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an outbreak of H1N1 influenza A virus infection in Mexico in late March 2009,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aised its pandemic alert level to phase 6, and to the highest level in June 2009. The pandemic H1N1/A influenza was caused by an H1N1 influenza A virus that represents a quadruple re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NO에 대한 반응성: 패혈증이 없는 ARDS가 패혈성쇽에 동반된 ARDS에 비해 NO에 대한 반응이 좋다. 또한 폐혈관 저항이 증가된 경우 폐포모집이 많이 된 경우에서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플루엔자(influenza)라는 이름이 유래는 무엇인가? 가능성이 있으며, 16세기에 유럽에 유행했던 전염병은 질병의 특징과 전파양상을 고려할 때 독감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과거에는 독감이 왜 발생하는지를 잘 몰랐기때문에 나쁜 별의 영향(influence)이라고 여기던 시기가 있었으며, 여기에서 인플루엔자(influenza)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2009년 3월에 멕시코에서 호흡기 전염병은 어떤 인플루엔자에 의한것인가? 2009년 3월에 멕시코에서 호흡기 전염병이 대규모로 발생하였으며, 이것이 결국 H1N1 A형 인플루엔자에 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멕시코에서 유래한 H1N1 A형 인플루엔자는 빠른 속도로 전 세계적으로 전파되었으며, 검사를 통해 확인된 감염사례를 발표한 나라만 해도 214개 국가에 달한다.
H1N1 A형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사람중 0세에서 17세 까지 감염된 사람은 몇 명인가? 모델링기법에 의하면 미국에서 H1N1 A형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사람은 6천 백만 명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1. 이를 연령별로 나눠서 살펴보면 0세에서 17세까지 감염된 사람은 2천만 명, 18세에서 64세 사이에서 감염된 사람은 3천 5백만 명, 그리고 65세 이상에서 감염된 사람은 6백만 명일 것으로 추산된다. 이렇게 나이에 따라 이환율에 차이가 나는 것은 노년층에서 인플루엔자에 대한 항체율이 높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Reed C, Angulo FJ, Swerdlow DL, Lipsitch M, Meltzer MI, Jernigan D, et al. Estimates of the prevalence of pandemic (H1N1) 2009, United States, April-July 2009. Emerg Infect Dis 2009;15:2004-7. 

  2. Miller E, Hoschler K, Hardelid P, Stanford E, Andrews N, Zambon M. Incidence of 2009 pandemic influenza A H1N1 infection in England: a cross-sectional serological study. Lancet 2010;375:1100-8. 

  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Updated CDC estimates of 2009 H1N1 influenza cases, hospitalizations and deaths in the United States, April 2009-April 10, 2010. Atlanta, G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2010 [cited 2010 June 7]. Available from: http://www.cdc.gov/h1n1flu/estimates_ 2009_h1n1.htm. 

  4.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Virus Investigation Team, Dawood FS, Jain S, Finelli L, Shaw MW, Lindstrom S, et al. Emergence of a novel swine-origin influenza A (H1N1) virus in humans. N Engl J Med 2009;360:2605-15. 

  5. Writing Committee of the WHO Consultation on Clinical Aspects of Pandemic (H1N1) 2009 Influenza, Bautista E, Chotpitayasunondh T, Gao Z, Harper SA, Shaw M, et al. Clinical aspects of pandemic 2009 influenza A (H1N1) virus infection. N Engl J Med 2010;362: 1708-19. 

  6. Butler D. Portrait of a year-old pandemic. Nature 2010; 464:1112-3. 

  7. Louie JK, Acosta M, Winter K, Jean C, Gavali S, Schechter R,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or hospitalization due to pandemic 2009 influenza A(H1N1) infection in California. JAMA 2009;302:1896- 902. 

  8. Hewagama S, Walker SP, Stuart RL, Gordon C, Johnson PD, Friedman ND, et al. 2009 H1N1 influenza A and pregnancy outcomes in Victoria, Australia. Clin Infect Dis 2010;50:686-90. 

  9. Creanga AA, Johnson TF, Graitcer SB, Hartman LK, Al-Samarrai T, Schwarz AG, et al. Severity of 2009 pandemic influenza A (H1N1) virus infection in pregnant women. Obstet Gynecol 2010;115:717-26. 

  10. ANZIC Influenza Investigators, Webb SA, Pettila V, Seppelt I, Bellomo R, Bailey M, et al. Critical care services and 2009 H1N1 influenza in Australia and New Zealand. N Engl J Med 2009;361:1925-34. 

  11. Mandell LA, Wunderink RG, Anzueto A, Bartlett JG, Campbell GD, Dean NC, et al.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American Thoracic Society consensus guidelines on the management of community- acquired pneumonia in adults. Clin Infect Dis 2007; 44 Suppl 2:S27-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