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기침환자에서 기관지 과민성, 아토피와 비만의 상관관계: 두 기관 연구
The Association of Obesity,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Atopy in Chronic Cough Patients: Results of a Two-Center Study 원문보기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TRD =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71 no.1, 2011년, pp.24 - 29  

박소영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종원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오연목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내과학교실) ,  이양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영목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박용범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임성용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내과학교실) ,  천식연구회 (천식연구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rising prevalence of asthma worldwide may be associated with the rising prevalence of obesity in developed nations. Although several studies have suggested a relationship between asthma and obesity, controversy still remai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비만이 천식 발생이나 중증도에 미치는 기전과 기관지 과민성의 기전이 독립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아토피가 비만과 역 연관성을 보이고 있는 점도 기관지 과민성과 비만의 관련 가능성을 배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만성기침으로 호흡기 내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체질량지수와 천식과 관계된 요소인 기관지 과민성, 아토피 및 이와 관련 있는 요소들에 대해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기관지 과민성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으며 아토피는 체질량지수가 25 kg/m2 미만인 군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여 아토피와 체질량지수는 역상관 관계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체질량 지수와 천식의 관련 인자인 기관지 과민성, 아토피의 임상적 척도를 분석함으로써 천식과 비만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비만과 천식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로는 첫째, 비만 환자에서 나타나는 폐 생리의 변화를 그 원인으로 고려할 수 있다. 비만 환자에서는 기능적 잔기 용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과 호기 예비기량(expiratory reserve volume, ERV), 그리고 폐활량(vital capacity)이 감소함에 따라 흉곽유순도가 감소하며, 이로 인해 흡기근육에 탄성부하가 걸리고 호흡일이 증가하게 된다19-2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식의 발생과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은 무엇이 있는가? 만성 기침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인 천식은 자연적 또는 치료에 의해 크게 변화하는 호흡 기류의 폐쇄에 의해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후군이다1. 전세계적으로 천식의 유병률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는 대기오염, 흡연, 알레르기항원에의 노출, 식이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다양한 기전을 통해 천식의 발생과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최근에는 여러 연구에서 이러한 요소 중 비만이 천식의 발생률과 유병률, 천식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5-11.
천식이란 무엇인가? 만성 기침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인 천식은 자연적 또는 치료에 의해 크게 변화하는 호흡 기류의 폐쇄에 의해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후군이다1. 전세계적으로 천식의 유병률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는 대기오염, 흡연, 알레르기항원에의 노출, 식이 등의 환경적인 요인이 다양한 기전을 통해 천식의 발생과 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비만과 천식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은 무엇인가? 비만과 천식과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로는 첫째, 비만 환자에서 나타나는 폐 생리의 변화를 그 원인으로 고려할 수 있다. 비만 환자에서는 기능적 잔기 용량(Functional residual capacity)과 호기 예비기량(expiratory reserve volume, ERV), 그리고 폐활량(vital capacity)이 감소함에 따라 흉곽유순도가 감소하며, 이로 인해 흡기근육에 탄성부하가 걸리고 호흡일이 증가하게 된다19-21. 둘째, 비만환자에서 보이는 전신적 염증 소견이 천식환자에서의 전신 및 기도 염증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바 있다. 비만한 경우 혈중에 사이토카인, 사이토카인 수용체, 케모카인, 급성 반응 단백의 농도가 증가되어 있는데22,23 이로 인해 기도 평활근에 만성적인 염증 반응이 진행되며 특히 환자의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leptin, adponectin 등의 사이토카인으로 인한 면역반응으로 인해 기도 과민성이 증가된다는 것이다. 셋째, 비만과 천식의 발생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동반 질환의 존재 가능성이다. 비만환자에서 정상체중의 환자에 비해 역류성 식도염 또는 수면무호흡증 등의 질환이 동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동반질환을 가진 환자에서 정상 환자군과 비교했을 때 난치성 천식환자의 비율이 더 높음을 보고한 예가 있다24-2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teman ED, Hurd SS, Barnes PJ, Bousquet J, Drazen JM, FitzGerald M, et al. Global strategy for asthma management and prevention: GINA executive summary. Eur Respir J 2008;31:143-78. 

  2. Gershon AS, Guan J, Wang C, To T. Trends in asthma prevalence and incidence in Ontario, Canada, 1996∼2005: a population study. Am J Epidemiol 2010;172:728-36. 

  3. Gibson PG, McDonald VM, Marks GB. Asthma in older adults. Lancet 2010;376:803-13. 

  4. Pearce N, Ait-Khaled N, Beasley R, Mallol J, Keil U, Mitchell E, et al. Worldwide trends in the prevalence of asthma symptoms: phase III of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ies in Childhood (ISAAC). Thorax 2007;62:758-66. 

  5. Beuther DA, Sutherland ER. Overweight, obesity, and incident asthma: a meta-analysis of prospective epidemiologic studie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7;175:661-6. 

  6. Camargo CA Jr, Weiss ST, Zhang S, Willett WC, Speizer FE. Prospective study of body mass index, weight change, and risk of adult-onset asthma in women. Arch Intern Med 1999;159:2582-8. 

