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통합지역모델을 이용한 한국형 중·상층 항공난류예측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Korean Mid- and Upper-Level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KTG) System Using the Regional Unified Model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1 no.4, 2011년, pp.497 - 506  

김정훈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전혜영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mid- and upper-level aviation turbulence guidance (KTG) system is developed using the unified model (UM)-based region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RDAP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KTG system includes three steps. First, the KTG system calculates a suit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실정에 최적화된 한국형 중·상층 항공난류예측시스템 (KTG)을 개발하기 위해, 기상청 현업일기예보모형인 12 km 수평해상도를 가지는UMRDAPS 자료로 개별난류진단지수를 계산하고 통합난류예측 방법론에 의거하여 하나의 KTG 예측인자로 통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의 한국 실정에 최적화된 한국형 중·상층 난류예측시스템 (Korean mid- and upper-level Turbulence Guidance; 이하 KTG)을 개발하기 위해, 현재까지 개발된 여러 개별난류진단지수들을 새로운 UM-RDAPS 예보장에서 계산하고 통합난류예측 방법론에 의거하여 하나의 앙상블 난류예측인자인 KTG로 통합하였다.
  • 이번 장에서는 현재 기상청 현업일기예보모델인 UMRDAPS를 이용해 개별난류진단지수들을 계산하고 이들로부터 구성된 UM-KTG의 예측성을 살펴보겠다. Table 2는 UM-RDAPS를 이용해 계산된 개별난류진단지수들의 예측성을 최근 6개월간(200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층 난류란 무엇인가? 3-6.6 km 상공), 상층 난류는 FL200 이상의 고도에서 수평 규모가 매우 작은 (약 10-1,000m) 대기 중의 요란 운동이 항공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항공기가 급격히 흔들리는 현상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중·상층 난류는 구름이 없거나 층운형 구름만 존재하는 맑은 하늘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청천난류 (clear air turbulence; CAT)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 예측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승객 및 승무원들이 안전벨트를 잘 메지 않고 있는 순항고도에서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 또한 심각하다 (Kim et al.
현업 예보모델의 결과를 초기값으로 사용한 다양한 난류발생 메커니즘에 근거한 여러 난류진단지수들이 무엇을 바탕으로 개발되어졌는가? 수십 km의 수평 해상도를 가지는 현재의 현업수치 예보모델의 예측장을 이용해 미세규모의 중·상층 난류를 명시적으로 예측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난류운동에너지는 현업모델 격자에서 분해 가능한 큰 규모 대기운동의 요란으로부터 작은 규모로 에너지가 캐스케이드 되어 전달된다는 난류 이론에 입각할 때 (e.g., Cho and Lindborg, 2001; Dutton and Panofsky, 1970), 현업모델 예보장에서 모의된 대기운동 이 정확하다고 가정할 경우 이로 인한 난류 발생의 예측이 논리적으로 가능해진다. 이를 바탕으로 현업 예보모델의 결과를 초기값으로 사용한 다양한 난류발생 메커니즘 (e.
중·상층 난류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가 심각한 이유는 무엇인가? 6 km 상공), 상층 난류는 FL200 이상의 고도에서 수평 규모가 매우 작은 (약 10-1,000m) 대기 중의 요란 운동이 항공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항공기가 급격히 흔들리는 현상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중·상층 난류는 구름이 없거나 층운형 구름만 존재하는 맑은 하늘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청천난류 (clear air turbulence; CAT)가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그 예측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며, 승객 및 승무원들이 안전벨트를 잘 메지 않고 있는 순항고도에서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 또한 심각하다 (Kim et al., 2011; Sharm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김정훈, 전혜영, 장욱, R. D. Sharman, 2009: 한국의 청천난류 예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 Part II: Graphical Turbulence Guidance (GTG) 시스템. 대기, 19(3), 269-287. 

  2. 민재식, 전혜영, 김정훈, 2011: 한국에서 발생한 청천난류 사례에서 나타나는 종관규모 대기상태에 대한 연구. 대기, 21(1), 69-83. 

  3. 손주형, 강기룡, 원성희, 박영연, 박윤호, 2011: 수치예보 시스템의 검증 (2010년). 3.2. 지역예보모델. 수치모델관리관실 기술보고서 2011-01, 발간등록번호:11-1360000-000230-10, 35-63. 

