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부지역 뿌리부추 하우스 재배 시 차광 정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ading Rates on Growth and Yield of Allium hookeri Cultivation at Greenhouse in Middle Area of Korea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5 no.4, 2016년, pp.320 - 327  

박의광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노재관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이민정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남상영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홍의연 (충북농업기술원 원예연구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뿌리부추를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할 경우 여름철 고온기 하고현상(Summer depress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광막을 하우스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하여 차광정도를 달리하면서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 하우스 내부에 무차광, 35, 55, 75, 95% 차광막을 설치하여 정식 후 20일째 되는 날에 최종 출현 정도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 35 및 75% 차광에서 98% 출현하였고, 55 및 95% 차광에서 100% 출현하였다. 차광 정도와는 상관없이 모든 처리에서 최종 출현은 양호하였다. 하우스 내외부에 차광막을 설치했을 경우, 2년간 평균 생중량(Fresh weight)은 75% 차광에서 6,323kg/10a으로, 무차광, 35%, 55%, 95% 차광보다 각각 5.0배, 1.8배, 1.1배, 1.7배 높았다. 하우스 외부에 차광막을 설치할 경우 생중량은 75% 차광에서 684g으로, 55%, 95% 차광보다 1.1배, 1.8배 높았다. 건중량(Dry weight), 건물율(Percentage of dry matter), 엽수(No. of leaves), 분얼수(No. of branches), 초장(Plant height), 근장(Root length) 등 분석결과 75% 차광이 다른 차광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거나 절대적 수치가 높게 측정되어 중부지역에서 뿌리부추를 재배 할 경우에는 75% 차광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lium hookeri is used for food and medical materials in Asi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s of shading rates on growth and quality of A. hookeri cultivation in greenhouse. Treatments were given with 35%, 55%, 75% and 95% shading rates and non-shading (Control). Photosynthes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고산지대가 자생지인 뿌리부추를 국내에서 재배할 경우 하고 현상(Summer depression)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부지역 시설하우스에서 뿌리부추를 안정적으로 생산하고자 차광 정도가 뿌리부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뿌리부추를 시설하우스 재배할 때, 하우스 내부에 차광막을 설치하여 정식 후 20일째 되는 날 최종 출현정도는 차광정도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가? 2015년 하우스 내부에 무차광, 35, 55, 75, 95% 차광막을 설치하여 정식 후 20일째 되는 날에 최종 출현 정도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 35 및 75% 차광에서 98% 출현하였고, 55 및 95% 차광 에서 100% 출현하였다. 차광 정도와는 상관없이 모든 처리에서 최종 출현은 양호하였다. 하우스 내외부에 차광막을 설치했을 경우, 2년간 평균 생중량(Fresh weight) 은 75% 차광에서 6,323kg/10a으로, 무차광, 35%, 55%, 95% 차광보다 각각 5.
Allium속 식물의 생리활성 효능은 무엇인가? 뿌리부추는 단백질, 당, 섬유소, ascorbic acid, phytosterol, total phenol 등이 양파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고, 식이 유황화합물이 마늘보다 6배 많다고 알려져 있다(Kim 등, 2013; Kim 등, 2012). 유황 화합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Allium속 식물은 항산화, 항균작용, 항암, 항 혈액응고, 항 콜레스테롤 및 혈당 강하에 도움이 되는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다(Kim 등, 2013; Kim 등, 2012; Welch 등, 1992; Kim 등, 2012; Banerjee 등, 2002; Vazquez-Prieto 등, 2010).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뿌리부추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관련 재배기술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뿌리부추란 무엇인가? 뿌리부추(Allium hookeri L.)도 백합과 식물로써 해발 1,400-4,200m의 초원지대에 자생하며 중국 남부, 인도, 부탄, 스리랑카 등에 분포하고 있는 파속 식물로 뿌리, 잎, 꽃 모두 식용 가능하여 고대 중국인들은 식용과 약용으로 사용해오고 있는 식물이다(Won 등, 2013; Ayam VS, 2011). ‘Allium’이란 고대 라틴어로 ‘맵다’, ‘냄새 난다’를 의미하며, 부추에 휘발성 향기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ee와 Chung,2001; Oh 등, 2012; Jeon 등,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yam, V.S. 2011. Allium hookeri, Thw. Enum. A lesser known terrestrial perennial herb used as food and its ethnobotanical relevance in Manipur. Afr. J. Food Agric. Nutr. Dev. 11:5389-5412. 

