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coccus lactis ET45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ET45 Isolated from Kimchi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7 no.1, 2011년, pp.74 - 80  

정성엽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공정센터) ,  박찬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공정센터) ,  최낙식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공정센터) ,  양희종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공정센터) ,  김차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공정센터) ,  윤병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공정센터) ,  강대욱 (창원대학교 보건의과학과) ,  유연우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  김민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산업공정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illus cereus에 항균활성을 갖는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유산균을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선별한 균주는 Bergey's manual, 16S rDNA 분석을 통하여 Lactococcus lactis로 동정되었으며, L. lactis ET45로 명명하였다. ET45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pH 3.0-11.0까지 안정하였고, 열 안정성 테스트결과 $40-121^{\circ}C$까지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박테리오신의 생산을 위한 최적 조건으로 MRS 액체배지에서 초기 pH 7.5, $30^{\circ}C$에서 18시간 배양하였을 때 최대생산을 보였다. 박테리오신의 항균활성이 proteinase K의 처리로 활성이 소실되어, 박테리오신이 단백질성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박테리오신의 분자량은 tricine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amide gel electrophoresis (TSDS-PAGE)를 통하여 약 4.5 kDa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um having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Bacillus cereus, was isolated from Kimchi. The selected strain was identified as Lactococcus lactis by the Bergey's manual and 16S rDNA analysis, and named as L. lactis ET45. The bacteriocin was stable in the pH range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식품 병원성 균 중의 하나인 Bacillus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우수한 유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으며, 분리균주인 Lactococcus lactis ET45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을 부분 정제하여 저해범위와 안정성 그리고 분자량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테리오신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탄수화물을 이용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미생물로서 유제품, 육류, 채소 등의 발효가공에 종균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식품의 보존성 향상 및 향기 등의 관능적 특성과 영양학적 가치에도 기여하고 있다(6, 22, 30). 이러한 유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세포표면의 특정 혹은 비특정 수용체에 부착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표적 세포의 세포질 막의 투과성을 변화시켜 막 수송을 방해하거나 PMF (proton motive force)에 영향을 줌으로써 에너지 생산과 단백질이나 핵산의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유산균이란 무엇인가?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며, 탄수화물을 이용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미생물로서 유제품, 육류, 채소 등의 발효가공에 종균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식품의 보존성 향상 및 향기 등의 관능적 특성과 영양학적 가치에도 기여하고 있다(6, 22, 30). 이러한 유산균이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은 세포표면의 특정 혹은 비특정 수용체에 부착하여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표적 세포의 세포질 막의 투과성을 변화시켜 막 수송을 방해하거나 PMF (proton motive force)에 영향을 줌으로써 에너지 생산과 단백질이나 핵산의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박테리오신 중 Nisin의 특징과 용례는 무엇인가? lactis 균주에서 발견한 nisin이다. Nisin은 자체 독성이 없고, 장내세균이나 소화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고, 생리적 pH 범위 내에서 안정하며, 독성 시험 결과에 의해 안전한 물질임이 입증되었다, 또한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로부터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로 인정되어 현재 약 50개국에서 가공치즈, 과일 및 야채통조림, 발효유 제품, 육류가공품 등에 식품보존제로서 사용되고 있다(8, 9, 10, 13, 3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trih, A., N. Rekhif, M. Michel, and G. Lefebvre. 1993. Detection of bacteriocins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strains isolated from different foods. Microbios 75, 117-123. 

  2. Bang, B.H., J.S. Seo, and E.J. Jeong. 2008. A method for maintaining good Kimchi quality during fermentation. Kor. J. Food. Nutr. 21, 51-55. 

  3. Cho, M., E.K. Bae, S.D. Ha, and J. Park. 2005.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Food Sci. Indus. 38, 36-45. 

  4. Choi, H.J., C.I. Cheigh, S.B. Kim, and Y.R. Pyun. 2000. Production of a nisin-like bacteriocin by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A164 isolated from Kimchi. J. Appl. Microbiol. 88, 563-571. 

  5. Choi, E.M., Y.H. Kim, S.J. Park, Y.I. Kim, Y.M. Ha, and S.K. Kim. 2004.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lacticin YH-10,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YH-10 isolated from Kimchi. J. Life Science 14, 683-688. 

  6. Choi, H.J., H.S. Lee, S. Her, D.H. Oh, and S.S. Yoon. 1999.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cloning of leuconocin J, a bacteriocin produced by Leuconostoc sp. J2 isolated from the Korean fermented vegetable Kimchi. J. Appl. Microbiol. 86, 175-181. 

  7. Cleveland, J., T.J. Montville, I.F. Nes, and M.L. Chikindas. 2001. Bacteriocins: safe, natural antimicrobials for food 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71, 1-20. 

  8. Delve, B.J. 1990. Nisin and its uses as a food preservative. Food Technol. 44, 100-117. 

  9. Dodd, H.M., N. Horn, Z. Hao, and M.J. Gasson. 1992. A lactococcal expression system for engineered nisins. Appl. Environ. Microbiol. 58, 3683-3693. 

