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학적 선충 방제제를 이용한 고구마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의 방제효과
Nematicidal Effect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by Biological Nematicide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2, 2011년, pp.228 - 235  

박문현 ((주)효성오앤비) ,  김진광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과) ,  최원호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과) ,  윤민호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친환경 선충 방제제 개발을 위해 경북 성주군 선남면 및 충남 공주시 우성면의 시설원예 재배지 토양으로 부터 선충 포식성이 뛰어난 곰팡이 Arthrobotrys thaumasia Nema-1과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알집 주성분인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Pseudomonas putida C-5를 분리 하였다. 이들 분리균의 선충치사 효과를 검토한 결과, A. thaumasia Nema-1 곰팡이 배양액 $5,000mL\;L^{-1}$을 처리 시 방제효과는 72시간 후에 55%이었으나, 포식성 곰팡이 Nema-1과 P. putida C-5 세균 배양액 각각 $5,000mL\;L^{-1}$ 혼합 처리구에서는 65%로 상승하였다. 또한 선충치사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다고 보고된 계피추출물 $50mg\;L^{-1}$$5,000mL\;L^{-1}$의 Nema-1과 C-5 배양액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72시간 경과 후의 치사율은 89%로 상승되었으며, 대표적 살선충제인 선충탄(Fosthiazate) $50mg\;L^{-1}$의 방제가 17%와 님오일 $2,000mL\;L^{-1}$의 방제가 57% 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생물학적 선충방제제는 미생물 또는 식물체 추출물 단제 보다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nematophagous fungi Arthrobotrys thaumasia Nema-1 and Pseudomonas putida C-5, which degrade the collagen and gelatin, was isolated from controlled horticultural soils in Seonnam-myun, Sungju-gun, Kyungpook and Woosung-myun, Gongju-shi, Chungnam to develop biological nematode pesticide. Wh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시설재배지 토양으로부터 선충 포식성 곰팡이와 선충 표피성분인 collagen과 gelatin 분해능이 뛰어난 세균을 분리하여 살선충 활성을 분석하고, 분리 미생물들과 계피추출물과 혼용 시 살선충 효과를 확인하여 친환경 선충방제제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구마뿌리혹선충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고구마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은 식물기생성선충으로서 알에서 부화된 제2령 유충이 식물의 뿌리에 침입하고 식물체 내에서 3회 탈피하여 성충이 되며 제3령, 제4령 충은 구침이 없어졌다가 성충시에 다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식물의 뿌리 생장점 부근에 침입하여 영양분을 흡수함으로써 작물 생장에 피해를 주고 선충이 분비하는 호르몬의 작용으로 기생 부위의 식물 세포는 세포수가 증가되고, 비대현상이 일어나 혹모양으로 변하게 된다 (Choi, 1982).
식물 기생 선충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어떤 방법이 사용되었는가? 국내 시설원예 재배지에서 뿌리혹선충의 감염으로 매년 약 30~40%의 수량 감소를 가져오고 있다 (Lee, 2003). 이러한 식물 기생 선충의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윤작, 객토, 태양열 소독, 담수처리, 토양 훈증, 살선충제 처리 방법 등이 있지만, 사용의 편리성 때문에 유기합성 농약이 주로 사용되었다 (Choi, 1982). 그러나 최근에 Aldicarb, Fenamiphos, Methyl bromide, DBCP, EDB 등의 선충방제용 농약성분들이 인체 및 자연환경에 유해성이 있다고 밝혀지면서 살선충제 농약 등록이 취소됨으로써 물 추출물이나 미생물을 이용한 친환경 살선충제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Karpouzas et al, 2004).
선충포식곰팡이를 이용하여 방제하는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것이 요구되는가? 선충포식곰팡이를 이용하여 방제하는 기술은 실내검정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토양 적응성 문제로 인하여 방제가가 포트나 포장검정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충포식능력이 뛰어난 곰팡이 분리와 선충 표피 성분인 collagen, 알집 성분인 gelatin을 분해하는 효소 생성균 (Tunlid et al., 1991)을 이용하여 선충 방제효과가 우수한 신규 미생물의 분리 뿐만 아니라, 이들 미생물들의 살선충 효과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살선충 활성이 있는 천연추출물을 혼용한 환경친화적인 선충방제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Huang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o-Elyousr, K.A., Z. Khan, M.E. Award, and M.F. Abedel- Moneim. 2010. Evaluation of plant extracts and Pseudomonas spp. for control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on tomato. Nematropica. 40(2):289-299. 

