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재배 부추 잎끝마름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특성
Relationship Between Soil Properties and Tip Burn of Chinese Chive Cultivated in Plastic Film House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3, 2011년, pp.380 - 386  

서영진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최영섭 (포항시농업기술센터) ,  박준홍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권태영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최성용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김찬용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김종수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박소득 (경상북도농업기술원) ,  박만 (경북대학교) ,  전상호 (국립농업과학원) ,  장용선 (국립농업과학원) ,  하상건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설재배 부추의 잎끝마름증상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구명하기 위하여 포항지역 부추 재배지 토양 132 개소의 토양특성을 분석하였고 통계적 방법으로 관련인자를 조사한 결과, pH는 7.0, 유기물함량 $41g\;kg^{-1}$로 적정 범위에 비해 높은 편이었으며 점토함량이 많은 식질토양인 Alfisols에서 pH, 치환성 양이온, 전기전도도, 질산태 질소함량이 높았고 잎끝마름증 발생비율이 높았으며 pH와 치환성 칼슘함량과 매우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pH가 높고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이 높을수록 암모니아 가스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질산태질소와 토양유기물은 암모니아 가스 생성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토양의 pH 변화에 따라 질산태질소의 암모니아태 질소로 환원 및 유기태질소의 무기화에 따른 암모니아태 질소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추의 잎끝마름증은 토양 pH 변화에 따른 무기태질소의 환원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생성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p burn has been reported as one of the most serious physiological disorder in Chinese chives (Allium tuberosum Rottl.) cultivated in plastic film house. In this study, a physiography and chemical properties of 132 plastic film house soils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factors affecting tip burn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부추 잎끝마름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사전대책을 수립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우스에 부추재배를 할 때 쓰는 비료의 양과 그를 환산한 성분 양은 어떠한가? 매번 수확 후 화학비료와 퇴비를 전면 살포하고 스프링클러 또는 분수호스 등을 이용하여 전면에 관수를 실시하여 재배한다. 부추재배에 투입되는 비료의 양은 퇴비가 66 Mg ha-1, 요소 330 kg ha-1, 복합비료는 약 1.9 Mg ha-1, 농용석회는 약 430 kg ha-1로 성분양으로 환산하면 질소 477 kg ha-1, 인산 184 kg ha-1, 칼리 251 kg ha-1 (RDA, 2009)에 해당하므로 과다한 시비량과 하우스 내부 보온 때문에 극도로 불량한 환기조건으로 재배에 많은 문제점을 야기한다.
부추는 주로 어디에서 재배되는가? 백합과 (Liliaceae)에 속하는 부추 (Allium tuberosum Rottl.)는 원산지가 중국인 숙근성의 다년생 작물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몽고 등 동북아시아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으며 잎과 화경을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다 (Saito, 1990). 특히 독특한 향기와 맛이 좋고 영양이 풍부하여 식품적 가치가 높고 강장효과 등의 약리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Hong et al.
시설재배 부추의 잎끝마름증상의 발생 원인을 알기 위해 조사한 결과 원인은 무엇으로 사료되는가? pH가 높고 암모니아태 질소함량이 높을수록 암모니아 가스의 생성이 증가하였으며, 질산태질소와 토양유기물은 암모니아 가스 생성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으나 토양의 pH 변화에 따라 질산태질소의 암모니아태 질소로 환원 및 유기태질소의 무기화에 따른 암모니아태 질소의 농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추의 잎끝마름증은 토양 pH 변화에 따른 무기태질소의 환원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생성에 따른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D.J., J.T. Yoon, J.H. Lim, B.S. Choi, H.D. Chung, and S.K. Yeo. 1996. Field test for open pollinated seed of cultivar Greenbelt in chinese chive. RDA. J. Horti. Sci. 38:473-476. 

  2. Choi, H.Y., K.M. Kim, and J.K. Shon. 1999. Growth characteristic and yield potential in Korean landraces of chinese chives (Allium tuburosum Rottl.). Korean J. Breed. 31:363-372. 

  3. Choi, Y.J., D.C. Won, and H.D. Chung. 2003. Effects of soil EC on emergence rate, seedling growth and physiological disorders of leafs and root vegetable crops, and diminishing effect of soil EC level by washing with water or manure adding. J. Kor. Soc. Hort. Sci. 44:575-581. 

  4. Choi, G.B., H.S. Lee, D.H. Seo, J.D. Jung, and D.J. Choi. 2005. Studies on the tip burn in chinese chives (Allium tuburosum Rottl.) in plastic house at winter cultivation. Research repor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5. Chung, H.D. 1996.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daylength on growth and bolting of the korean native chinese chive. J. Kor. Soc. Hort. Sci. 37:505-510. 

