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유를 첨가하여 제조한 죽(우유죽)을 멸균 환자식으로 개발하기 위해 0, 1, 3, 5, 7 및 10 kGy의 흡수선량으로 감마선 조사 후 미생물 초기오염도 측정, 멸균여부 확인, 제조 단계별 isolated spore의 방사선 감수성 및 색도를 측정하였으며, 저장 중 점도에 대한 변화를 관찰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우유죽의 미생물 초기 오염도는 2.60 log CFU/g이었으며, 대장균군, 포자형성균과 효모 및 곰팡이군은 검출한계 내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기간 중 10 kGy 조사구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동일 선량을 조사 시 우유죽의 멸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유죽에서 분리된 spore의 $D_{10}$ value는 2.21 kGy(saline solution) 및 2.71 kGy(milk porridge)로 각각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CIE color value는 증가하였으나, 색에 대한 관능검사에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점도는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감마선 조사 직후 우유죽의 관능검사 결과 3 kGy 조사구까지는 모든 항목들이 4.0 이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방사선 조사 기술을 이용하여 우유죽을 제조할 경우, 전분의 농도가 높은 멸균 환자식으로의 제조가 가능하였으며, 또한 멸균된 우유죽을 경관급식이 필요한 의식불명 환자 등에게도 적용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고농도의 멸균 우유죽을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conducted this study to determine the optimum dose of gamma irradiation needed for the sterilization of milk porridge for patients. Milk porridge, known as Tarakjuk, was irradiated with gamma ray at doses of 0, 1, 3, 5, 7, or 10 kGy. The microbial contamination, $D_{10}$ values of is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영양가가 높으면서 유동성이 향상되어 경관급식 환자와 같은 특수 환자식에 적합한 우유죽(타락죽)의 제조에 감마선 조사를 활용하기 위한 최적 선량을 구명하고자 감마선 조사에 의해 제조된 타락죽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1)N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락죽은 과거 궁중에서 어떻게 이용되었는가? 5%)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2). 특히 우유와 곡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락죽(3)은 과거 궁중에서 음식으로 몸을 다스린다는 식치(食治)로 이용되었으며, 근래에는 국내 병원 급식 환자들이 선호하는 죽의 한 종류로 분류되어 있다(4).
죽을 환자식으로 이용할 경우 문제점은? 특히 죽은 소화율이 높으므로 환자의 영양공급과 영양개선을 위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5). 그러나 죽을 환자식으로 이용할 경우, 전분의 호화에 따른 부피 증가로 인해 고형분의 함량이 감소되어 충분한 열량공급을 위해서는 많은 양을 섭취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6). 이와 함께 면역력이 약한 혈액암, 면역결핍 및 항암치료 환자에게는 멸균된 무균 식품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5).
외국에서 감마선 조사 기술을 환자식 제조에 이용하는 사례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특성은 죽의 멸균뿐만 아니라 에너지 밀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매우 효과적이고도 효율적인 방법으로(6), 각 나라에서는 이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방사선 조사 기술을 환자식 제조를 위해 이용하고 있다. 네덜란드에서는 면역결핍환자를 위한 완전 멸균식의 가공을 위해 75 kGy의 고선량 조사를 사용하고 있으며, 영국에서도 병원식의 제조를 위한 방사선 조사에 있어 선량의 제한은 두지 않을 정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3). 또한 안전성 측면에서 고선량으로 조사된 분말 죽의 in vivo 독성평가 결과에서 어떠한 독성도 발견되지 않았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e GD, Kim HG, Kim JG, Kwon JH. 1997. Optimization for the preparation conditions of instant rice gruel using oyster mushroom and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34-744. 

  2. June JH, Yoon JY, Kim HS. 199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dojook'. Korean J Dietary Cult 13: 509-518. 

  3. Lee GC. 2001. A study on the traditional daily food for Seoul. Asian Comp Folklore 20: 233-255. 

  4. Lee CJ. 1994.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enu patterns of gruels as soft diet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 Korean J Soc Food Sci 10: 18-23. 

  5. Richard JA, Walter JC. 1998. Nutritional support of the pediatric oncology patient. Nutrition 14: 124-129. 

  6. Lee JW, Kim JH, Oh SH, Byun EH, Yook HS, Kim MR, Kim KS, Byun MW. 2008. Effect of gamma irradiation on viscosity reduction of cereal porridges for improving energy density. Radia Phys Chem 77: 352-359. 

  7. Zhang M, Duan ZH, Huan YJ, Tao Q. 2003. Preparation technology for semi-fluid high-energy food. J Food Eng 59: 327-330. 

  8. Byun MW, Lee JW. 2003. Application of irradiation technology for food safety and security. Food Sci Ind 36: 25-41. 

  9. Lee YS, Oh SH, Lee JW, Kim JH, Kim DS, Byun MW. 2003.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starches. Food Sci Biotechnol 12: 508-512. 

