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류문화재의 보채에 쓰이는 봉채의 채색 및 열화 양상 연구
Study on Coloring and Aging Pattern of Bongchae used for Conservation Treatment of Paper Cultural Propertie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5 no.5, 2019년, pp.416 - 429  

송정원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김명남 (국립문화재연구소 복원기술연구실) ,  이장존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채는 지류문화재 보존처리의 마지막 단계로 주로 봉채를 사용한다. 본 연구는 지류문화재 보채에 쓰이는 4종의 봉채(본람, 등황, 연지, 대자)를 한지에 채색한 후 채색 양상을 확인하고 인공열화를 통해 색변화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채색 양상을 관찰한 결과 본람·연지·대자는 미세한 안료 입자가 도포되는 형태였으며, 등황은 피막을 형성하였다. 봉채의 X선 회절분석 결과 본람과 연지, 대자에서 석영방해석, 납석이 공통적으로 검출되었고, 대자에서 침철석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인공열화 결과 습열열화에서 등황이 노란색에서 주황색으로 변색되었으며, 자외선열화에서는 등황과 연지가 탈색되었다. 결과적으로 봉채로 보채된 지류문화재는 등황이 채색된 경우 알칼리에 의해 주황색으로 변색될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해 등황과 연지의 탈색이 우선적으로 발생하여 전체적인 색상이 어두워짐을 예측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ongchae is primarily employed for toning, which is the last step in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paper's cultural properti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loring patterns of four types of Bongchae(Bonram, Gamboge, Yeonji, and Daeja) and determine the associated color change p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실제 보존처리 과정과 동일하게 4종의 봉채를 각각 아교포수된 한지에 도포한 후 채색된 상태를 관찰하고 인공열화시켜 추후 변색되는 양상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 본고에서는 봉채의 채색 양상을 관찰하고 인공열화를 통해 추후 색이 변화하는 상태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Elisabeth, W.F., 1997, Artists' pigments: A handbook of their history and characteristics. In: Elisabeth, W.F.(ed.),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3. 147-147. 

  2. Eom, J.I., 2017, Current status analysis and manufacturer studies on commercial Korean painting materials - Focusing on pigment and glu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57-71. (in Korean) 

  3. Kim, M. and Lee, S.H., 2016, A study on the materials and techniques of traditional Korean painting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Buyeo. (in Korean) 

  4. Korea Reliability Certification Center, 2017, Accelerated photo degradation test method - Fluorescent UV ramp test (RS-KORAS-FITI-049), 4-5. (in Korean) 

  5. Lee, H.J., 2015, Study on the pigments analysis of the colored cultural properties by spectrometry.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Buyeo, 54-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Lee, Y.J. and Choi, T.H., 2019, Effect of glue and alum mixing ratio on the color variation of traditional sizing hanji.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5(2), 155-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Nimeroff, I., 1968, Colorimetry. National Bureau of Standard Monograph, 104, 4-32. 

  8. Oh, J.S., 2007, The effects of various vegatable pesticides on materials of cultural property - Dyed and undyed silk fabrics, cotton fabrics and Korean papers, undyed ramie fabric, pigments, painted plate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0(14), 9-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