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brevis DK25의 박테리오신과 안식향산칼륨과의 혼용에 의한 Hurdle Technology 적용 가능성
Application Potential of Hurdle Technology by Combination of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brevis DK25 and Potassium Benzoat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7 no.4, 2011년, pp.364 - 374  

임성미 (동명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치미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brevis DK25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 당 분해능 및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하였다. L. brevis DK25가 생산한 박테리오신항균활성은 Enterococcus faecalis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해서만 나타나 항균 스펙트럼은 비교적 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배양과정 동안 L. brevis DK25의 박테리오신은 정지기 초기에 최대의 활성(1,280 AU/ml)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후에는 급격하게 감소되었으므로 박테리오신은 생산균이 증식하는 과정 동안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박테리오신의 활성은 protease 처리에 의해 완전히 소실되었으나 pH 4-9의 범위에서는 활성에 변함이 없었고,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처리에도 활성을 유지하였으므로 열에 비교적 안정하였다. 박테리오신의 L. monocytogenes KCTC 3569에 대한 항균활성은 농도의존적으로 나타났고 특히, $4^{\circ}C$$25^{\circ}C$에 저장하는 동안 마요네즈 내에 존재하는 L. monocytogenes KCTC 3569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선 박테리오신과 안식향산칼륨 용액을 단독으로 처리하는 것보다는 이들을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유의적으로 더 높은 항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L. brevis DK25가 생산한 박테리오신은 안식향산칼륨과 함께 식품의 제조 공정 중 식중독균 제어를 위해서 hurdle technology에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ctobacillus brevis DK25 isolated from Dongchimi was identified by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tests and 16S rDNA sequence analysis. Bacteriocin of L. brevis DK25 exhibits inhibitory activity against Enterococcus faecal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hen using agar well diffusion method. Maximal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숙성된 동치미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brevis DK25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항균 스펙트럼과 물리화학적 안정성을 조사하고, 또한 박테리오신과 화학 합성품인 안식향산칼륨과의 혼합 처리가 L. monocytogenes KCTC 3569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ND;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스테리아 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 중 미국의 사례는 어떠한가?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기온이 점점 상승하고 각 국가들간 국제 교역은 날로 활발해지며 단체급식이 확대 보급됨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식중독 사고는 끊임없이 계속해서 발생하여 막대한 경제적 피해와 공중보건을 위협하고 있다. 1981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에서 오염된 샐러드를 먹은 41명의 환자로부터 Listeria monocytogenes을 확인한 이후 해마다 리스테리아 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는 끊이질 않고 있으며 얼마 전 미국 보건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리스테리아균에 오염된 멜론을 먹고 100여 명이 식중독에 걸렸고 이중에서 총 18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33). 음식물을 통해 체내에 유입된 리스테리아균은 혈류를 따라 중추신경계 장애를 일으켜 설사, 발열, 근육통 및 두통을 동반하며 특히 임산부들에게는 유산이나 사산을 유발하고 신생아들에게는 뇌수막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면역력이 약한 노인들과 에이즈나 암 환자, 알코올중독자 및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장기 이식수술 환자들에게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8).
체내에 유입된 리스테리아균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1981년 캐나다 노바스코샤주에서 오염된 샐러드를 먹은 41명의 환자로부터 Listeria monocytogenes을 확인한 이후 해마다 리스테리아 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는 끊이질 않고 있으며 얼마 전 미국 보건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리스테리아균에 오염된 멜론을 먹고 100여 명이 식중독에 걸렸고 이중에서 총 18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33). 음식물을 통해 체내에 유입된 리스테리아균은 혈류를 따라 중추신경계 장애를 일으켜 설사, 발열, 근육통 및 두통을 동반하며 특히 임산부들에게는 유산이나 사산을 유발하고 신생아들에게는 뇌수막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면역력이 약한 노인들과 에이즈나 암 환자, 알코올중독자 및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는 장기 이식수술 환자들에게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28). 리스테리아균은 저온하에서도 증식이 가능한데 이는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방산의 조성을 변화시켜 세포막의 유동성을 유리한 조건으로 만들고 저온에 강한 단백질(cold shock proteins, Csps)을 생산하며 glycine betaine 및 carnitine과 같은 동해방지물질을 생산하여 자신의 세포를 보호할 수 있기 때문이다.
Listeria monocytogenes는 주로 어떤 식품에서 발견되는가? 주로 가공육, 훈연생선, 생야채, 사과쥬스, 우유, 치즈, 버터와 같은 유제품 등 다양한 식품에서 흔히 발견되므로 식품의 제조, 유통, 보관 및 조리 과정 중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학계나 식품 제조업체에서는 식품의 관능학적 및 영양학적 성분 변화없이 리스테리아균을 제어할 수 있는 식품 저장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39). 식중독균의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식품 제조를 위해 철저한 위해요소 분석및 제품의 광범위한 미생물 조사, 식품제조 시설의 관리 감독및 식품제조업자의 위생교육 강화 등의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제도 도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anou, S., A. Banos, M. Maqueda, M. Martinez-Bueno, A. Galvez, and E. Valdivia. 2010. Effect of combined physicchemical treatments based on enterocin AS-48 on the control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a model cooked ham. Food Control 21, 478-486. 