  6. Chung, H.D. and S.J. Yoon. 1996. The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productivity of the korean native Allium tuburosum Rottl. J. Kor. Soc. Hort. Sci. 37:495-504. 

  7. Ha, H.S., M.S. Yang, H. Lee, Y.B. Lee, B.K. Sohn, and U.G. Kang. 1997. Soil chemical properties and plant mineral contents in plastic film house in southern part of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0:272-279. 

  8. Hahn, S.J. 1985. Studies on karyotype, quantitative growth analysis and effects of day length on growth and flowerbud differentiation in Korean local chinese chives (Allium tuburosum Rottl.). Research Bulleitin of the Hyosung Women's Univ. 31:587-630. 

  9. Hahn, S.J. and T. Taikichi. 1986. Studies on the chinese chives (Allium tuburosum Rottl.) and a wild type of Allium species in Korea. 1. Karyotype, growth pattern and main components. J. Kor. Soc. Hort. Sci. 27:1-10. 

  10. Hong, J.H., M.H. Lee, C.S. Chun, and S.H. Hur. 1999. Antimicrobial activity of Lorean leek and its application to food system. J. Food Hyg. Safety. 14:422-427. 

  11. Hwang, C.W., H.K. Shin, M.S. Do, Y.J. Kim, J.H. Park, Y.S. Choi, and W.H. Joo. 2001. The various biofunctional effects (anticarcinogenic, antioxidative and lypolytic activity) of Pohang buchu. Korean J. Food Sci. Technol. 33:279-281. 

  12. Kang, S.G., Y.J. Choi, J.G. Cho, H.D. Chung, and S.G. Suh. 2003. Physiological response of Korean native chinese chive (Allium tuburosum) having different chilling tolerance under chilling treatment. J. Kor. Soc. Hort. Sci. 44:855-858. 

  13. Kim, K.S. 2009. Suppression of fertilizer N loss through massive urea intercalation into montmorllilonite. Ph.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14. Kim, K.T. and Y.B. Park. 1994.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llium taquetti at different altitudes. J. Kor. Soc. Hort. Sci. 35:12-19. 

  15. Kim, C.K., J.G. Choi, J.T. Yoon, B.S. Choi, J.K. Shon, K.M. Kim, and Y.S. Kweon. 1998a. Growth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ives (Allium tuburosum Rottl.) collected from Kyongbuk Province. RDA. J. Horti. Sci. 40:50-55. 

  16. Kim, C.K., K.B. Choi, and J.Y. Oh. 1998b. Yield of chinese chives as affected by frequencies of leaf harvesting and flower stalk cutting. J. Kor. Soc. Hort. Sci. 39:242-246. 

  17. Kim, Y.H., M.S. Kim, H.K. Kwak, and S.K. Jung. 2007. Establishment of nutrient levels for environment freindly soil management practices. NIAST research report. p. 744-767.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18. Lee, M.S. 1988. Cytological study on wild and cultivated species of chinese chives in Korea. III. Karyotype analysis of wild and cultivated Allium species. Korean J. Breed. 20:160-164. 

  19. Lee, M.S. and S.O. Yu. 1980. Cytological study on the chinese chives grown under wild and cultivated condition in Korea. I. Study on the karyotype of wild chinese chives. Korean J. Breed. 12:205-209. 

  20. Lindsay, W.L. 1979. Chemical equilibria in soils. p. 268-280.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21. Moon, G.S., B.M. Ryu, and M.J. Lee. 2003. Compon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Buchu (chinese chives) harvested at different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493-498. 

  22. NIAST. 2000a.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23. NIAST. 2000b. Method of analysis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In Korean). 

  24. Park, Y.J. M.H. Kim, and S.J. Bae. 2002. Anticarciogenic effects of Allium tuberosum on human cancer cells. Kor. J. Food Sci. Technology. 34:688-693. 

  25. RDA. 2009. Handbook of income data for agricultural products. p. 11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In Korean). 

  26. Rowell, D.L. 1994. Salinity and sodicity. p. 284. Soil Science : Method and applications. Longman Scientific and Technical, Larlow, Essex, England. 

  27. Saito, S. 1990. Onions and applied crops. p. 219-230. In : H.D. Rabinowitch and J.L. Brewster (ed.) Biochemistry food science and minor crops. Vol. III. CRC Press Inc., Boca Raton, Florida,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