  2. Bae, G.C., and D.Y. Bae. 2012.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llium hookeri cultivated in South Korea. Kor. J. Herbology 27:55-61. 

  3. Ha, J.B., C.S. Lim, H.Y. Kang, Y.S. Kang, S.J. Hwang, H.S. Mun, and C.G. An. 2012. Effect of shading method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paprika in summer season. J. of Bio-Envir. Control. 21:419-427 

  4. Jeon, K.S., K.S. Song, K.S. Choi, C.H. Kim, Y.B. Park, and J.J. Kim. 2015. Germination responses and early growth of Allium thunbergii by temperature and shading level.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4:178-186. 

  5. Kim, C.H., M.A. Lee, T.W. Kim, J.Y. Jang, and H.J. Kim. 2012.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m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1645-1648. 

  6. Kim, G.N., M.S. Cho, and K.W. Kwon. 2010. Analysis growth performance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under changing light intensity. J. of Korean Forest Society. 99:68-74. 

  7. Kim, K.H., H.J. Kim, M.W. Byun, and H.S. Yook.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577-583. 

  8. Lee, E.S., M.J. Lee, I.S. Kim, and D.W. Suh. 2014. Effects of Shading Degrees on Growth and Yields of Allium hookeri. Korean J.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2(Sup?):68-68. 

  9. Lee, E.T., C.W. Kim, I.H. Choi, U.J. Hwang, K.G. Park, S.G. Bae, and I.H. Song. 2012. When Onion Seed Production House Shade Net Treatment Effect on Germination (Allium cepa L.). Korean J.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30(S1):74-74. 

  10. Lee, K.C., H.B. Lee, W.G. Park, and S.S. Han. 2012. Physiological response and growth performance of Parasenecio firmu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Korean J. of Agric. and Forest Meteorology. 14:79-88. 

  11. Lee, K.J. 1993. Tree Phys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p.p. 109-130. 

  12. Lee, M.S., and M.S. Chung. 2001.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Allium senescens. Korean J. of Food and Cookery Science. 17:55-59. 

  13. Lee, S.K., W.W. Jo, S.H. Lee, J.H. Kim, J.J. Goo, K.W. Park, and H.d. Kang. 2013. Effects of shading and GA3 on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Scutellaria baicalensis.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4:250-251. 

  14. Lee, S.Y., H.J. Kim, J.H. Bae, J.S. Shin, and S.W. Lee. 2007. Effect of shading on shoot growth and quality of Sedum sarmentosum in Korea. J. of Bio-Envir. Control. 16:388-394. 

  15. Lee, T.B. 2006.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Korea. p. 781. 

  16. Park, J.H. 2010. Phytochemical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y of Scilla sinensis Merr. and Allium thunbergii G. Don.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p. 78. 

  17. Park, J.M., J.H. Kang, and M.B. Kim. 2004. Growth and yield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 affected by shading and flower bud pinching. Korean J. of Medicinal Crop Science. 12:231-236. 

  18. Song, K.S., K.S. Jeon, C.H. Kim, J.H. Yoon, Y.B. Park, and J.J. Kim. 2014. Effect of shading level o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fischeri seedling.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3:88-94. 

  19. Vazquez-Prieto, M.A., and R.M. Miatello. 2010. Organosulfur compoun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l. Aspects Med. 31:540-545. 

  20. Welch, C., L. Wuarin, and N. Sidell. 1992. Antiproliferative effect of the garlic compound S-allyl cysteine on human neuroblastoma cells in vitro. Cancer Lett. 63:211-219. 

  21. Won, J.Y., Y.C. Yoo, E.J. Kang, H. Yang, G.H. Kim, B.J. Seong, S.I. Kim, S.H. Han, S.S. Lee, and K.S. Lee. 2013. Chemical component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Allium hookeri cultivated under open field and greenhouse conditions. The Korean Soc. of Food Soc. and Nutr. 42:1351-1356. 

  22. You, B.R., and H.J. Kim.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Allium hookeri root. J.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2:1649-16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