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2, 2011년, pp.187 - 193
손연규 (국립농업과학원) , 박찬원 (국립농업과학원) , 장용선 (국립농업과학원) , 현병근 (국립농업과학원) , 송관철 (국립농업과학원) , 윤을수 (국립식량과학원)
RDA has been conducting soil survey for farmland all over the korean countries (1964-1999), including small islands and areas of the civilian passage restriction line (2000-present). We conducted a soil survey in Dokdo and Ulreungdo islands and found a new soil series "Dokdo" in Dokdo island. Soil 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토양조사는 무엇을 채택하고 있는가? | 이러한 결과는 국토 건설, 농경지 이용 및 적지적작 등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수행된다.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토양조사는 미국의 Soil Taxonomy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토양조사 (Soil survey)란 1) 현지 육안관찰에 의한 토양조사, 2) 표준화된 분류방법에 따라 실내에서의 이화학성 분석, 3) 지도에 그 경계를 작도하는 것(mapping), 4) 토양의 변화양상을 예측하여 결국 이 4가지를 토대로 하여 토지이용 등을 평가하거나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 |
독도 토양에 대한 특성조사는 무엇의 일환으로 울릉도에 편입하여 수행했는가? | 체계적인 토양조사는 1964년 국제연합 특별기금의 지원을 받아 주곡증산을 위한 농경지 및 개발가능지 등 전국토에 대해 1999년까지 수행하여 토양조사사업이 완료된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일부 농업적 중요성이 낮고 현지조사 상 출입이 어려운 지역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 보완되고 있다. 독도 토양에 대한 특성조사는 농경지 및 개발가능산야지 조사의 일환으로 울릉도에 편입하여 수행하였으나, 접근의 어려움에 때문에 개략적인 조사에 지나지 못했다. 그러나 농촌진흥청에서는 2000년 이후 전국토에 대한 정밀토양조사를 완료하기 위해 일부 도서지역이라든가 민통선 해제지역 등의 토양조사를 계속적으로 수행하여 왔고 그 일환으로 지금까지 개략적으로 수행되었던 독도의 토양조사를 울릉도 토양과 같이 현지답사를 통한 정밀 토양조사를 수행하였다. | |
토양조사는 무엇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수행되는가? | 토양조사는 일정지역의 토양을 체계적인 방법에 따라 현지답사를 통해 형태적 특성을 구분하고, 채취한 토양의 분석을 통해 이화학적 특성을 구분하는 등 일련의 과정을 거쳐 주어진 분류체계에 따라 분류한다. 이러한 결과는 국토 건설, 농경지 이용 및 적지적작 등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수행된다.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사용하는 토양조사는 미국의 Soil Taxonomy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토양조사 (Soil survey)란 1) 현지 육안관찰에 의한 토양조사, 2) 표준화된 분류방법에 따라 실내에서의 이화학성 분석, 3) 지도에 그 경계를 작도하는 것(mapping), 4) 토양의 변화양상을 예측하여 결국 이 4가지를 토대로 하여 토지이용 등을 평가하거나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
Agricultural Sciences Institute (ASI). 1985. Soils of Korea. Suwon, Korea.
Detailed Soil Map (Uljin & Ulreung-Gun). 1983. Yeongnam Crops Experiment Station &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Office of Rural Development.
Ha, H.S., J.H. Choi, and Y.T. Jung. 1984. A study on the Soil Temperature Regime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J. Inst. Agr. es. Util. Gyeongsang Natl. Univ. 18:47-52.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NIAST). 2000. Taxonomical classification of Korean soil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nd Technology. 1973. Soil Survey Manual. part 1. Field Survey & Classification. Suwo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nd Technology. 1992. General report of Korean soils, 2nd. addition (Soil Survey Material 13). pp. 725.
Soil Survey Staff. 1993. Soil Survey Manual. USDA, Washington, D.C.
USDA, NRCS. 2004. Soil survey laborarory methods manual. Soil Survey Investigation Report No. 42. Version 4.0. USDANRCS, Washington.
USDA, Soil Survey Staff. 1999. Soil Taxonomy. A basic system of soil classification for making and interpreting soil surveys. 2nd ed. Agric. Handbook 436. USDA-NRCS. CRC Press, Boca Paton, Fla., USA.
USDA, Soil Survey Staff. 2006. Keys to Soil Taxonomy. 10th ed. USDA- NRCS, Blacksbury, Virginia.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