  2. Avery, S.M. and S. Buncic. 1997. Antilisterial effects of a sorbate-nisin combination in vitro and on packaged beef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J. Food Protect. 60, 1075-1080. 

  3. Batish, V.K., S. Grover, and R. Lal. 1989. Screening lactic starter cultures for antifungal activity. Cult. Dairy Prod. J. 24, 21-25. 

  4. Branen, J.K. and P.M. Davidson. 2004. Enhancement of nisin, lysozyme, and monolaurin antimicriobial activities by ethylenediaminetetracetic acid and lactoferrin. Int. J. Food Microbiol. 90, 63-74. 

  5. Bryan, F.L. 2002. Where we are in retail food safety, how we got to where we are, and how do we get there? J. Environ. Health 65, 29-36. 

  6. Buncic, S., S. Fitzgerald, C.M. Bell, and R.G. Hudson. 1995. Individual and combined listericidal effects of sodium lactate, potassium sorbate, nisin and curing salts at refrigeration temperatures. J. Food Safety 15, 247-264. 

  7. Calderon-Miranda, M.L., G.V. Barbosa-Canovas, and B.G. Swanson. 1999. Inactivation of Listeria innocua in liquid whole egg by pulsed electric fields and nisin. Int. J. Food Microbiol. 51, 7-17. 

  8. Condon, S. 1987. Responses of lactic acid bacteria to oxygen. FEMS Microbiol. Rev. 46, 269-280. 

  9. Daly, C., W.E. Sandine, and P.R. Elliker. 1970. Interactions of food starter cultures and food-borne pathogens: Streptococcus diacetylactis versus food pathogens. J. Milk Food Technol. 35, 349-357. 

  10. Garcia, M.T., M.M. Canamero, R. Lucas, N.B. Omar, R.P. Pulido, and A. Galvez. 2004. Inhibi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by enterocin EJ97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alis EJ97. Int. J. Food Microbiol. 90, 161-170. 

  11. Galvez, A., H. Abriuel, R.L. Lopez, and N.B. Omar. 2007. Bacteriocin-based strategies for food biopreservation. Int. J. Food Microbiol. 120, 51-70. 

  12. Galvez, A., H. Abriouel, N. Benomar, and R. Lucas. 2010. Microbiol antagonistic to food-borne pathogens and biocontrol. Curr. Opin. Biotechnol. 21, 142-148. 

  13. Gandhi, M. and M.L. Chikindas. 2007. Listeria: A foodborne pathogen that knows how to survive. Int. J. Food Microbiol. 113, 1-15. 

  14. Ha, D.M., D.S. Cha, and S.G. Han. 1994. Identific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their bacteriocin. J. Microbiol. Biotechnol. 4, 305-315. 

  15. Jack, R.W., J.R. Tagg, and B. Ray. 1995. Bacteriocin of gram-positive bacteria. Microbiol. Rev. 59, 171-200. 

  16. Jung, D.S., F.W. Bodyfelt, and M.A. Daeschel. 1992. Influence of fat and emulsifiers on the efficacy of nisin in inhibiting Listeria monocytogenes in fluid milk. J. Dairy Sci. 75, 387-393. 

  17. Jung, M.Y. and H.D. Paik. 2000. Identification and partial characterization of lacticin JW3,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coccus lactis JW3 isolated from commercial Swiss cheese products. Food Sci. Biotechnol. 9, 116-123. 

  18. Kang, T.K. and W.J. Kim. 2010. Characterization of an amylase-sensitive bacteriocin DF01 produced by Lactobacillus brevis DF01 isolated from Donchimi, Korean fermented vegetable. Kor. J. Food Sci. Ani. Resour. 30, 795-803. 

  19. Koh, S.K., J.E. Lee, H.W. Kim, S.S. Kim, Y.K. Park, Y.H. Park, and K.H. Koh. 2004. Identification and deacid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Korean red wine. Food Sci. Biotechnol. 13, 96-99. 