  7. Lugogo NL, Kraft M, Dixon AE. Does obesity produce a distinct asthma phenotype? J Appl Physiol 2010;108:729-34. 

  8. Ronmark E, Andersson C, Nystrom L, Forsberg B, Jarvholm B, Lundback B. Obesity increases the risk of incident asthma among adults. Eur Respir J 2005;25:282-8. 

  9. Shore SA. Obesity and asthma: possible mechanisms. J Allergy Clin Immunol 2008;121:1087-93. 

  10. Sin DD, Sutherland ER. Obesity and the lung: 4. Obesity and asthma. Thorax 2008;63:1018-23. 

  11. Sutherland TJ, Cowan JO, Young S, Goulding A, Grant AM, Williamson A,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asthma: interactions between systemic and airway inflammatio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8;178:469-75. 

  12. Flegal KM, Carroll MD, Ogden CL, Curtin LR. Prevalence and trends in obesity among US adults, 1999∼2008. JAMA 2010;303:235-41. 

  13. Jarvis D, Chinn S, Potts J, Burney P; European Community Respiratory Health Survey.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respiratory symptoms and atopy: results from the European Community Respiratory Health Survey. Clin Exp Allergy 2002;32:831-7. 

  14. Chinn S, Jarvis D, Burney P; European Community Respiratory Health Survey. Relation of bronchial responsiveness to body mass index in the ECRHS. European Community Respiratory Health Survey. Thorax 2002;57:1028-33. 

  15. Stenius-Aarniala B, Poussa T, Kvarnstrom J, Gronlund EL, Ylikahri M, Mustajoki P. Immediate and long term effects of weight reduction in obese people with asthma: randomised controlled study. BMJ 2000;320:827-32. 

  16.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4). Nutrition survey.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7. 

  17. Dixon AE, Holguin F, Sood A, Salome CM, Pratley RE, Beuther DA, et al. An official American Thoracic Society Workshop report: obesity and asthma. Proc Am Thorac Soc 2010;7:325-35. 

  18. Litonjua AA, Sparrow D, Celedon JC, DeMolles D, Weiss ST.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with the development of methacholine airway hyperresponsiveness in men: the Normative Aging Study. Thorax 2002;57:581-5. 

  19. Sharp JT, Henry JP, Sweany SK, Meadows WR, Pietras RJ. The total work of breathing in normal and obese men. J Clin Invest 1964;43:728-39. 

  20. Fredberg JJ, Inouye D, Miller B, Nathan M, Jafari S, Raboudi SH, et al. Airway smooth muscle, tidal stretches, and dynamically determined contractile states.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7;156:1752-9. 

  21. Raboudi SH, Miller B, Butler JP, Shore SA, Fredberg JJ. Dynamically determined contractile states of airway smooth muscl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8;158:S176-8. 

  22. Hoene M, Weigert C. The role of interleukin-6 in insulin resistance, body fat distribution and energy balance. Obes Rev 2008;9:20-9. 

  23. Xu H, Uysal KT, Becherer JD, Arner P, Hotamisligil GS. Altere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processing in adipocytes and increased expression of transmembrane TNF-alpha in obesity. Diabetes 2002;51:1876-83. 

  24. Jacobson BC, Somers SC, Fuchs CS, Kelly CP, Camargo CA Jr. Body-mass index and symptoms of gastroesophageal reflux in women. N Engl J Med 2006;354:2340-8. 

  25. Young T, Shahar E, Nieto FJ, Redline S, Newman AB, Gottlieb DJ, et al. Predictors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community-dwelling adults: the Sleep Heart Health Study. Arch Intern Med 2002;162:893-900. 

  26. Kasasbeh A, Kasasbeh E, Krishnaswamy G. Potential mechanisms connecting asthma, esophageal reflux, and obesity/sleep apnea complex--a hypothetical review. Sleep Med Rev 2007;11:47-58. 

  27. Zhong NS, Chen RC, Yang MO, Wu ZY, Zheng JP, Li YF. Is asymptomatic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n indication of potential asthma? A two-year follow-up of young students with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Chest 1992;102:1104-9. 

  28. Cockcroft DW, Berscheid BA, Murdock KY. Unimodal distribution of bronchial responsiveness to inhaled histamine in a random human population. Chest 1983;83:751-4. 

  29. Beuther DA. Recent insight into obesity and asthma. Curr Opin Pulm Med 2010;16:64-70. 

  30. Kim SS, Choi SH, Park MJ, Kim YS, Yim JY, Lim SH, et al. Effects of obesity and smoking o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Korean adults.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5;25:217-22. 

  31. Schachter LM, Salome CM, Peat JK, Woolcock AJ. Obesity is a risk for asthma and wheeze but not airway hyperresponsiveness. Thorax 2001;56:4-8. 

  32. Bai J, Peat JK, Berry G, Marks GB, Woolcock AJ. Questionnaire items that predict asthma and other respiratory conditions in adults. Chest 1998;114:134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