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기농 시설엽채류의 유해미생물 오염평가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on Organic Leafy Vegetables at Greenhous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3 no.1, 2018년, pp.31 - 37  

오소영 (국립한경대학교 국제농업기술정보연구소) ,  남기웅 (국립한경대학교 원예생명과학과) ,  윤덕훈 (국립한경대학교 국제농업기술정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설엽채류에서 재배농법별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깻잎과 상추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유기농 및 관행 농가로부터 생산 및 수확 단계에서 식물체, 수확장갑, 수확비구니, 토양피복재 등으로부터 총 2,304개의 시료를 채취하여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E.coli, Environmental Listeria, Yeast & mold 등의 위생지표세균과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spp., Clostridium spp., L. monocytogenes등의 병원성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시설엽채류의 생산과정에서는 재배농법에 상관없이 위행지표세균은 검출되지 않거나 $3.4\;Log\;CFU/100cm^2$ 이하로 검출되었다. 유기농법으로 생산되는 깻잎과 상추에서 B. cereus와 S. aureus가 0.22~1.55 Log CFU/g로 조사되었고, 관행농법에서는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B. cereus는 0.42~2.19 Log CFU/g으로 조사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수확도구 및 멀칭필름에서도 재배농법과는 관계없이 위생지표세균과 유해균의 오염도는 낮았으며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확도구에서의 미생물 오염도가 높아질수록 식물체 표면의 미생물 오염도도 높아지는 정의 상관관계($R^2=0.4526$)가 있었다. 또한 유기농 시설엽채류 생산시 토양 피복시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미생물이 검출되지 않거나 피복을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시설엽채류 생산시 재배농법의 차이보다는 토양피복 및 수확과정의 미생물적 위생관리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leafy vegetables (perilla leaf and lettuce) in relation to cultivation methods. A total of 2,304 samples were collected from plants, harvesting tools and soil mulching film during the production and harvest stages from organic- an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설엽채류(상추, 깻잎)의 생산단계에서 부산물퇴비를 사용한 유기농가와 유기농자재를 사용한 유기농가, 그리고 관행농가에서의 유해미생물 오염실태를 파악하여 유기농 시설엽채류의 건전성과 미생물 위해평가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농업에서 우려되는 문제는? 또한 농업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화학물질에 대해 안전한 유기농산물에 대한 관심도 높다2,3). 유기농업은 화학비료 및 화학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여러 친환경자재뿐만 아니라 유해미생물의 증식이 우려되는 가축분뇨 기반의 퇴비를 사용하고 있으며3-6), 화학적방제제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해미생물의 증식이 우려되어 미생물 안전성에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실제로 유기농산물을 매개로 사람에게 다양한 질환이 유발되거나 사망에 이르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7,8).
유기농업에서 사용하는 퇴비는? 또한 농업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화학물질에 대해 안전한 유기농산물에 대한 관심도 높다2,3). 유기농업은 화학비료 및 화학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대신 여러 친환경자재뿐만 아니라 유해미생물의 증식이 우려되는 가축분뇨 기반의 퇴비를 사용하고 있으며3-6), 화학적방제제나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유해미생물의 증식이 우려되어 미생물 안전성에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실제로 유기농산물을 매개로 사람에게 다양한 질환이 유발되거나 사망에 이르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7,8).
유기농산물을 매개로 사람에게 다양한 질환이 유발된 독일의 사례는? 가 검출되었다12). 독일에서는 유기농 채소를 섭취하고 Enterohemorhagic Escherichia coli로 인하여 다수의 사망사고가 발생하였으며13), 2005년 스페인산양상추에서 Salmonella typhimurium이 검출되었는데 그 원인으로는 미처리된 하수를 관개용수로 이용했기 때문이었다12). 국내에서는 즉석섭취 및 편의식품에 대해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euchat L.R.: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and growth of human pathogens on raw fruits and vegetables. Microbes and Infection, 4, 413-423 (2002). 

  2. Bari M.L., Nei D., Enomoto K., Todoriki S., Kawamoto S.: Combination treatments for killing Escherichia coli 0157:H7 on alfalfa, radish, brocooli, and mung bean seeds. J. Food Prot., 72, 631-636 (2009). 

  3. Samara A., Koutsoumanis K.P.: Effect of treating lettuce surfaces with acidulants on the behavior of Listeria monocytogenes during storage at 5 and $20^{\circ}C$ and subsequent exposure to simulated gastric fluid. Int. J. Food Microbiol., 129, 1-7 (2009). 

  4. Erenstein, O.: Crop residue mulching in tropical and semitropical countries: an evaluation of residue availability and other technological implications. Soil Till. Res., 67, 115-133 (2002). 

  5. Lai, R.: Tillage and agricultural sustainability. Soil Till. Res., 20, 133-146 (1991). 

  6. Lee, Y.H.: Evaluation of no-tillage rice cover crop cropping systems for organic farming. Korean J. Soil Sci. Fert., 43, 200-208 (2010). 

  7. Lammerding A.M.: An overview of microbial food safety risk assessment. J. Food Protect., 60, 1420-1425 (1997). 

  8. Stephenson J.: New approaches for detecting and curtailing food borne microbial infections. J. Am. Med. Assoc., 277, 1337-1339 (1997). 

  9.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United States annual listing of foodborne disease outbreaks. Available from: http://www.cdc.gov/foodborneoutbreaks/outbreakdata.htm. Accessed Aug. 1 (2008). 

  10. Lomonaco S., Verghese B., Gerner-Smidt P., Tarr C., Gladney L., Joseph L., Katz. L, Turnsek M., Frace M., Chen Y., Brown E., Meinersmann R., Berrang M., Knabel S.: Novel epidemic clones of Listeria monocytogenes, United States. Emerg. Infect. Dis., 19, 147-150 (2013). 