  10. Thayer DW. 1990. Food irradiation, benefits, and concerns. J Food Qual 13: 147-169. 

  11. Yook HS, Lee YS, Lee JW, Oh SH, Kim JH, Kim DS, Byun MW. 2004. Textur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gamma irradiated porrid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27-432. 

  12. Sokhey AS, Hanna MA. 1993. Properties of irradiated starches. Food Struct 12: 397-410. 

  13. WHO. 1999. High-dose irradiation: wholesomeness of food irradiated with doses above 10 kGy. Technical report 890. Geneva, Switzerland. 

  14. Han SM, Lee JW, Byun MW, Kang IJ. 2005. Toxicity evaluation of high-dose irradiated porridge powder for three month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431-436. 

  15. KFDA. 2008. Food Code. Munyoungsa, Seoul, Korea. p 413. 

  16. Islam MS, Inoue A, Igura A, Shimoda M, Hayakawa I. 2006. Inactivation of Bacillus spore by the combination of moderate heat and low hydrostatic pressure in ketchup and potage. Int J Food Microbiol 107: 124-130. 

  17. Jessica LD, Karen H, John K, Ameneh A, Mark G, Peter AE. 2001. Bacillus spore inactivation method affect detection assays. Am Soc Microbiol 67: 3665-3670. 

  18. WHO. 1994. Safety and nutritional adequacy of irradiated food. Geneva, Switzerland. 

  19. Goldblith SA, Proctor BE. 1956. Radiation preservation of milk and milk products: I . Background and problems. J Dairy Sci 39: 374-378. 

  20. Shapton DA, Lovelock DW, Laurita-Longo R. 1971. The evaluation of sterilization and pasteurization processes from temperature measurements in ${^{\circ}C}$ . J Appl Bacteriol 34: 491-500. 

  21. Setlow P. 2006. Spore of Bacillus subtilis: their resistance to and killing by radiation, heat and chemicals. J Appl Microbiol 101: 514-525. 

  22. Sarrias JA, Valero M, Salmeron MC. 2003. Elimination of Bacillus cereus contamination in raw rice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Food Microbiol 20: 327-332. 

  23. Morton S. 1996. Food irradiation: Foodborne diseases. Technomic Publishing AG, Geneva, Switzerland. p 61-62. 

  24. Perk EG, Terje L. 1997. Bacillus cereus and its food poisoning toxins. FEMS Microbiol Lett 157: 223-228. 

  25. Monk JD, Larry RB, Michael PD. 1994. Irradiation inactivation of food-borne microorganisms. J Food Prot 58: 197-208. 

  26. van Gerwen SJ, Rombouts FM, van't Riet K, Zwietering MH. 1999. A data analysis of the irradiation parameter D10 for bacteria and spores under various conditions. J Food Prot 62: 1024-1032. 

  27. Yang YH, Kim MH, Kwon OY, Lee JK, Park SC, Lee JW, Byun MW, Kim MR. 2007.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lour porrid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961-967. 

  28. Patton S. 1955. Browning and associated changes in milk and its products. J Dairy Sci 38: 457-458. 

  29. Wertheim JH, Proctor BE, Goldblith SA. 1956. Radiation preservation of milk and milk products. IV. Radiation-induced browning and some related chemical changes in milk.J Dairy Sci 39: 1236-1246. 

  30. Chalam MV, Connor JB. 1955. The effect of radiation sterilization on the nutritive value of foods. J Nutr 57: 479-490. 

  31. Oh SH, Lee YS, Kim JH, Kim JH, Lee JH, Kim MR, Yook HS, Byun MW. 2006. Effect of pH on non-enzymatic browning reaction during γ-irradiation processing using sugar and sugar-glycine solutions. Food Chem 94: 420- 427. 

  32. Ciesla K, Salmieri S, Lacroix M, Le Tien C. 2004. Gamma irradiation influence on physical properties of milk proteins. Radiat Phys Chem 71: 93-97. 

  33. Sabato SF, Lacroix M. 2002. Radiation effects on viscosimetry of protein based solutions. Radiat Phys Chem 63: 357-359. 

  34. Grant LA, G'Appolonia BL. 1991. Effect of low-level gamma irradiation on water-soluble non-starchy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hard red spring wheat flour and bran. Cereal Chem 68: 651-652. 

  35. Christropher HS, Xuetong F. 2006. Food irradiation research and technology. 1st ed. Blackwell publishing professional,Ames, IA, USA. p 11. 

  36. Sokhey AS, Hanna MA. 1993. Properties of irradiated starches. Food Struct 12: 397-410. 

  37. Yu Y, Wang J. 2007. Effect of $\gamma$ -ray irradiation on starch granule structure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Food Res Int 40: 297-3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