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밭토양 유기재배가 토양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Organic Farming System on the Soil Microbial Population in Upland Soil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5, 2011년, pp.819 - 823  

이영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손연규 (국립농업과학원) ,  안병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이성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신민아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김은석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송원두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곽연식 (경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밭토양에서 콩 생육단계별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의 토양 미생물 개체수 변화를 2009년 5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평판배지 분석법으로 조사하였다. 콩 생육기간 동안 토양의 미생물 개체수는 곰팡이 개체수를 제외한 호기성 세균,그람음성 세균 및 바실러스 개체수는 유기농업이 관행농업에 비해 많았다. 콩 생식생장기에 유기농업 토양은 호기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바실러스 개체수가 관행농업 보다 거의 두배 이상 많았다. 바실러스 개체수는 밭토양에서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을 구분할 수 있는 잠재적인 지표로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seasonal changes of the soil microbial population by selected media in an organic farming system (OFS) with rye rotation cropping management compared to those in a conventional farming system (CFS) with chemical fertilizers, pesticide and herbicide from May 2009 to 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밭에서 콩을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으로 재배할 경우 토양 미생물의 계절적 변화를 연구하여 생태적 원리에 부합하는 유기농업의 장점을 밝혀내고 유기농업의 토양 미생물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이란 어떤 산업이라고 할 수 있는가? 농업은 다양한 토양 미생물에 의한 생태계 순환으로 환경과 가장 조화된 산업이다 (Pollock et al., 2008; Pretty, 2008; Zhao et al.
유기농업을 실천하는데 유기물 공급은 필수적인 요소라고 본 이유는? , 2008). 토양 미생물 다양성은 토양 유기물의 분해와 관련이 있다 (Waldrop et al., 2000).
유기농업의 장점은? 따라서 유기농업을 실천하는데 유기물 공급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Erenstein, 2002; Lal, 1991; Lee, 2010). 일반적으로 유기농업은 토양 미생물 형성을 촉진시키고 (Wright et al., 1999) 토양 미생물 다양성을 향상시키며 (Mäder et al., 2002) 환경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Altieri, 2002) 등의 장점이 알려져 있다. 또한, 유기농업은 토양 미생물의 분포와 활성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며 (Cl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tieri, M.A. 2002. Agroecology: The sceience of natural resource managemen for poor farmers in marginal environments. Agric. Ecosyst. Environ. 93:1-24. 

  2. Clark, M.S., W.R. Horwath, C. Shennan, and K.M. Scow. 1998. Changes in soil chemical properties resulting from organic and low-input farming practices. Agron. J. 90:662-671. 

  3. Dindal, D.L. 1990. Soil sampling and method of analysis. Soil Biology Guide. Wiley Interscience. 

  4. Drinkwater, L.E., D.K. Leturneau, F. Workneh, A.H.C. Van Bruggen, and C. Shennan. 1995.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conventional and organic tomato agroecosystems in California. Ecol. Appl. 5:1098-1112. 

  5. Erenstein, O. 2002. Crop residue mulching in tropical and semi-tropical countries: an evaluation of residue availability and other technological implications. Soil Till. Res. 67:115-133. 

  6. Gelsomino, C.C., A. Ambrosoli, R. Minati, and P. Ruggiero. 2004. Functional and molecular responses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under differing soil management practice. Soil Biol. Biochem. 36:1873-1883. 

  7. James, N. 1958. Soil extract in soil microbiology. Can. J. Microbiol. 4:363-370. 

  8. Lai, R. 1991. Tillage and agricultural sustainability. Soil Till. Res. 20:133-146. 

  9. Lee, Y.H. 2010. Evaluation of no-tillage rice cover crop cropping systems for organic farming. Korean J. Soil Sci. Fert. 43:200-208. 

  10. Lee, Y.H. and H. Kim. 2011.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farming systems for upland soybean cultivati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3):423-433. 

  11. Lee, Y.H. and S.K. Ha. 2011. Impacts of chemical properties on microbial populaton from uplan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2):242-247. 

  12. Lee, Y.H. and Y.S. Zhang. 2011. Response of microbe to chemical properties from orchard soil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2):236-241. 

  13. Lee, Y.S., J.H. Kang, K.J. Choi, S.T. Lee, E.S. Kim, W.D. Song, and Y.H. Lee. 2011.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cultivation systems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Korean J. Soil Sci. Fert. 44:118-126. 

  14. Liu, B., C. Tu, S. Hu, M. Gumpertz, and J.B. Ristaino. 2007. Effect of organic, sustainable, and conventional management strategies in grower fields on soil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and the incidence of Southern blight. Appl. Soil Ecol. 37:202-214. 

  15. Mader, P., A. Fliessbach, D. Dubois, L. Gunst, and U. Niggli. 2002. Soil fertility and biodiversity in organic farming. Science 296:1694-1697. 

  16. Martin, J.P. 1950. Use of acid, rose Bengal and streptomycin in the plate method for estimating soil fungi. Soil Sci. 69:215-232. 

  17. Pollock, C., J. Pretty, I. Crute, C. Leaver, and H. Dalton. 2008. Introduction sustainable agriculture. Philos Trans R. Soc. B. 363:445-446. 

  18. Pozo, C., V. Salmeron, B. Rodelas, M.V. Martinez-Toledo, and J. Gonzalez-Lopez. 1994. Effects of the herbicide alachlor on soil microbial activities. Ecotocicology 3:4-10. 

  19. Pretty, J. 2008. Agricultural sustainability: concepts, principles and evidence. Philos Trans R. Soc. B. 363:447-465. 

  20. Reganold, J.P., L.F. Elliott, and Y.L. Unger. 1987. Long-term effects of organic and conventional farming on soil erosion. Nature 330:370-372. 

  21. SAS Institute. 2006. SAS Version 9.1.3. SAS Inst., Cary, NC. 

  22. Stark, C., L.M. Condron, A. Stewart, H.J. Di, and M. O'Callaghan. 2007. Influence of organic and mineral amendments on microbial soil properties and processes. Appl. Soil Ecol. 35:79-93. 

  23. Suh, J.S. 1998. Soil microbiology. Korean J. Soil Sci. Fert. 31(S):76-89. 

  24. Suh, J.S., J.S. Kwon, and H.J. Noh. 2010. Effect of the long-term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s on microbial diversity in upland soils. Korean J. Soil Sci. Fert. 43: 987-994. 

  25. Suh, J.S. and J.S. Shin. 1997. Soil microbial diversity of paddy field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0:200-207. 

  26. Waldrop, M.P., T.C. Balser, and M.K. Firestone. 2000. Linking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to function in a tropical soil. Soil Biol. Biochem. 32:1837-1846. 

  27. Wright, S.F., J.L. Starr, and I.C. Paltineanu. 1999. Changes in aggregate stability and concentration of glomalin during tillage management transition. Soil Sci. Soc. Am. J. 63:1825-1829. 

  28. Zhao, J., Q. Luo, H. Deng, and Y. Yan. 2008.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sustainable agricultural development in China. Philos Trans R. Soc. B. 363:893-9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