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릉지 토양인 아산통의 분류 및 생성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Asan Series Distributed on Rolling and Hilly Areas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6, 2011년, pp.1258 - 1263  

송관철 (국립농업과학원) ,  현병근 (국립농업과학원) ,  손연규 (국립농업과학원) ,  박찬원 (국립농업과학원) ,  전현정 (국립농업과학원) ,  문용희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il Taxonomy 분류체계 변화에 대응하여 구릉지에 널리 분포하는 토양으로 Inceptisols인 Typic Dystrudepts로 분류되고 있는 아산통을 재분류하고, 그 생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산통 대표단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Soil Taxonomy의 표준 분석방법인 Soil survey laboratory methods manual에 따라서 토양을 분석하여 Laboratory data sheets를 작성하였다. A층 (0~18 cm)은 암황갈색 (10YR 4/4)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고, BA층 (18~30 cm)은 진갈색 (7.5YR 5/6)의 자갈이 있는 양토, Bt1층 (30~52 cm)은 적색 (2.5YR 4/6)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Bt2층 (52~98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식양토, C층 (98~160 cm)은 적색 (2.5YR 4/8)의 자갈이 있는 양토이다. 구릉지 잔적층을 모재로 하는 토양으로 주로 임지로 이용되고 있다. udic 토양수분상과 mesic 토양온도상을 보유하며, 배수 양호하다. 아산통은 0~18 cm 깊이에 ochric 감식표층을 보유하고, 30~98 cm 깊이에서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argillic층 상부경계에서 125 cm 아래 깊이인 155 cm 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7.8%로 35% 미만이다. 따라서 아산통은 Inceptisols이 아니라 Ultisols로 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udic 토양수분상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Udults로 분류할 수 있으며,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다. Typic Hapludults의 분류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토성속 제어부위에서의 토성속이 식양질이고, 토양온도상이 mesic 온도상이기 때문에 아산통은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Dystrudepts가 아니라 Fine loamy, mesic family of Typic Hapludults로 재분류되어야 한다. 아산통은 경사가 비교적 완만하여 지형이 안정되어 있는 구릉지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침식이 일어나는 것에 비하여 토양수의 하향이동에 따른 점토집적작용과 염기용탈작용이 우선되고 있다. 그 결과 점토집적층인 argillic층을 보유하는 토양으로 생성 발달되었다. 또한 Alfisols과 Ultisols을 구분하는 가장 기본적인 분류기준인 기준깊이에서의 염기포화도 (양이온 합)가 35% 미만으로서 Alfisols이 아니라 강산성 토양인 Ultisols로 발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classify Asan series based on the second edition of Soil Taxonomy and to discuss the formation of Asan series distributed on the rolling to hilly areas. Morphological properties of typifying pedon of Asan series were investigated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구릉지에 분포하는 토양의 분류 또는 생성에 대한 연구는 Ultisols, 또는 Alfisols로 분류되는 토양에 편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릉지에 분포하는 토양 중 화강편마암, 편암, 편마암 풍화 잔적층을 모재로 하고 있으며 Inceptisols로 분류되고 있는 아산통을 선정하여 Soil Taxonomy의 분류체계 변화에 대응하여 재분류하고, 그 생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가 온화한 남부지방에서 구릉지는 어떻게 이용되는가? 구릉지는 토심이 깊고 도로 개발이 용이하므로 흔히 과수원이나 밭으로 개간하여 이용되고 있다. 특히 기후가 온화한 남부지방에서는 단감, 유자, 밤나무 단지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남해안 지역에서는 밭으로 개간하여 마늘, 시금치, 유채 등의 동작물과 고구마, 고추, 콩 등의 하작물이 재배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의 특징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기후조건을 보면 강우량이 증발산량보다 많은 온난습윤 기후이기 때문에 토양 중에서 하향 이동하는 물을 따라서 점토가 이동하여 만들어지는 점토집적층을 갖는 토양인 Ultisols 또는 Alfisols이 주로 생성될 수 있는 조건이다. 토양이 심하게 침식되거나 충적물이 다량으로 쌓이는 조건이 아닌 홍적대지나 약한 경사의 잔적지에는 우리나라의 기후 조건에 대응하여 Ultisols 또는 Alfisols이 주로 분포하고 있다.
구릉지란 무엇인가? 구릉지는 고도와 지면 기복에 있어서 평탄지와 산악지의 중간적 지형을 말하며 넓은 의미에서는 암석 풍화에 의한 잔적 야산지 외에 구릉지 모양의 침식된 단구, 융기 사구 또는 유사 풍화물 등도 포함되나 그 면적은 그리 많지 않다. 구릉지의 분포 위치는 주로 평탄 저지와 산악지의 중간 완충지대를 이루면서 산악지 주변에 연결되어 있지만 평탄 저지로 둘러싸인 독립 구릉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ung, Y.T., Y.P. No, and R.K. Park. 1977. Studies on the expansion of arable land in the Yeongnam District. II.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laimable soil (Maesan series) developed on the Tertiary rolling area of Yeongil-gun. Res. Rept. RDA (S&F). 19:151-158. 