  2. Anke, H., M. Stadler, A. Mayer, and O. Sterner. 1995. Secondary metabolites with nematicid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from nematophagous fungi and Ascomycetes. Can. J. Bot. 73:932-939. 

  3. Balan, J., L. Krizzkova, P. Nemec, and V. Voller. 1974. Production of nematode-attracting and nematicidal substances by predaceous fungi. Folia Microbiol. 19:512-519. 

  4. Barron, G.L. and R.G. Thorn, 1987. Destruction of nematodes by species of Pleurotus. Can. J. Bot. 65:774-778. 

  5. Braga, F.R., A.R. Silva, R.O. Carvalho, J.V. Araujo, P.H.G. Guimaraes, R.T. Fujiwara, and L.N. Frassy. 2010. In vitro predatory activity of the fungi Duddingtonia flagrans, Monacrosporium thaumasium, Monacrosporium sinense and Arthrobotrys robusta on Ancylostoma ceylanicum third-stage larvae. Vet. Microbiol. 146:183-186. 

  6. Chanh, N.D.M. 2010. Nematicidal activity of compounds extracted from cinnamomum cassia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7. Cho, C.H., D.S. Kang, Y.J. Kim, and K.S. Hwang. 2008.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a nematophagous fungus, Drechslerella brochopaga Kan-23. Kor. J. Microbiol. 44(1):63-68. 

  8. Choi, Y.H., 1982. phytonematology p. 58-69. Hyang-moon-sa, Korea. 

  9. Huang, Y., C.K. Xu, L. Ma, K.Q. Zhang, C.Q. Duan, and M.H. Mo. 2010. Characterization of volatiles produced from Bacillus megaterium YFM3.25 and their nematicidal activity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J. Plant Pathol. 126(3):417-422. 

  10. Karpouzas, D.G., P. Hatziapostolou, E. Papadopoulou-Mourkidou, I.O. Giannakou, and A. Georgiadou. 2004. The enhanced biodegradation of fenamiphos in soils from previously treated sites and the effect of soil fumigants. Environ. Toxicol. Chem. 23(9):2099-2107. 

  11. Kim, J.H., S.M. Seo, and I.K. Park. 2011. Nematicidal activity of plant essential oils and components from Gaultheria fragrantissima and Zanthoxylum alatum against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Nematology 13(1):87-93. 

  12. Lee, J.G. 2003. Occurrence, ecology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under greenhouse cultivation system. Ph.D.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13. Olthof, T.H.A. and R.H. Estey. 1963. A nematotoxin produced by the nematophagous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Fresenius. Nature. 197:514-515. 

  14. Stadler, M., H. Anke, and O. Sterner. 1993. Linoleic acidthe nematicidal principle of several nematophagous fungi and its production in trap-forming submerged cultures. Arch. Microbiol. 169:401-405. 

  15. Tayler, A.L. and J.N. Sasser. 1978. Biology,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ecies). North Carolina State Univ. Graphics, North Carolina, p. 111. 

  16. Tunlid, A. and S. Janson. 1991. Proteases and their involvement in the infection and immobilization of nematodes by the nematophagous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Appl. Environ. Microbiol. 57:2868-2872. 

  17. Tunlid, A., H.B. Jansson, and H.B. Nordbring. 1992. Fungal attachment to nematodes. Mycol Res. 96(6):401-412. 

  18. Veenhuis, M., W.C. Van, U. Wyss, and H.B. Nordbring. 1989. Significance of electron dense microbodies in trap cells of the nematophagous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Antonie van Leeuwenhoek. 56:251-261. 

  19. Veenhuis, M.W. Harder, and H.B. Nordbring. 1989. Occurence and metabolic significance of microbodies in trophic hyphae of the nematophagous fungus Arthrobotrys oligospora. Antonie van Leeuwenhoek.56:241-249. 

  20. Viglierchio, D.R. and R.V. Schmitt. 1983. On the methodology of nematode extraction from field samples: Baermann Funnel Modifications. J. Nematol. 15(3):438-444. 

  21. Zhang, Y., M. Qiao, E. Weber, H.O. Baral., G. Hagedorn, K. Zhang., and Z. Yu. 2010. Arthrobotrys scaphoides from China and Europe with a phylogenetic analysis including the type strain. Mycotaxon. 111:291-3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