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살선충제 Imicyafos 입제의 2종 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제 효과
Control Effects of Imicyafos GR against Two Species of the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incognita and Meloidogyne hapla)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19 no.2, 2015년, pp.101 - 105  

김형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정영학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동환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하태기 ((주)경농 중앙연구소) ,  윤정범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박정규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추호렬 (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살선충제인 imicyafos 입제 처리에 따른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을 대상으로 포트시험과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포트시험 결과 imicyafos 입제 처리 60일 후 생충수와 난낭수 조사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은 91.5%, 94.2%, 당근뿌리혹선충은 90.6%, 95.1%로 각각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설재배 수박, 참외, 멜론, 오이, 토마토에서 imicyafos 입제를 처리하여 방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하여 imicyafos 입제는 처리 후 30일째와 60일째 까지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약효의 지속성도 뛰어났다. 특히 imicyafos 입제를 처리가 fosthiazate 입제 처리 보다 난낭수 형성을 더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살선충제인 imicyafos 입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이나 당근뿌리혹선충 방제에 실용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fficacy of novel nematicide, imicyafos GR was evaluated against two species of the root-knot nematodes in pot and greenhouse conditions. When tested in pots, the population of Meloidogyne incognita and M. hapla was reduced sixty days after treatment, with mortality rate of 91.5% and 90.6%, respe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Imicyafos 입제(네마킥, 5%) 약제의 고구마뿌리혹선충 대한 방제효과 시험은 시설재배 수박, 참외, 멜론, 오이와 토마토 재배지에서 수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각 작물별로 약제를 처리하여 효과를 조사하였다. 작물별 시험은 시설수박(삼복꿀수박)은 경남 함안에서 2012년 4월 1일, 시설참외 (금관)는 경북 예천에서 2012년 7월 2일, 시설멜론(뷰티)은 경북 경주에서 2012년 6월 1일, 시설오이(조은백다다기)는 경북 경주에서 2012년 9월 3일, 시설토마토(선명)는 경북 경주에서 2012년 6월 8일에 수행하였다.
  • 각 작물별로 imicyafos 5% 입제를 10a 당 6 kg 처리한 후 로터리 작업을 하고, 작물을 정식한 다음 물을 관주하였다. 대조약제로는 fosthiazate 5% 입제를 사용하였고, 10a 당 6kg을 동일한 날짜에 처리하였다.
  • 그리고 믹서기 내의 뿌리 찌꺼기, 알 은 75 µm와 28 µm 체를 통과시키고 28 µm 체에 거른 알이 부화할 때까지 상온(25 ± 2℃)에서 보관하였다. 건전한 유충을 시험에 활용하기 위하여 일별 부화율을 현미경하에서 관찰하면서 부화율이 최적의 정점에 달하는 날에 1차 체에 거른 후 2차 깔때기법으로 거른 후 획득한 유충을 시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은 처리별로 뿌리혹선충 종에 따라 한 개의 포트를 1반복으로 하여 10반복으로 조사하였다.
  • 5 cm 플라스틱 포트에 45~50일된 토마토(선명, 농우) 유묘를 정식하여 40~45일 동안 뿌리혹이 형성되도록 관리하였다. 그리고 뿌리혹이 형성된 뿌리를 1 cm 길이로 잘라서 새로운 토마토 유묘를 심을 포트에 상토(바로크, 서울바이오)와 함께 섞은 후 토마토 유묘를 정식한 다음 누대 증식하였다. 포트 검정에 사용된 뿌리혹선충은 누대 증식 중이던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의 유충을 사용하였다.
  • 5 cm 플라스틱 포트에 45~50 일된 토마토(선명, 농우) 유묘를 상토(바로크, 서울바이오)가 담겨 있는 포트에 심었다. 그리고 처리방법에 관계없이 정식과 함께 각각의 증식된 뿌리혹선충의 유충을 분리하여 포트 당 1,000마리를 접종하였다. 뿌리혹선충의 알 분리는 누대 증식 중이던 토마토 뿌리를 수거하여 깨끗이 씻어서 뿌리 속의 알을 분리하기 위하여 개량된 sodium hypochloride 방법(Baker et al.