  2.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NIAST). 2000. Taxonomical classifiction of Korean soils. Suwon, Korea. 

  3. Shin, J.S. and Y.H. Shin. 1971. Soil micromopholoical study of Sirye series. J. Korean Soc. Soil Sci. Fert. 4:67-73. 

  4. Song, K.C., S.J. Jung, B.K. Hyun, Y.K. Sonn, and H.K. Kwak. 2005. Classification and properties of Korean soils. In NIAST. Fruits and future prospects for soil survey in Korea. p.35-107. Suwon, Korea. 

  5. Song, K.C., B.K. Hyun, Y.K. Sonn, Y.S. Zhang, and C.W. Park. 2009a.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Jangho series. Korean J. Soil Sci. Fert. 42:330-335. 

  6. Song, K.C., B.K. Hyun, Y.K. Sonn, S.Y. Hong, Y.H. Kim, and E.Y. Choe. 2009b.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Bugog series. Korean J. Soil Sci. Fert. 42:472-477. 

  7. Song, K.C., B.K. Hyun, K.H. Moon, S.J. Jeon, and H.C. Lim. 2009c.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Yongheung series in Jeju island. Korean J. Soil Sci. Fert. 42:478-485. 

  8. Song, K.C., B.K. Hyun, Y.K. Sonn, Y.S. Zhang, and C.W. Park. 2010a.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Dongsong series distributed on the lava plain in Cheolweon. Korean J. Soil Sci. Fert. 43:217-223. 

  9. Song, K.C., B.K. Hyun, K.H. Moon, S.J. Jeon, H.C. Lim, and S.C. Lee. 2010b.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genesis of Jeju series in Jeju Island. Korean J. Soil Sci. Fert. 43:230-236. 

  10. Um, K.T. 1971. Gene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Red-Yellow Podzolic soils derived from residiuum on acidic and intermediate rocks. I. Jeonnam series. J. Korean Soc. Soil Sci. Fert. 4:187-192. 

  11. Um, K.T. 1973. Genesis and classification of the Red-Yellow Podzolic soils derived from residiuum on acidic and intermediate rocks. II. Songjeong series. J. Korean Soc. Soil Sci. Fert. 6:75-81. 

  12. Um, M.H. 1991. Genesi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il clay minerals derived from major parent rocks in Korea. J. Korean Soc. Soil Sci. Fert. 24:1-9. 

  13. USDA, Soil Survey Staff. 1975. Soil Taxonomy.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Agric. Handbook 436. USDA-SC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Washington, D.C. 

  14. USDA, Soil Survey Division Staff. 1993. Soil Survey Manual. Agricultural Handbook 18. USDA-NRCS, Washington. 

  15. USDA, NRCS. 1996. Soil survey laborarory methods manual. Soil Survey Investigation Report No.42 (revised). USDANRCS, Washington. 

  16. USDA, Soil Survey Staff. 1999. Soil Taxonomy.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2nd ed. Agric. Handbook 436. USDA-NRCS. CRC Press, Boca Paton, Fla., USA. 

  17. USDA, Soil Survey Staff. 2006. Keys to Soil Taxonomy. 10th ed. USDA- NRCS, Blacksbury, Virginia. 

  18. Yun, E.S., Y.T. Jung, I.S. Son, K.Y. Jung, and D.C. Lee. 2002. Parent materials and pedogenic properties of the 'Yongil' series distributed in eastern central area of Korea. J. Korean Soc. Soil Sci. Fert. 35:137-144. 

  19. Zhang, Y.S., S.J. Jung, S.K. Kim, C.J. Park, and Y.T. Jung. 2004.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il with differrent materials. Korean J. Soil Sci. Fert. 37:293-3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