  20. Laemmli, U.K.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 680-685. 

  21. Mante, E.S., E. Sakyi-Dawson, and W.K. Amoa-Awua. 2003. Antimicrobial interactions of microbial species involved in the fermentation of cassava dough into agbelima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the inhibitory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on enteric pathogens. Int. J. Food Microbiol. 89, 41-50. 

  22. Mauch, A., F. Dal Bello, A. Coffey, and E.K. Arendt. 2010. The use of Lactobacillus brevis PS1 to in vitro inhibits the outgrowth of Fusarium culmorum and other common Fusarium species found on barley. Int. J. Food Microbiol. 141, 116-121. 

  23. Modi, K.D., M.L. Chikindas, and T.L. Montville. 2000. Sensitivity of nisin-resistant Listeria monocytogenes to heat and the synergistic action of heat and nisin. Lett. Appl. Microbiol. 30, 249-253. 

  24. Mundt, J.O. 1986.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pp. 577-592. In P.H.A. Sneath, N.S. Mair, M.E. Sharpe, and J.G. Holt (ed.), Williams & Wilkins, Baltimore, MD, USA. 

  25. Neetoo, H., M. Ye, and H. Chen. 2008. Potential antimicrobials to control Listeria monocytogenes in vacuum-packaged cold-smoked salmon pate and fillets. Int. J. Food Microbiol. 123, 200-227. 

  26. Nielsen, J.W., J.S. Dickson, and J.D. Crouse. 1990. Use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Pediococcus acidilactici to inhibit Listeria monocytogenes associated with fresh meat. Appl. Environ. Microbiol. 56, 2142-2145. 

  27. Nilsson, L., Y. Chen, M.L. Chikindas, H.H. Huss, L. Gram, and T.J. Montville. 2000. Carbon dioxide and nisin act synergistically on Listeria monocytogenes. Appl. Environ. Microbiol. 66, 769-774. 

  28. Ooi, S.T. and B. Lorber. 2005. Gastroenteritis due to Listeria monocytogenes. Clin. Pract. 40, 1327-1332. 

  29. O'Sullivan, L., R.P. Ross, and C. Hill. 2002. Potential of bacterioc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for improvements in food safety and quality. Biochimie 84, 593-604. 

  30. Otero, M.C. and M.E. Nader-Macias. 2006. Inhibi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by $H_2O_2$ -producing Lactobacillus gasseri isolated from the vaginal tract of cattle. Anim. Reprod. Sci. 96, 35-46. 

  31. Parente, E., C. Brienza, M. Moles, and A. Ricciardi. 1995. A comparison of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bacteriocin activity. J. Microbiol. Methods 22, 95-108. 

  32. Park, H.J., N.K. Lee, J.O. Choi, J.U. Ha, and H.D. Paik. 2001. Control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ground beef by lactococcal bacteriocins. Food Sci. Biotechnol. 10, 199-203. 

  33. Rocourt, J. 1996. Risk factors for listeriosis. Food Control 7, 195-202. 

  34. Ronka, E., E. Malinen, M. Saarela, M. Rinta-Koski, J. Aarnikunnas, and A. Palva. 2003. Probiotic and milk technologic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brevis. Int. J. Food Microbiol. 83, 63-74. 

  35. Sahl, H.G. 1991. Pore-formation in bacterial membrances by cationic lantiobiotics, pp. 347-358. In G. Jung and H.G. Sahl (eds.), Nisin and novel lantibiotics. Escom Publishers, Leiden, The Netherlands. 

  36. Schnurer, J. and J. Magnusson. 2005. Antifungal lactic acid bacteria as biopreservatives. Trends Food Sci. Technol. 16, 70-78. 

  37. Thomas, L.V., M.R. Clarkson, and J. Delves-Broughton. 2000. Nisin, pp. 463-524. In A.S. Naidu (ed.), Natural food antimicrobial systema. CRC Press, Boca-Raton, FL, USA. 

  38. Unicomb, L., P. Bird, and C. Dalton. 2003. Outbreak of Salmonella potsdam associated with salad dressing at a restaurant. Commun. Dis. Intell. 27, 508-512. 

  39. Wing, E.J. and S.H. Gregory. 2002. Listeria monocytogenes: Clinical and experimental update. J. Infect. Dis. 185, S18-S24. 

  40. Yakabe, T., E.L. Moore, S. Yokota, H. Sui, Y. Nobuta, M. Fukao, H. Palmer, and N. Yajima. 2009. Safety assessment of Lactobacillus brevis KB290 as a probiotic strain. Food Chem. Toxicol. 47, 2450-2453. 

  41. Zapico, P., M. Medina, P. Gaya, and M. Nunez. 1998. Synergistic effect of nisin and the lactoperoxidase system on Listeria monocytogenes in skim milk. Int. J. Food Microbiol. 40, 35-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