  11. FDA. Fresh strawberries from washington county farm implicated in E. coli O157 outbreak in NW Oregon. Available from: http://www.fda.gov/Safety/Recalls/ucm267667.htm. Accessed Aug. 16 (2011). 

  12. Heaton J.C., Jones K.: Microbial contamination of fruit and vegetables and the behaviour of enteropathogens in the phyllosphere: A review. J. Appl. Microbiol., 104, 613-626 (2008). 

  13. Frank C., Werber D., Cramer J.P., Askar M., Faber M., Heiden M., Bernard H., Fruth A., Prager R., Spode A., Wadl M., Zoufaly A., Jordan S., Kemper M.J., Follin P., Muller L., King L.A., Rosner B., Buchholz U., Stark K., Krause G.: Epidemic profile of shiga-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O104: H4 outbreak in Germany. New Engl. J. Med., 365, 1771-1780 (2011). 

  14. KFDA Food Code 10-3-1-4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09). 

  15. Kim J.S., Bang O.K., Chang H.C.: Exa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ready-to-eat vegetable salad. J. Food Hyg. Saf., 19, 60-65 (2004). 

  16. Won Y.J., Yoon C.Y., Seo I.W., Nam H.S., Lee D.M., Park D.H., Lee H.M., Kim S.S., Lee K.Y.: The study for the occurrence of food poisoning bacteria in organic vegetables. Annu. Rep. KFDA, Seoul, Korea, 6, 521 (2002). 

  17. Cho, Y.S., Lee, J.Y., Lee, M.K., Shin, D.B., Park, K.M.: Prevalence and Characteriz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Pathogenic Factors Isolated from Various Foods in Korea. Korea J. Food Sci. Technol., 43, 648-654 (2011). 

  18. Chen, T.R., Hsiao, M.H., Chiou, C.S., Tsen, H.Y.: Development and use of PCR primers for the investigation of C1, C2 and C3 enterotoxin types of Staphylococcus aureus strains isolated from food-borne outbreaks. Int. J. Food Microbiol., 71, 63-70 (2001). 

  19. Lee E.J.: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time on the multiplication of Staphylococcus in foods. Korean Journal of Public Health., 9, 381-387 (1972). 

  20. Kim, S.R., Lee, J.Y., Lee, S.H., Ryu, K.Y., Park, K.H., Kim, B.S., Yoon, Y.H., Shim, W.B., Kim, K.Y., Ha, S.D., Yun, J.C., Chung, D.H. : Profiles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Bacillus ce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and cultivation areas. Korea J. Food Sci. Technol., 43, 134-141 (2011). 

  21. Chun SB, Bacillus cereus. p. 326. In: Food-born Pathogens. Jinsung Unitec, Seoul, Korea (2007). 

  22. FDA. Guidance for industry: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s of leafy greens; Draft Guidance. Available from: http://www.fda.gov. Accessed 2009. 

  23. FDA. FSMA Final Rule on Produce Safety. Available from: http://www.fda.gov. Accessed 2011. 

  24. Shim, W.B., Nam, M.W., Chung, D.H.: Understanding and activation of GAP system. Safe Food, 9, 3-8 (2014). 

  25. EFSA.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biological hazards on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p. In foodstuffs. EFSA J., 175, 1-48 (2005). 

  26. Kim, S.R., Cha, M. H., Chung, D.H., Shim, W. B.: Profiles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perilla leaf cultivation area. J. Food Hyg. Saf., 30, 51-58 (2015).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HO guidelines for assessing quality of herbal medicines with reference to contaminants and residue". Geneva, (2007). 

  28. Beuchat L.R., Harris L.R., Linda J., Ward T.E., Kajs T.M.: Development of a proposed standard method for assessing the efficacy of fresh produce sanitizer. J. Food Protect., 64, 1103-1109 (2001). 

  29. Jung, H.J., Cho, J.I., Park, S.H., Ha, S.D., Lee, K.H., Kim, C.H., Song, H.S., Chung, D.H., Kim, M.G., Kim, K.Y., Kim, K.S.: Genotypic and phenotypic characteristic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from lettuces and raw milk.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34-141 (2005). 

  30. Kang T.M., Cho S.K., Park J.Y., Song K.B., Chung M.S., Park J.H.: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routs and fresh cut salads in a market.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90-494 (2011). 

  31. Mukherjee A., Dorinda S., Jones A., Buesing K., Francisco D.G.: Longitudinal microbiological survey of fresh produce grown by farmers in the upper midwest. Journal of food protection, 69, 1928-1936, (2006). 

  32. Oh S.Y., Nam K.W., Kim W.I., Lee M.H., Yoon D.H.: Analysis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contamination on cultivation environment of strawberry and tomato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7, 510-517 (2014). 

  33. Shim, W.B., Kim, J.S., Chung, D.H.: Microbiologica hazard analysis of Ginseng Farns at the cultivation stage to develop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J. Food Hyg. Saf., 28, 312-318 (2013). 

  34. Lee, E.S, Kwak M.G, Kim W.L, An H.M, Lee H.S, Ryu S.H, Kim H.Y, Ryu J.G., Kim S.R.: Investig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level during production of baby leafy vegetables. J. Food Hyg. Saf., 31, 264-271 (2016). 

  35. Smith, D.: Ranking of cross-contamination vectors of readyto-eat foods: a practical approach. Guideline 54. Campden BRI, Chipping Campden, UK. (2007). 

  36. FDA. Guidance for industry, Guide to minimize microbial food safety hazard for fresh fruits and vegetables. Available From: http://csan.fda.gov. Accessed Oct. 26, (2005). 

  37. Brackett, R.E. and Splittsoesser, D.F.: Compendium of methods for the microbi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4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515-552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