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 is the most frequent nosocomial infec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with an incidence ranging from 8% to 38%. Patients who acquire VAP have higher mortality rates and longer ICU and hospital stays. Because there are other potential causes of fever, leu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2)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의 원인 균주 및 경험적 항생제 치료: 과거부터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의 원인균에 대한 정보는 서구의 자료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대표적으로 미국에서 시행된 24개의 연구에서 보고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의 원인 균주로는 Pseudomonas aeruginosa가 24%로 가장 많으며, 그 뒤로 Staphylococcus aureus가 20%를 보인다1.
  • 3) 임상적 진단 기준(점수체계): 미국질병관리본부(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에서는 흉부방사선 소견, 임상적 증상 및 징후, 그리고, 미생물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의 진단에 적용할수 있는 임상적 진단기준을 마련하였다(Table 3). 하지만,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후향적 분석에서 CDC 진단기준에 이용되는 임상 소견들만으로는 진단적 정확성이 떨어짐이 확인되었고, 흉부 방사선 소견만이 진단에 영향을 주는 소견으로 확인되었다22.
  • Canadian Critical Care Trial Group은 이러한 결과들을 대규모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해 보고자 미국 및 캐나다의 28개 중환자실의 74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교임상시험을 시행하였으나, BAL을 이용한 진단이나 TTA를 이용한 진단에서 28일 사망률 및 항생제 사용기간의 차이는 없었다21. 따라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의 미생물학적 진단에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BAL 또는 PSB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시행할 수 있는 TTA를 이용한 미생물 검사로도 충분하다.
  • 또한 연구자료 간의 민감도 및 특이도에 대한 변이는 각각 42∼100%, 55∼100%로 연구마다 차이가 크며, 이는 대상 환자의 특성, 기계환기 적용 기간의 차이, 또는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의 확진 방법의 차이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 Pugin 등23은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의 진단에서 체온, 백혈구 수, 기관분비물의 양상 및 정도, 동맥혈 산소화 정도, 흉부방사선 소견 및 TTA를 이용한 그람염색 및 배양결과를 바탕으로한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CPIS)를 적용하고자 하였다(Table 4). 즉, CPIS 점수가 6점보다 높을 경우 BAL을 이용한 미생물학적 진단과 비교할 때 상관관계가 높았다(AUROC, 0.95). 후속 연구에서도 CPIS를 이용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의 진단은 높은 민감도(60∼93%)와 특이도(42∼85%)를 보이며(Table 5)16,18,24-27, 특히, 인공호흡기연관 페렴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서는 93%의 민감 도와 85%의 특이도를 보인다24.
  •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은 발생 시기에 따라 초기 인공호흡기연관 폐렴(early-onset VAP)과 후기 인공호흡기연관 폐렴(late-onset VAP)으로 나눠지며, 이에 따라 다른 예후를 보인다1,2. 즉, 기계환기 적용 후 5일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 비교적 경하고, 항생제에 감수성을 보이는 균주에 의해 발생하여 좋은 예후를 보이며, 이와 반대로 기계환기 적용후 5일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균주에 의한 폐렴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이란? 인공호흡기연관 폐렴(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은 기계환기를 시작할 시점에는 폐렴의 발생이나 잠복기에 있지 않은 환자에서 기관삽관 및 기계환기를 시작한 후 48시간 이후에 발생되는 폐렴으로 정의된다1.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은 발생 시기에 따라 초기 인공호흡기연관 폐렴(early-onset VAP)과 후기 인공호흡기연관 폐렴(late-onset VAP)으로 나눠지며, 이에 따라 다른 예후를 보인다1,2.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은 어떻게 나뉘는가? 인공호흡기연관 폐렴(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은 기계환기를 시작할 시점에는 폐렴의 발생이나 잠복기에 있지 않은 환자에서 기관삽관 및 기계환기를 시작한 후 48시간 이후에 발생되는 폐렴으로 정의된다1.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은 발생 시기에 따라 초기 인공호흡기연관 폐렴(early-onset VAP)과 후기 인공호흡기연관 폐렴(late-onset VAP)으로 나눠지며, 이에 따라 다른 예후를 보인다1,2. 즉, 기계환기 적용 후 5일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 비교적 경하고, 항생제에 감수성을 보이는 균주에 의해 발생하여 좋은 예후를 보이며, 이와 반대로 기계환기 적용후 5일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균주에 의한 폐렴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은 기계환기 적용후 5일 전후로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가? 인공호흡기연관 폐렴은 발생 시기에 따라 초기 인공호흡기연관 폐렴(early-onset VAP)과 후기 인공호흡기연관 폐렴(late-onset VAP)으로 나눠지며, 이에 따라 다른 예후를 보인다1,2. 즉, 기계환기 적용 후 5일 이전에 발생하는 경우 비교적 경하고, 항생제에 감수성을 보이는 균주에 의해 발생하여 좋은 예후를 보이며, 이와 반대로 기계환기 적용후 5일 이후에 발생하는 경우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균주에 의한 폐렴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인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Chastre J, Fagon JY.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165:867-903. 