  4. 장욱, 전혜영, 김정훈, 2009: 한국의 청천난류 예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 Part I: 한국형 통합 난류 예측 알고리즘. 대기, 19(3), 255-268. 

  5. Benjamin, S. G., G. A. Grell, J. M. Brown, T. G. Smirnova, and R. Bleck, 2004: Mesoscale weather prediction with the RUC hybrid isentropic-terrain-following coordinate model. Mon. Wea. Rev., 132, 473-494. 

  6. Cho, J. Y. N. and E. Lindborg, 2001: Horizontal velocity structure functions in the upper troposphere and lower stratosphere. 1. Observations. J. Geophys. Res., 106, 10223-10232. 

  7. Colson, D., and H. A. Panofsky, 1965: An index of clear-air turbulence. Quart. J. Roy. Meteor. Soc., 91, 507-513. 

  8. Dutton, J. A., and H. A. Panofsky, 1970: Clear air turbulence: A mystery may be unfolding. Science, 167, 937-944. 

  9. Davies, T., M. J. P. Cullen, A. J. Malcolm, M. H. Mawson, A. Staniforth, A. A. White, and N. Wood, 2005: A new dynamical core for the Met Office's global and regional modeling of the atmosphere. Q. J. R. Meteorol. Soc., 131, 1759-1782. 

  10. Ellrod, G. and D. Knapp, 1992: An objective clear-air turbulence forecasting technique: Verification and operational use. Wea. Forecasting., 7, 150-165. 

  11. Fahey, T. H., 1993: Northwest Airlines atmospheric hazards advisory and avoidance system. Preprints, 5th Conf. on Aviation, Range, and Aerospace Meteorology, Vienna, VA, Amer. Meteor. Soc., 409-413. 

  12. Grell, G. A., J. Dudhia, and D. R. Stauffer, 1994: A description of the fifth generation Pen State/ NCAR mesoscale model. NCAR Tec Note, NCAR/TN-398+STR, pp 138. 

  13. Jaeger, E. B. and M. Sprenger, 2007: A Northern hemispheric climatology of indices for clear air turbulence in the tropopause region derived from ERA40 reanalysis data. J. Geophys. Res., 112, D20106, doi:10.1029/2006JD008189. 

  14. Kim, J.-H. and H.-Y. Chun, 2010: A numerical study of clearair turbulence (CAT) encounters over South Korea on 2 April 2007. J. Appl. Meteor. Climatol., 49, 2381-2403. 

  15. Kim, J.-H., 2011: Statistics and possible sources of aviation turbulence over South Korea. J. Appl. Meteor. Climatol., 50, 311-324. 

  16. Kim, J.-H., H.-Y. Chun, R. D. Sharman, and T. L. Keller, 2011: Evaluations of upper-level turbulence diagnostics performance using the Graphical Turbulence Guidance (GTG) system and pilot reports (PIREPs) over East Asia. J. Appl. Meteor. Climatol., 50, 1936-1951. 

  17. Koch, P., H. Wernli, and H. W. Davies, 2006: An event-based jet-stream climatology and typology. Int. J. Climatol., 26, 283-301. 

  18. Marroquin, A., 1998: An advanced algorithm to diagnose atmospheric turbulence using numerical model output. Preprints, 16th Conf. on Weather Analysis and Forecasting, Phoenix, AZ, Amer. Meteor. Soc., 79-81. 

  19. Mason, I., 1982: A model for assessment of weather forecasts. Aust. Met. Mag., 30, 677-688. 

  20. Skamarock, W. C., J. B. Klemp, J. Dudhia, D. O. Gill, D. M. Barker, M. G. Duda, X.-Y. Huang, W. Wang, and J. G. Powers, 2008: A description of the advanced research WRF version 3. NCAR technical note, NCAR/TN-475+STR. 

  21. Sharpiro, M. A., 1978: Further evidence of the mesoscale and turbulence structure of upper level jet stream-frontal zone systems. Mon. Wea. Rev., 106, 1100-1111. 

  22. Sharman, R., C. Tebaldi, G. Wiener, and J. Wolff, 2006: An integrated approach to mid- and upper- level turbulence forecasting. Wea. Forecasting, 21, 268-2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