  10. FDA. Nisin preparation. 1988. Affirmation of GRAS status as a direct human food ingredient. Food Drug Admin. Fed. Reg. 53, 11247. 

  11. Felske, A. and A.D.L. Akkermans. 1998. Spatial homogeneity of abundant bacterial 16S rRNA molecules in grassland soils. Microb. Ecol. 36, 31-36. 

  12. Holt, J.G., N.R. Krieg, P.H.A. Sneath, J.T. Staley, and S.T. Williams. 1994. Regular, nonsporing gram-positive rods, pp. 565-570. In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9thed. Williams and Wilkins. Baltimore, USA. 

  13. Hurst, A. 1981. Nisin. Adv. Appl. Microbiol. 27, 85-123. 

  14. Jack, R.W., J.R. Tagg, and B. Ray. 1995. Bacteriocin of Gram-positive bacteria. Microbiol. Rev. 59, 171-200. 

  15. Kim, D.S. 2002. Characteristics of the bacteriocin from Lactobacillus sp. Oh-B3. Kor. J. Microbiol. Biotechnol. 30, 184-188. 

  16. Klaenhammer, T.R. 1993. Genetics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FEMS Microbiol. 12, 39-86. 

  17. Klaenhammer, T.R. 1998. Bacteriocin of lactic acid bacteria. Biochimie 70, 337-349. 

  18. Kwark, K.S., J.G. Cu, K.M. Bae, and H.K. Jun. 1999.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coccus sp. J-105 isolated from Kimchi. Kor. J. Life Science 9, 111-120. 

  19. Lee, M.K., K.K. Rhee, J.K. Kim, S.M. Kim, J.W. Jeong, and D.J. Jang. 2007. A survey of research papers on Korean Kimchi and R&D trends. Kor. J. Food Culture 22, 104-114. 

  20. Lim, S.M. and D.S. Im. 2007. Bactericidal effect of bacterioci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11 isolated from Dongchimi on Escherichia coli O157. J. Food Hyg. Safety 22, 151-158. 

  21. Lind, H., H. Jonsson, and J. Schnurer. 2005. Antifungal effect of dairy propionibacteria?contribution of organic acids. Int. J. Food Microbiol. 98, 157-165. 

  22. Lingren, S.E. and W.J. Dobrogosz. 1990. Antagonistic activities of lactic acid bacteria in food and feed fermentation. FEMS Microbiol. Rev. 87, 149-163. 

  23. Maisnier, P.S., E. Forni, and J. Richard. 1996. Purification,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mode of action of enterococcin EFS2, an antilisterial bacteriocin produced by a strain of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d from a Cheese. Int. J. Food Microbiol. 30, 255-270. 

  24. Mattick, A.T.R. and A. Hirsch. 1947. Further observations on an inhibitory substance (nisin) from lactic streptococci. Lancet 2, 5-8. 

  25. Moonchai, S., W. Madlhoo, K. Jariyachavalit, H. Shimizu, S. Shioya, and S. Chauvatcharin. 2005. Application of a mathematical model and differential evolution algorithm approach to optimization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coccus lactis C7. Bioprocess Biosyst. Eng. 28, 15-26. 

  26. Noonpakdee, W., C. Santivarangkna, P. Jumriangrit, K. sonomoto, and S. Panyim. 2003. Isolation of nisin-producing Lactococcus lactis WNC 20 strain from nham, a traditional Thai fermented Sausage. Int. J. Food Microbiol. 81, 137-145. 

  27. Parente, E., A. Ricciardi, and G. Addario. 1994. Influence of pH on growth and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140 NWC during batch fermentation. Appl. Microbiol. Biotechnol. 41, 388-394. 

  28. Schagger, H. and G.V. Jagow. 1987. Tricine-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for the separation of proteins in the range from 1 to 100 kDa. Anal. Biochem. 166, 368-379. 

  29. Settanni, L. and A. Corsetti. 2008. Application of bacteriocins in vegetable food bio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121, 123-138. 

  30. Steiles, M.E. and J.W. Hastings. 1991. Bacteriocin producing by lactic acid bacteria: potential for use in meat preservation. Trends Food Sci. Technol. 2, 247-251. 

  31. Tagg, J.R. and A.R. McGiven. 1971. Assay systems for bacteriocins. Appl. Microbiol. 21, 943. 

  32. U. 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999. Nisin preparation, Affirmation of GRAS stratus as a direct human food ingredient. Food & Drug Admin. Fed. Reg. 54, 6120-6123. 

  33. Walter, J., G.W. Tannock, T. Tilsala, A. Isjarvi, S. Rodtong, D.M. Loach, K. Munro, and T. Alatossava. 2000.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gastrointestinal Lactobacillus species by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d species-specific PCR primers. Appl. Environ. Microbiol. 66, 297-303. 

  34. Yang, E.J., J.Y. Chang, H.J. Lee, J.H. Kim, D.K. Chung, J.H. Lee, and H.C. Chang. 2002. Characterization of the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nd induction of bacteriocin production. Kor. J. Food Sci. Technol. 42, 311-3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