  2. American Thoracic Society;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hospital-acquired, ventilator-associated, and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5;171:388-416. 

  3. Richards MJ, Edwards JR, Culver DH, Gaynes RP. Nosocomial infections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s in the United States. National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Crit Care Med 1999;27:887-92. 

  4. Safdar N, Dezfulian C, Collard HR, Saint S. Clinical and economic consequence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 systematic review. Crit Care Med 2005;33:2184-93. 

  5. Fagon JY, Chastre J, Domart Y, Trouillet JL, Pierre J, Darne C, et al. Nosocomial pneumonia in patients receiving continuous mechanical ventilation. Prospective analysis of 52 episodes with use of a protected specimen brush and quantitative culture techniques. Am Rev Respir Dis 1989;139:877-84. 

  6. Cook DJ, Walter SD, Cook RJ, Griffith LE, Guyatt GH, Leasa D, et al. Incidence of and risk factor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critically ill patients. Ann Intern Med 1998;129:433-40. 

  7. Metlay JP, Fine MJ. Testing strategies in the initial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nn Intern Med 2003;138:109-18. 

  8. Andrews CP, Coalson JJ, Smith JD, Johanson WG Jr. Diagnosis of nosocomial bacterial pneumonia in acute, diffuse lung injury. Chest 1981;80:254-8. 

  9. Bell RC, Coalson JJ, Smith JD, Johanson WG Jr. Multiple organ system failure and infection in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nn Intern Med 1983;99:293-8. 

  10. Fagon JY, Chastre J, Hance AJ, Guiguet M, Trouillet JL, Domart Y, et al. Detection of nosocomial lung infection in ventilated patients. Use of a protected specimen brush and quantitative culture techniques in 147 patients. Am Rev Respir Dis 1988;138:110-6. 

  11. Fagon JY, Chastre J, Hance AJ, Domart Y, Trouillet JL, Gibert C. Evaluation of clinical judgment in the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nosocomial pneumonia in ventilated patients. Chest 1993;103:547-53. 

  12. Petersen IS, Aru A, Skødt V, Behrendt N, Bols B, Kiss K, et al. Evaluation of pneumonia diagnosis in intensive care patients. Scand J Infect Dis 1999;31:299-303. 

  13. Torres A, El-Ebiary M. Bronchoscopic BAL in the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2000;117(4 Suppl 2):198S-202S. 

  14. Torres A, el-Ebiary M, Padro L, Gonzalez J, de la Bellacasa JP, Ramirez J, et al. Validation of different techniques for the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omparison with immediate postmortem pulmonary biopsy.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4;149:324-31. 

  15. Marquette CH, Copin MC, Wallet F, Neviere R, Saulnier F, Mathieu D, et al. Diagnostic tests for pneumonia in ventilated patients: prospective evaluation of diagnostic accuracy using histology as a diagnostic gold standard.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1:1878-88. 

  16. Papazian L, Thomas P, Garbe L, Guignon I, Thirion X, Charrel J, et al. Bronchoscopic or blind sampling techniques for the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2:1982-91. 

  17. Kirtland SH, Corley DE, Winterbauer RH, Springmeyer SC, Casey KR, Hampson NB, et al. The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 comparison of histologic, microbiologic, and clinical criteria. Chest 1997;112:445-57. 

  18. Fabregas N, Ewig S, Torres A, El-Ebiary M, Ramirez J, de La Bellacasa JP, et al. Clinical diagnosis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revisited: comparative validation using immediate post-mortem lung biopsies. Thorax 1999;54:867-73. 

  19. Torres A, Fabregas N, Ewig S, de la Bellacasa JP, Bauer TT, Ramirez J. Sampling method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lidation using different histologic and microbiological references. Crit Care Med 2000;28:2799-804. 

  20. Shorr AF, Sherner JH, Jackson WL, Kollef MH. Invasive approaches to the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 meta-analysis. Crit Care Med 2005;33:46-53. 

