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지역별 확률강우량
Estimation of Regional Probable Rainfall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1 no.3, 2011년, pp.29 - 35  

김영호 (석탑엔지니어링) ,  여창건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서근순 (석탑엔지니어링) ,  송재우 (홍익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지역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관측소별 기존 관측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적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주요 지점 강우관측소를 연구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여 선정된 주요 지점 관측소에 대해 24시간 연최대강우량 평균값과 매개변수의 관계를 분석하여 2100년의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2100년 빈도별 확률강우량은 기상청 실측강우량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하는 방법, 확률분포매개변수는 실측 강우자료를 활용하고, 2100년까지의 강우자료는 A1B 시나리오를 활용하는 방법, A1B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는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A1B 시나리오에 의한 강우 예측값은 실측값 보다 과소 추정되어 이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보정이 필요하며, 분위 사상법을 적용하여 보정한 결과 모든 관측소에서 약 2.3~3.0배의 강우량이 평균적으로 상향조정 되었다. 실측강우 자료만으로 산정한 확률 강우량의 경우, 강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과대 산정되어 증가하는 경향이 강하며, A1B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하여 산정한 확률강우량의 경우 대체적으로 기존 관측자료의 증감율과 유사하게 산정되기는 하지만 지역적 특성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다소 발생하였다. 각 지점별로 24시간 연 최대 강우량 평균 증가율과 방법별로 산정된 확률강우량의 증가율을 비교하여 기후변화를 고려한 관측지점별 확률강우량 산정 방법을 선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proposes the suitable method for estimating the future probable rainfall based in 2100 on the observed rainfall data from main climate observation stations in Korea and the rainfall data from the A1B climate change scenario in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r all those,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주요 관측소에 대해 실측 강우 자료와 기상청의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미래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확률강우량을 산정하고 관측소별 기존 관측자료의 특성을 고려한 산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후변화로 인한 강우량 변화가 예상되는 주요 지점 9개 강우관측소를 연구 대상지점으로 선정하여 관측소별 24시간 연최대강우량 평균값과 매개변수의 관계를 분석하여 2100년의 빈도별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가설 설정

  •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IPCC 배출시나리오에 관한 특별보고서(IPCC, 2000)에서 설명된 시나리오를 말하며, 크게 4개 시나리오(A1, A2, B1, B2)로 나뉜다. A1 시나리오는 세계 경제의 매우 급속한 성장하고, 금세기 중반에 지구촌의 인구가 최고에 도달하며, 새롭고 좀 더 효율적인 기술의 급속한 도입을 가정한 시나리오다. A1 시나리오는 설명하는 기술변화 방향에 따라서 화석 연료를 집약적으로 사용하는 A1FI 그룹, 비화석 에너지 자원을 이용하는 A1T그룹, 모든 자원 간의 균형을 향해가는 A1B 그룹으로 나뉜다.
  •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를 고려한 미래 확률 강우량 산정을 위하여 21세기 말 이산화탄소 농도가 20세기 말의 두 배가 될 것으로 가정한 ‘A1B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 이러한 수문자료 해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확률분포형으로는 Normal 분포형, Log-Normal 분포형(2모수, 3모수), Gamma 분포형(2모수, 3모수), Log-Pearson Type 분포형, GEV(General Extreme Value) 분포형, Gumbel 분포형, Log-Gumbel 분포형(2모수, 3모수), Weibull 분포형(2모수, 3모수), Wakeby 분포형(4모수, 5모수), Generalized Logistic 분포형, Generalized Pareto 분포형 등이 있다. 이러한 확률분포형 중에서 미래의 강우에 대한 확률분포형도 Gumbel 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 Gumbel 분포형을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증가는 무엇에 영향을 미치는가? 현재의 기후도 이를 뒷받침 하듯이 집중호우, 태풍 등이 자주 발생하여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증가는 설계홍수량의 증가를 초래하며 그로 인한 하천제방 및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에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현재 수공구조물 및 방재시설 설계는 과거 30년간 기상 관측기록에 의한 확률강우량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어, 미래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고려가 미흡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의 추세는 어떠한가?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추세는 현재와 비교하여 21세기말(2071~2100년)에는 기온이 약 4℃ 상승하고, 강수량은 17%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 지구적 변화경향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기상청, 2010). 현재의 기후도 이를 뒷받침 하듯이 집중호우, 태풍 등이 자주 발생하여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변화가 지구온난화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는 증거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추세는 현재와 비교하여 21세기말(2071~2100년)에는 기온이 약 4℃ 상승하고, 강수량은 17%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어 전 지구적 변화경향과 비슷하거나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다(기상청, 2010). 현재의 기후도 이를 뒷받침 하듯이 집중호우, 태풍 등이 자주 발생하여 홍수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량의 증가는 설계홍수량의 증가를 초래하며 그로 인한 하천제방 및 수공구조물의 설계기준에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건설교통부 (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 연구조사 보고서-한국확률강우량도 작성. 

  2. 권영문 (2009) 강우량 자료의 증가 경향성을 고려한 강우빈도해석,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3. 권진욱 (2008) 한반도 기후변화 추세분석 및 Random Cascade 모형을 이용한 GCM 기후변화 모의 스케일 상세화,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4. 기상청 (2010) Climate change Handbook. 

  5. 김경욱 (2010) 기후변화에 따른 우이천 유역의 유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6. 김웅태, 이동률, 유철상 (2004)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유출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7권, 제4호, pp. 305-314. 

  7. 나양선 (2009) 기후변화에 따른 설계 강우 및 홍수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8. 배덕효, 정일원, 권원태 (2007)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I): 유역별 기후시나리오 구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40권, 제3호, pp.191-204. 

  9. 송재우 (2003) 기상이변과 설계기준, 기상소식, 기상청. 

  10. 안재현 (2000)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 분석,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1. 윤용남, 유철상, 이재수, 안재현 (1999) 지구온난화에 따른 홍수 및 가뭄 발생빈도의 변화와 관련하여:1.연/월강수량의 변화에 따른 일강수량 분포의 변화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2권, 제6호, pp.617-625. 

  12. Bella, V.A., Kaya, A.L., Jonesb, R.G., Moorea, R.J. and Reynard, N.S. (2009), Use of soil data in a grid-based hydrological model to estimate spatial variation in changing flood risk across the UK, Journal of Hydrology, Vol.377, No.3, pp. 335-350. 

  13. IPCC (2007) Climate Change 2007: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Fourth Assessment Report (AR4),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Y, USA. 

  14. QuintanaSegui. P., Ribes, A., Martin, E., Habet, E., Habets, F. and Boe, J. (2010) Comparison of three downscaling methods in simulating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hydrology of Mediterranean basins, Journal of Hydrology, Vol. 383, pp 111- 124. 

  15. www.climate.go.kr(기상청-기후변화정보센터)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