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 the effects of oriental medicine on premature ovarian failure. Methods: The patient in this case was 30-year-old female. The chief complain is oligomenorrhea. By serum hormone assay and history interview, we diagnosed premature ovarian failure. Sh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한·양방의 결합 진단 및 치료가 치료율의 증대 및 한의학적 치료의 객관화에 유의하다고 사료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월경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조기난소부전은 고 성선자극호르몬성 성선 기능저하증으로 40세 이전에 무월경을 동반한 난포 자극 호르몬의 상승으로 진단할 수 있다3). 무월경은 초경시작 후 정상월경주기의 3회이상 혹은 6개월 이상 월경을 하지 않는 속발성 무월경과, 2차 성징은 있으면서 15세까지 초경을 시작하지 않거나 2차 성징이 있으면서 13세까지 월경을 하지 않는 원발성 무월경의 경우로 정의하며, 성선자극호르몬의 상승은 2-3주의 간격으로 2회 이상의 혈중농도를 측정하여 FSH가 40 mIU/L 이상이 나왔을 때로 정의한다12). 하지만 아직 조기난소부전을 진단하는데 무월경 기간이나 성선자극 호르몬의 증가 정도에 관한 공인된 기준은 확립되지 않고 있다13).
조기난소부전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조기난소부전은 40세 이전에 6개월 이상 생리가 없으면서, 1개월 간격으로 2번 측정한 혈중 난포자극호르몬이 40 mIU/ml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로 정의한다. 조기 난소기능 부전의 경우는 불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자연폐경 여성보다 더욱 높은 골밀도 감소의 위험 및 관상동맥질환의 문제를 가져올 수 있고, 이로 인한 여러 가지 심리적인 문제를 동반할 수 있어1) 적극적인 치료가 요구된다.
조기난소부전의 발생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발생 원인으로는 염색체 이상, 악성종양의 항암치료나 방사선치료, 유전질환, 다양한 자가면역질환, 대사성질환, 감염, 흡연, 특발성(원인불명) 등으로 다양한 원인들이 보고되고 있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제4판). 서울:고려의학. 2007:563-70, 970-2. 

  2. Laml T et al. Premature ovarian Failure: etiology anf prospects. Gynecol Endocrinol. 2000;14:209-302. 

  3. 이향아 등. 무월경 양상에 따른 조기난소 부전 환자의 임상적 고찰. 대한폐경회지. 2008;14(1):59-64. 

  4. 조현주. 임신 및 출산에 성공한 조기난소부전증 환자 치험 2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2):200-8. 

  5. 김승현. 갱년기증후군을 나타낸 早期閉經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3):194-9. 

  6. 고유미. 조기난소기능부전 환자 치험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2;15(4):193-200. 

  7. Coulam CB, Adamson SC, Annegers JF. Incidence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Obstet Gynecology. 1986;67:604. 

  8. Anasti JN. Premature ovarian failure: an update. Fertil Steril. 1998;70:1-15. 

  9. Woad KJ et al. The genetic basis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Obstet Gynecology. 2006;46:242-4. 

  10. Santoro N. Research on the mechanism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J Soc Gynecol Investing. 2001;8(1):10-2. 

  11. Jonathan S Berek. Berek & Novak's Gynecology(14th ed). Philadephia: Lippinott Williams & Wilkins. 2007: 1052-3. 

  12. Nippita TA, Baber RJ. Premature ovarian failure: a review. Climateric. 2007;10:11-22. 

  13. 이지영. 조기 난소 부전. 대한폐경학회지. 2009;15(2):79-86. 

  14. 황태영. 조기 난소부전 환자와 자연폐경 여성의 골밀도 비교. 대한산부회지. 2000;43:1979-82. 

  15. Kalantaridou SN et al. Premature ovarian failure, endothelial dysfunction and estrogen-progesteron replacement. Trends Endocrinol Metab. 2006;17: 101-9 

  16. Rebar RW, Connoly HV. Clinical features of young woman with hypergonadotropic amenorrhea. Fertil Steril. 1990;53:804-10. 

  17. van Kasteren YM, Schoemaker J. Premature Ovarian failure: a systemic review on therapeutic inventions to restore ovarian function and achieve pregnancy. Hum Repro Update. 1999; 5:483-92. 

  18. 최은미. 조기난소부전으로 인한 불임환자의 임상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1;14(1):393-408. 

  19. 肖淑春. 동의임상부인과학. 서울:법인문화사. 1999:94. 

  20. 張介賓. 婦人規. 서울:법인문화사. 1999:74-81. 

  21. 傅山. 傅靑主男女科. 臺北:文化圖書公司. 1969:95-6. 

  22. 洪元植譯. 黃帝內經素問. 서울:傳統文化硏究會. 1992:55, 201. 

  23. 夏桂成編. 中醫臨床婦科學. 북경:人民衛生出版社. 2007:200-16. 

  24. 葉桂. 葉天士女科. 서울;綜合醫院社. 1974:26-34. 

  25.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I).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7:135-43. 

  26. 전국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침구학(상). 서울:집문당. 2000:323, 324, 382. 

  27. 안영기. 경혈학총서. 서울:성보사. 2000:678-9. 

  28. 구병삼 등. 임상 부인과 내분비학. 서울:고려의학. 2001: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