  21. Canadian Critical Care Trials Group. A randomized trial of diagnostic technique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N Engl J Med 2006;355:2619-30. 

  22. Klompas M. Does this patient hav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JAMA 2007;297:1583-93. 

  23. Pugin J, Auckenthaler R, Mili N, Janssens JP, Lew PD, Suter PM. Diagnosis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by bacteriologic analysis of bronchoscopic and nonbronchoscopic "bli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m Rev Respir Dis 1991;143:1121-9. 

  24. Bregeon F, Papazian L, Thomas P, Carret V, Garbe L, Saux P,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protected catheter sampling in ventilator-associated bacterial pneumonia. Eur Respir J 2000;16:969-75. 

  25. Fartoukh M, Maitre B, Honore S, Cerf C, Zahar JR, Brun-Buisson C. Diagnosing pneumonia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the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revisited.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3;168:173-9. 

  26. Luyt CE, Chastre J, Fagon JY. Value of the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for the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tensive Care Med 2004;30:844-52. 

  27. Croce MA, Swanson JM, Magnotti LJ, Claridge JA, Weinberg JA, Wood GC, et al. The futility of the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in trauma patients. J Trauma 2006;60:523-7. 

  28. Schurink CA, Van Nieuwenhoven CA, Jacobs JA, Rozenberg-Arska M, Joore HC, Buskens E, et al.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ccuracy and inter-observer variability. Intensive Care Med 2004;30:217-24. 

  29. Zilberberg MD, Shorr A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the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as a surrogate for diagnostics and outcome. Clin Infect Dis 2010;51 Suppl 1:S131-5. 

  30. Iregui M, Ward S, Sherman G, Fraser VJ, Kollef MH. Clinical importance of delays in the initiation of appropriate antibiotic treatment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2002;122:262-8. 

  31. Kollef MH, Ward S. The influence of mini-BAL cultures on patient outcomes: implications for the antibiotic managemen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1998;113:412-20. 

  32. Leroy O, Meybeck A, d'Escrivan T, Devos P, Kipnis E, Georges H. Impact of adequacy of initial antimicrobial therapy on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tensive Care Med 2003;29:2170-3. 

  33. Teixeira PJ, Seligman R, Hertz FT, Cruz DB, Fachel JM. Inadequate treatment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risk factors and impact on outcomes. J Hosp Infect 2007;65:361-7. 

  34. Koenig SM, Truwit J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Clin Microbiol Rev 2006;19:637-57. 

  35. Masterton RG, Galloway A, French G, Street M, Armstrong J, Brown E, et al.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ospital-acquired pneumonia in the UK: report of the working party on hospital-acquired pneumonia of the British Society for Antimicrobial Chemotherapy. J Antimicrob Chemother 2008;62:5-34. 

  36. Muscedere J, Dodek P, Keenan S, Fowler R, Cook D, Heyland D, et al. Comprehensive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diagnosis and treatment. J Crit Care 2008;23:138-47. 

  37. Song JH; Asian Hospital Acquired Pneumonia Working Group. Treatment recommendations of hospital-acquired pneumonia in Asian countries: first consensus report by the Asian HAP Working Group. Am J Infect Control 2008;36(4 Suppl):S83-92. 

  38. Kwak YG, Cho YK, Kim JY, Lee SO, Kim HY, Kim YK, et al. Korean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system, intensive care unit module report: data summary from July 2008 through June 2009 and analysis of 3-year results.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10;15:14-25. 

  39. Hospital-acquired pneumonia in adults: diagnosis, assessment of severity, initial antimicrobial therapy, and preventive strategies. A consensus statement, American Thoracic Society, November 1995.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6;153:1711-25. 

  40. Chastre J, Wolff M, Fagon JY, Chevret S, Thomas F, Wermert D, et al. Comparison of 8 vs 15 days of antibiotic therapy for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in adults: a randomized trial. JAMA 2003;290:2588-98. 

  41. Dennesen PJ, van der Ven AJ, Kessels AG, Ramsay G, Bonten MJ. Resolution of infectious parameters after antimicrobial therapy in patients with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1;163:1371-5. 

  42. Luna CM, Blanzaco D, Niederman MS, Matarucco W, Baredes NC, Desmery P, et al. Resolution of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prospective evaluation of the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 as an early clinical predictor of outcome. Crit Care Med 2003;31:676-82. 

  43. Micek ST, Ward S, Fraser VJ, Kollef M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an antibiotic discontinuation policy for clinically suspected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2004;125:179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