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과정평가(LCA)에 의한 토양오염 정화공정의 환경영향분석 및 $CO_2$ 배출량 산정 - SVE 및 Biopile 시스템 중심으로 -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s and $CO_2$ Emissions from Soil Remediation Technologies using Life Cycle Assessment - Case Studies on SVE and Biopile Systems -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3 no.4, 2011년, pp.267 - 274  

정승우 (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 ,  서상원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Santa Barbara)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염토양 복원작업 품셈자료 산출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에 제시된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SVE)과 바이오파일(biopile) 시스템 구성을 바탕으로 두 오염토양 정화공정이 토양 $1,000m^3$내 총탄화수소를 95% 제거하는 전과정을 전과정평가기법을 통해 평가하였다. 전과정영향평가 결과 SVE가 9개 환경영향범주에서 모두 바이오파일에 비해 높은 환경영향수치를 나타내었다. SVE와 바이오파일, 두 정화방법 공히 토양경로 인체독성(Human toxicity-soil), 수생태독성(Ecotoxicity-water), 지표수경로 인체독성(Human toxicity-surface water), 대기경로 인체독성(Human toxicity-air) 등 4가지 범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환경영향값을 보였다. SVE방법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범주는 인체독성(토양)이었으며 바이오파일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경범주는 수생태독성이었다. SVE방법의 세부 공정별 환경영향을 분석한 결과 운영단계에서 전체 환경영향의 60%를 초래하였고 활성탄교체단계가 36%를 초래하는 등 두 개 단계가 전체 환경영향의 96%를 차지하였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투입물은 운영 중 사용된 전기였다. 바이오파일 세부 공정별 환경영향 분석결과에서도 운영단계가 전체영향의 55.7%를 차지하였고 활성탄교체단계가 12.4%를 차지하였다. 바이오파일에서도 역시 전기사용에 따른 환경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SVE 와 바이오파일, 두 공정 모두 운영단계에서 소비되는 전기에 의한 환경영향이 가장 크므로 오염토양 정화시스템 운영 중 전기소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운영방안이 필요하다. 오염토양 정화는 비교적 장기간 많은 에너지와 물질이 투입된다. 최근 이산화탄소발생량 감축과 녹색성장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오염토양정화공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운영 중 전기소비량은 전과정영향평가 및 탄소배출량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앞으로 보다 신뢰성 높은 전과정평가를 위해서 전기사용량에 대한 데이터 수집 및 확보가 가장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95% remediation of a total petroleum hydrocarbon-contaminated soil were evaluated using life cycle assessment (LCA). LCA of two remediation systems, soil vapor extraction (SVE) and biopile, were conducted by using imput materials and energy listed in a remedial system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CA의 목표는 대표적 오염토양 정화기술인 SVE와 바이오파일을 적용할 경우 환경영향을 산정하여 비교하는 것이며 각 정화과정을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세부공정을 도출하는 것이다. LCA 기능(function)은 오염부지내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것이며, 기능단위(functional unit)는 토양 1,000 m3 내 TPH를 95% 제거하는 것이다.
  • 4)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토양 및 지하수 오염 정화작업에 대한 전과정평가 연구가 공식적으로 발표된 사례가 없다. 본 연구는 국내 토양정화기술 중 표준화작업이 일부 진행되었던 SVE와 바이오파일(Biopile)기술에 대해 LCA기법을 적용하여 각 정화기술의 환경영향 및 이산화탄소발생량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에 대해 연구하였다.
  •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2003년 환경부의 ‘오염토양 복원작업 품셈자료 산출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이하 “오염품셈”)’5)에 제시된 SVE시스템 및 바이오파일시스템이 총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10,000 mg/kg로 오염된 1,000 m3의 유류오염부지를 토양환경보전법상 1지역 기준인 500 mg/kg까지 정화하는 전과정을 평가하고 예상되는 환경영향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5) 오염토양 정화는 비교적 장기간 많은 에너지와 물질이 투입된다. 최근 이산화탄소발생량 감축과 녹색성장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라 오염토양정화공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예상된다.
  • 8) 그러나 SVE 운영시 추출정(extraction well)의 추출 가스오염물질의 농도는 토양의 우선흐름경로(preferential flow) 현상으로 예상된 탄화수소 농도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SVE의 탄화수소 추출효율을 현장 데이터를 참고하여 11%로7) 설계한 결과 SVE시스템으로 연구 대상 유류오염부지를 정화하는데 750일, 약 2.
  • × 깊이 5 m) 토양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하수오염은 고려하지 않았다. 토양은 SVE와 바이오파일이 적용되기 적합한 실트질 모래로서 토양 공극률과 토양총체단위밀도는 환경부 토양오염위해성평가지침에 제시된 대표값인,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환경보전법에는 토양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일정 규모이상의 시설을 무엇으로 규정하는가? 토양환경보전법에는 토양오염의 가능성이 높은 일정 규모이상의 시설을 특정토양오염시설로 규정하고 있다. 2008년까지 우리나라의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은 22,451개소에 이른다.
전과정평가의 목표는 무엇인가? LCA의 목표는 대표적 오염토양 정화기술인 SVE와 바이오파일을 적용할 경우 환경영향을 산정하여 비교하는 것이며 각 정화과정을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환경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세부공정을 도출하는 것이다. LCA 기능(function)은 오염부지내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것이며, 기능단위(functional unit)는 토양 1,000 m3내 TPH를 95% 제거하는 것이다.
2000~2006년간 국내 토양오염 정화를 위해 적용된 기술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특정토양오염관리시설에 대한 정기 토양오염도 조사결과 매년 200개 이상의 사업장이 토양오염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과항목의 대부분은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 및 Benzene, Toluene, Ethybenzenes, Xylenes (BTEX)이다.1) 2000~2006년간 국내 토양오염 정화를 위해 적용된 기술을 살펴보면 토양증기추출법(soil vapor extraction: SVE)이 29.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생물학적통풍법(Bioventing)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환경부, 토양보전기본계획(2010-2019), (2009). 

