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티븐 홀의 교육시설건축에 나타난 감성적 공간의 표현요소에 관한 연구 - 대학교육시설의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
An Study on the Expressive Elements of Sensible Space in Steven Holl's Educational Facilities - Focused on Public Space of University Facilities - 원문보기

교육시설 : 한국교육시설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18 no.2, 2011년, pp.15 - 23  

전유창 (아주대 건축학부) ,  김도식 (아주대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thods applied to educational facilities of Steven Holl's architecture, especially focusing on sensible elements in the public space. Steven Holl has realized distinct space by applying very specific and limited concept. such as perspective space, col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교육시설의 단편적 감성 접근의 요소인 색채 및 조형적 어휘의 한계를 넘어 스티븐 홀의 교육 시설에서 보이는 다양한 방식의 감성적 설계 요소들을 규명함으로써 지각적이고 현상학적인 체험의 장으로서 감성적 교육시설의 설계 및 이해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감성2)이란 주관적이고 단편적이며 구분이나 측정할 수 없는 요소로 정확한 체계가 있지는 않으나 스티븐 홀의 현상학 관점에서의 지각의 중요성과 기존 연구의 기초 자료를 통해 감성 표현의 물리적 실체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교육공간에서의 방법론적인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요소별로 체계화시키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그 주요한 논점에서 현상학적인 공간의 특질과 경험을 제공하는 주요한 요소로서 투시적 공간, 색, 빛과 그림자, 밤의 공간감, 시간과 지각, 물, 소리, 촉각적 영역, 비례와 스케일, 대지여건과 발상 등의 영역의 중요성을 밝힌바, 본 논문은 상기 요소 중 실내공간의 공공성과의 관련성 있는 요소를 중심으로 스티븐 홀의 작품에 나타난 감성적 요소들을 살펴본다.
  • 근대의 직선적인 시간의 개념을 넘어 베르그송의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복합적인 경험을 연속할 수 있게 하는 시간의 의미로 공간에 구축하려 한다. 현대의 미디어에 의한 산란되여진 시간적 경험을 지양하고 명상적이고 감성적인 시간의 요소로서의 연속성을 강조한다.
  • 특히 교육시설에 나타나는 공공공간은 학습과 체험의 현장으로서의 다양한 지각적 접촉과 감성 표현이 가능하도록 계획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공간에서의 설계요소들을 살펴보면 기능적이고 실증적인 디자인 방법론으로 말미암아 다양한 공간의 지각적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티븐 홀이 설계한 대학 교육시설의 공공공간에 나타나는 공간의 감성적 측면을 좌우하는 공간에서의 지각적 요소들의 건축 설계 적용방식에 대해 분석하고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추출해내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교육시설의 단편적 감성 접근의 요소인 색채 및 조형적 어휘의 한계를 넘어 스티븐 홀의 교육 시설에서 보이는 다양한 방식의 감성적 설계 요소들을 규명함으로써 지각적이고 현상학적인 체험의 장으로서 감성적 교육시설의 설계 및 이해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 빛과 그림자는 교육공간에서의 학습환경에 대한 기능적 성격으로 말미암아 간접광이 만드는 다양한 건축적 조작을 일반적으로 구현한다. 또한, 공간의 감각적인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모든 영역에 걸쳐 풍부한 감각적 인상들로 말미암아 공간에서의 감수성을 자극하려 한다. 또한, 빛의 유입은 수직 수평의 개구부를 활용해 입체적 빛의 유입이 활성화된다.
  • 본 연구는 교육시설에서의 감성적 공간의 필요성과 공공공간에서의 감성적 공간의 역할에 대해 고찰을 바탕으로 스티븐 흘의 건축에 나타난 감성적 어휘를 추출하고자 1图0년대 이후의 저술된 저서들을 중심으로 건축공간에 나타난 보편적 특성을 분석한다. 특히 1996년에 출판된 Question of Perception의 공동저작은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건축에서의 현상학 의미를 탐구한 주 저서로 현상학적인 공간의 탐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제시함과 동시에 본인의 설계에 적용된 건축적 요소인 투시적 공간, 색, 빛과 그림자, 밤의 공간감, 시간과 지각, 물, 소리, 촉각적 영역, 비례와 스케일, 대지 여건과 발상, 등의 설계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피력하여 본 연구의 주요한 자료로 사용된다.
  • 마지막으로 감성공간 구축 요소들을 스티븐 홀의 작품 중 1990년대 후반 이후 실현된 5개의 교육 시설 건물의 공공공간을 중심으로 감성적 공간구축어휘를 분석하며 이를 통해 본인이 추구한 현상학적 공간의 감성적 요소들이 실제 교육공간의 공공영역에 어떠한 방법으로 표현됐는지의 상관관계를 도출해 낸다. 연구는 스티븐 홀의 건축공간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측면을 중심으로 교육시설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공간에서의 감성적 공간 설계의 디자인 방법론적 접근을 주요한 연구 방법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즉정하기 어려운 감성적 연구를 주제로 논리적 전개를 하고 있음에도 현재의 교육공간에서 감성적 공간구현을 위한 다양한 건축요소 및 이의 활용을 위한 실용적 연구로서 그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 그는 과거 근대의 지각 연구는 인식이 과학적인 조절에 대한 이성적 사고가 가지는 경험의 풍요로움을 무시하고, 과학적 결론에 따라 편향된 시각을 고정하며 우리 몸이 가지는 지각적 체험을 배제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현상으로 이루어진 세계에 대한 의식은 지각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메를로 퐁티8) 의의미에 다가가기 위해 현상학의 공간 개념을 설계에 적용하고 있다. 체험적인 경험의 강조를 통해 건축과 인간과의 지각적 관계를 재생시키고자 하였다. 작업 방식에서도 감성적 특성은 일관성 있게 드러나는데 스티븐 홀은 다른 어떤 건축가보다도 개념적인 수채화 드로잉과 물성적 개념을 드러내는 모형작업을 중심으로 그의 아이디어를 전개한다(그림 2).
  • 따라서 본 연구는 스티븐 홀이 설계한 대학 교육시설의 공공공간에 나타나는 공간의 감성적 측면을 좌우하는 공간에서의 지각적 요소들의 건축 설계 적용방식에 대해 분석하고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추출해내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교육시설의 단편적 감성 접근의 요소인 색채 및 조형적 어휘의 한계를 넘어 스티븐 홀의 교육 시설에서 보이는 다양한 방식의 감성적 설계 요소들을 규명함으로써 지각적이고 현상학적인 체험의 장으로서 감성적 교육시설의 설계 및 이해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감성2)이란 주관적이고 단편적이며 구분이나 측정할 수 없는 요소로 정확한 체계가 있지는 않으나 스티븐 홀의 현상학 관점에서의 지각의 중요성과 기존 연구의 기초 자료를 통해 감성 표현의 물리적 실체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교육공간에서의 방법론적인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요소별로 체계화시키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