에서 어느 정도의 변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무지외반증의 유병률은 얼마인가? 무지외반증은 비교적 흔한 질환으로 족무지의 외측변위와 제1 중족골의 내측 변위 변형, 그리고 점진적인 제1 중족족지 관절의 아탈구가 동반된다.1) 전 인구의 2~4%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2) 노인층에서 유병률이 더높고,3-5) 특히 65세 이상일 경우 37% 이상에서 어느 정도의 변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oughlin MJ. Hallux valgus. J Bone Joint Surg Am. 1996;78:932-66. 

  2. Myerson M. Foot and ankle disorders, hallux valgus. 1st ed. Philadelphia: Sanders; 1999. 213-89. 

  3. Benvenuti F, Ferrucci L, Guralnik JM, Gangemi S, Baroni A. Foot pain and disability in older persons: an epidemiologic survey. J Am Geriatr Soc. 1995;43:479-84. 

  4. Helfand AE. Foot problems in older patients: a focused podogeriatric assessment study in ambulatory care. J Am Podiatr Med Assoc. 2004;94:293-304. 

  5. Greenberg L. Foot care data from two recent nationwide surveys. A comparative analysis. J Am Podiatr Med Assoc. 1994;84:365-70. 

  6. Dunn JE, Link CL, Felson DT, Crincoli MG, Keysor JJ, McKinlay JB. Prevalence of foot and ankle conditions in a multiethnic community sample of older adults. Am J Epidemiol. 2004;159:491-8. 

  7. Kilmartin TE, Wallace WA. The aetiology of hallux valgus: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Foot. 1993;3:157-67. 

  8. Okuda R, Kinoshita M, Yasuda T, Jotoku T, Kitano N, Shima H. The shape of the lateral edge of the first metatarsal head as a risk factor for recurrence of hallux valgus. J Bone Joint Surg Am. 2007;89:2163-72. 

  9. Greenberg GS. Relationship of hallux abductus angle and first metatarsal angle to severity of pronation. J Am Podiatr Assoc. 1979;69:29-34. 

  10. Ferrari J, Hopkinson DA, Linney AD. Size and shap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foot bones: Is the female foot predisposed to hallux abducto valgus deformity? J Am Podiatr Med Assoc. 2004;94:434-52. 

  11. Pique-Vidal C, Sole MT, Antich J. Hallux valgus inheritance: Pedigree research in 350 patients with bunion deformity. J Foot Ankle Surg. 2007;46:149-54. 

  12. Thomas S, Barrington R. Hallux valgus. Curr Orthop. 2003;17:299-307. 

  13. Jahss MH. Disorders of the foot and ankle: medical and surgical management. 2nd ed. Vol 2. Philadelphia: Saunders; 1991. 943-1174. 

  14. Weinfeld SB, Schon LC. Hallux metatarsophalangeal arthritis. Clin Orthop Relat Res. 1998;349:9-19. 

  15. Aseyo D, Nathan H. Hallux sesamoid bones. Anatomical observations with special reference to osteoarthritis and hallux valgus. Int Orthop. 1984;8:67-73. 

  16. Bock P, Kristen KH, Kroner A, Engel A. Hallux valgus and cartilage degeneration in the first Metatarsophalangeal joint. J Bone Joint Surg Br. 2004;86:669-73. 

  17. Roukis TS, Weil LS, Weil LS, Landsman AS. Predicting articular erosion in hallux valgus: clinical, radiographic, and intraoperative analysis. J Foot Ankle Surg. 2005;44:13-21. 

  18. D'Arcangelo PR, Landorf KB, Munteanu SE, Zammit GV, Menz HB. Radiographic correlates of hallux valgus severity in older people. J Foot Ankle Res. 2010;3:20. 

  19. Breslauer C, Cohen M. Effect of proximal articular set angle- correcting osteotomies on the hallucal sesamoid apparatus: a cadaveric and radiographic investigation. J Foot Ankle Surg. 2001;40:366-7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