  2. 환경부, 오염토양 정화방법 가이드라인(2007). 

  3. USEPA, Superfund Green Remediation Strategy, Office of Solid Waste and Emergency Response(2010). 

  4. Lemming, G., Hauschid, M. Z. and Bjerg, P. L., "Life cycle assessment of soil and groundwater remediation technologies: literature review," Int. J. Life Cycle Assess., 15, 115-127(2010). 

  5. 환경부, 오염토양 복원작업 품셈자료 산출근거 마련을 위한 연구(2003). 

  6. 환경부, 토양오염위해성평가지침(2006). 

  7. Johnson, P. C., Stanley, C. C., Kemblowski, M. W., Byers, D. L. and Colthart, J. D., "A practical apporach to the design, operation, and monitoring of in situ soil venting systems," Ground Water Monitor. Rem., 10, 159-178(1990). 

  8. Martins, S. and Gregory, S, "Effects of Natural Environmental Changes on Soil-Vapor Extraction Rates," In Proceedings of Remediation of Chlorinated and Recalcitrant Compounds, Montery, CA, United States(2006). 

  9. 정승우, 안윤주, 이병진, 토양복원공학, 동화기술(2009). 

  10. Chaineau, C. H., Yepremian, C., Vidalie, J. F., Ducreux, J. and Ballerini, D., "Bioremediation of a crude oil-polluted soil: biodegradation, leaching and toxicity assessments," Water, Air, Soil Pollut., 144, 419-440(2003). 

  11. Swiss Centre for Life Cycle Inventories, ecoinvent LCI data v. 2.1(2009). 

  12. Leiden University, CMLCA software v.5.1(2010). 

  13. 국토해양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공사표준품셈(2011). 

  14. U.S. Air Force, Sustainable Remediation Tool(2010). 

  15. 한국전력, 산업용 전기요금표(2010). 

  16. U.S. Army Corps of Engineers, Engineering and Design: Adsorption Design Guide(2001). 

  17. Bayer, P., Heuer, E., Karl, U. and Finkel, M., "Economical and ecological comparison of granular activated carbon (GAC) adsorber refill strategies," Water Res., 39, 1719-1728(2005). 

  18. 영신산업, 토목섬유 product info, www.토목용부직포.com 

  19. Gallego, J. L., Sierra, C., Permanyer, A., Pelaez, A.I., Menendez- Vega, D. and Sanchez, J., "Full-scale remediation of a Jet fuel-contaminated soil: assessment of biodegradation, volatilization, and bioavailability," Water, Air, Soil Pollut., DOI: 10.1007/s11270-010-0579-6(2010). 

  20. Hauschild, M. Z., Potting J., Spatial differentiation in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 the EDIP-2003 methodology; Environmental news No. 80 2005;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Danish Ministry of the Environment(2005). 

  21. Swiss Centre for Life Cycle Inventories, Implementation of Life Cycle Impact Assessment Methods Data v2.2(2010). 

  22. USEPA, Energy Consumption and Carbon Dioxide Emissions at Superfund Cleanups, Office of Superfund Remediation and Technology Innovation(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