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에 분포하는 지의류상 연구
A Study on Lichen Diversity in the Placenta Chamber of Prince King Sejong's Sons, Seongju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6 no.2, 2020년, pp.93 - 102  

박정신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  우정재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  오승환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  오순옥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의류효모를 포함하는 곰팡이와 조류의 공생체로 복합미생물이다. 지의류의 다양한 종들은 문화재에서 흔히 발견되며 풍화작용과도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유럽에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문화재에서 지의류에 관한 연구 보고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국립수목원에서 진행하는 생활권 및 특수지역에 서식하는 버섯·지의류 탐색 및 분류 연구 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의 지의류상 조사에서 밝혀진 내용을 보고한다. 총 19기의 태실로부터 총 65점의 지의류를 채집하였으며, 채집된 지의류를 형태학 및 분자생물학적으로 동정한 결과 3강 10목 17과 23속 40종이 밝혀졌다. 형태학적 분류 결과 잎의 형태를 띠는 엽상지의류(24점, 36.9%)와 딱지 형태를 띠는 가상지의류(24점, 36.9%)가 나뭇가지 형태를 띠는 수지상지의류(17점, 26.2%)에 비해 높은 비율로 분포하였다. 이들 중 엽상지의류에 속하는 Xanthoparmelia coreana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가상지의류인 Lepraria sp.가 19기 태실 모두에 분포하였다. 또한 수지상 지의류인 Cladonia속이 8종으로 종 다양성이 가장 높았다. 계양군 태실에서 16종의 지의류가 채집되어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인 반면, 금성대군 태실의 경우 5종의 지의류가 채집되어 가장 낮은 종 다양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문화재에 분포하는 지의류 종 다양성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ichen is a complex microorganism comprising fungi and algae. Various lichens are commonly found in cultural heritage and are reportedly related to weathering. Lichens are commonly studied in Europe; however, few reports exist on lichens in Korean cultural heritag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에 분포되어 있는 지의류의 종을 조사하고, 지속적으로 문제되는 문화재 보존 처리 연구사업에 이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en, J., Blume H.P. and Beyer, L., 2000, Weathering of rocks induced by lichen colonization-a review. Catena, 39, 121-146. 

  2. Chiari, G. and Cossio, R., 2002, Ethyl silicate treatment's control by image treatment procedure. I Silicati Nella Conservazione, Torino, February 13-15, 147-156. 

  3. Chudhury, M.P., Sarma, M., Nayaka, S. and Upreti, D.K., 2016, Distribution of lichens on few ancient monuments of Sonitpur district, Assam, North East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8(11), 291-296. 

  4. Chung, Y.J., Seo, M.S., Lee, K.S. and Han, S.H., 2003, The bio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of stone historical monuments. Conservation studies, 24, 5-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an, S.H. and Ahn, H.K., 1990. Biological damage factors and preservation measures of stone cultural heritage.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23, 180-189. (in Korean) 

  6. Hur, J.S., Oh, S.O. and Han, S.G., 2016, Flora of macrolichen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521. (in Korean) 

  7. Hur, J.S., Oh, S.O., Park, J.S., L?kos, L., Sergei Y.K., Bae, J.G. and Oh, S.H., 2017. Flora of microlichens in Korea II.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1-245. (in Korean) 

  8. Kashiwadani, H., 2012, What is lichen?. GEOBOOK, Seoul, 1-223. (Original work published 2009) 

  9. Kim, G.H., Kotchkova, T.A. and Jeong, Y.J., 2003, A study on the bioinvasion of stone pagoda in Jungwon Mirecksa temple site. Report of Japan-Korea joint research, 65-92. (in Korean) 

  10. Kim, Y.J., Kim, O.J. and Lee, O.M., 2010, The distribution of aerial algae and the assessment of biological pollution class at 8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3), 259-2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Y.J., Kim, O.J. and Lee, O.M., 2011, The community of aerial algae and the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at 9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7(2), 145-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Y.H., Lee, J.M., Choi, M.J., Hong, J.Y., Jo, C.W., Kim, S.J. and Jeong, S.Y., 2017, Identification and FT-IR spectrum analysis of lichens on flagpole support in Beopjusa templ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3(5), 391-3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J.M. and Kim, S.D., 2015, Weathering damage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ree-story stone pagoda of Bulguksa temple in Gyeongju. Stone cultural Heritage repair and Conservation management, Seoul, November 11-12, 74-83. (in Korean) 

  14. Min, K.H., 1985, Effect of lower plants on ston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tudies, 6, 1-11. (in Korean) 

  15. Min, K.H., Ahn, H.K. and Lee, P.S., 1986,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royal mausoleums of Seoul area. Conservation studies, 7, 11-23. (in Korean) 

  16. Municchia, A.C., Bartoli, F., Taniguchi, Y., Giordani, P. and Giulia, C., 2018, Evaluation of the biodeterioration activity of lichens in the cave church of Uzumlu (Cappadocia, Turkey).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127, 160-169. 

  17. Nash, T.H., 2008, Lichen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87. 

  18. Orange, A., James, P.W. and White, F.J., 2010. Microchemical methods for the identification of lichens. British Lichen Society, London, 8-9. 

  19. Pinna, D., 2014. Biofilms and lichens on stone monuments: do they damage or protect?. Frontiers in Microbiology, 5, 133. 

  20. Prieto, B., Carballal, R. and Lopez de Silanes, M.E., 1994. Colonization by lichens of granite dolmens in Galicia (NW Spain).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34, 47-60. 

  21. Prieto Lamas, B., Rivas Brea, M.T. and Silva Hermo, B.M., 1995, Colonization by lichens of granite churches in Galicia(northwest Spai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167, 343-351. 

  22. Shim, H.Y., 2015, Form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aesil(placenta chamber) on Mt. Seonseok, Seongju. The Journal of Youngnam Studies, 27, 53-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hin, H.T., Kim, Y.S., Lee, M.H. and Yoon, J.W., 2011. Status of exotic plant species with in the cultural properties in Seongju-gun, Gyeongsangbuk-do. MUNHWAJAE 44(1), 162-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Sohrabi, M., Favero-Longo, S.E., Perez-Ortega, S., Ascaso, C., Haghighat, Z., Talebian, M.H., Fadaei, H. and de los Rios, A., 2017, Lichen colonization and associated deterioration processes in Pasargadae, UNESCO world heritage site, Iran.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117, 171-182. 

  25. White, T.J., Bruns, T., Lee, S. and Taylor, J., 1990, Amplification and direct sequencing of fungal ribosomal RNA genes for phylogenetics. Academic Press, Orlando, 315-3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