  • 또한 살선충제 처리 후 60일째는 작물체의 주위를 야삽으로 조심스럽게 파고, 작물체를 뽑은 다음 흐르는 수돗물에 뿌리에 묻어 있던 흙을 제거하고, 난낭수를 조사하였다. 난낭수 조사는 Phloxin B 용액에 20분 간 염색하여 붉게 염색된 난낭의 수를 계수하였고(Taylor and Sasser. 1978), 10주를 1반복으로 30주를 조사하였다.
  • 각 작물별로 imicyafos 5% 입제를 10a 당 6 kg 처리한 후 로터리 작업을 하고, 작물을 정식한 다음 물을 관주하였다. 대조약제로는 fosthiazate 5% 입제를 사용하였고, 10a 당 6kg을 동일한 날짜에 처리하였다. 토양 중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발생밀도는 imicyafos 입제와 대조 약제인 fosthiazate 입제를 처리하기 전 토양을 채취하여 사전밀도를 조사하였고, 약제 처리 후 30일째와 60일째 동일한 방법으로 토양을 채취하여 선충의 생충수를 조사하였다.
  • 따라서 국내 시설원예작물 중에서 뿌리혹선충에 피해가 많은 몇몇 작물을 대상으로 최근에 개발된 살선충제인 imicyafos 입제의 방제효과를 실증시험하였다.
  • 조사는 330 m2 1개 구역을 1반복으로 3반복으로 토양 내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살선충제 처리 후 60일째는 작물체의 주위를 야삽으로 조심스럽게 파고, 작물체를 뽑은 다음 흐르는 수돗물에 뿌리에 묻어 있던 흙을 제거하고, 난낭수를 조사하였다. 난낭수 조사는 Phloxin B 용액에 20분 간 염색하여 붉게 염색된 난낭의 수를 계수하였고(Taylor and Sasser.
  • 건전한 유충을 시험에 활용하기 위하여 일별 부화율을 현미경하에서 관찰하면서 부화율이 최적의 정점에 달하는 날에 1차 체에 거른 후 2차 깔때기법으로 거른 후 획득한 유충을 시험에 이용하였다. 실험은 처리별로 뿌리혹선충 종에 따라 한 개의 포트를 1반복으로 하여 10반복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뿌리혹선충의 생태에 비추어 약제처리 후 30일과 60일째 포트 내의 상토 중 100 g을 개량깔때기법(Kaya and Stock, 1997)으로 선충의 밀도를 조사하고, 60일째 토마토에 형성된 뿌리혹의 난낭수를 조사(Taylor and Sasser, 1978)하여 방제효과를 처리간 비교, 분석하였다.
  • 토양 내 고구마뿌리혹 선충의 살아있는 밀도 조사는 작물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단동 및 연동 구분 없이 330 m2를 1개 구역으로 정하고 임 의로 5곳을 지정한 다음 지점 당 토양 100 g을 채취하여 500 g을 취하여 골고루 섞고 다시 이중에서 100 g의 토양을 개량깔때기법(Kaya and Stock, 1997)을 이용하여 뿌리혹선 충의 유충을 추출하여 생충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330 m2 1개 구역을 1반복으로 3반복으로 토양 내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살선충제 처리 후 60일째는 작물체의 주위를 야삽으로 조심스럽게 파고, 작물체를 뽑은 다음 흐르는 수돗물에 뿌리에 묻어 있던 흙을 제거하고, 난낭수를 조사하였다.
  • 실험은 처리별로 뿌리혹선충 종에 따라 한 개의 포트를 1반복으로 하여 10반복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는 뿌리혹선충의 생태에 비추어 약제처리 후 30일과 60일째 포트 내의 상토 중 100 g을 개량깔때기법(Kaya and Stock, 1997)으로 선충의 밀도를 조사하고, 60일째 토마토에 형성된 뿌리혹의 난낭수를 조사(Taylor and Sasser, 1978)하여 방제효과를 처리간 비교, 분석하였다.
  • 토양 중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발생밀도는 imicyafos 입제와 대조 약제인 fosthiazate 입제를 처리하기 전 토양을 채취하여 사전밀도를 조사하였고, 약제 처리 후 30일째와 60일째 동일한 방법으로 토양을 채취하여 선충의 생충수를 조사하였다. 토양 내 고구마뿌리혹 선충의 살아있는 밀도 조사는 작물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단동 및 연동 구분 없이 330 m2를 1개 구역으로 정하고 임 의로 5곳을 지정한 다음 지점 당 토양 100 g을 채취하여 500 g을 취하여 골고루 섞고 다시 이중에서 100 g의 토양을 개량깔때기법(Kaya and Stock, 1997)을 이용하여 뿌리혹선 충의 유충을 추출하여 생충수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330 m2 1개 구역을 1반복으로 3반복으로 토양 내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 대조약제로는 fosthiazate 5% 입제를 사용하였고, 10a 당 6kg을 동일한 날짜에 처리하였다. 토양 중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발생밀도는 imicyafos 입제와 대조 약제인 fosthiazate 입제를 처리하기 전 토양을 채취하여 사전밀도를 조사하였고, 약제 처리 후 30일째와 60일째 동일한 방법으로 토양을 채취하여 선충의 생충수를 조사하였다. 토양 내 고구마뿌리혹 선충의 살아있는 밀도 조사는 작물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단동 및 연동 구분 없이 330 m2를 1개 구역으로 정하고 임 의로 5곳을 지정한 다음 지점 당 토양 100 g을 채취하여 500 g을 취하여 골고루 섞고 다시 이중에서 100 g의 토양을 개량깔때기법(Kaya and Stock, 1997)을 이용하여 뿌리혹선 충의 유충을 추출하여 생충수를 조사하였다.

대상 데이터

  • 실내 포트 검정에 이용된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과 당근뿌리혹선충(M. hapla)은 경농 중앙연구소의 유리온실에서 토마토 유묘를 이용하여 증식하였다. 증식은 직경 16.
  • Imicyafos 입제(네마킥, 5%) 약제의 고구마뿌리혹선충 대한 방제효과 시험은 시설재배 수박, 참외, 멜론, 오이와 토마토 재배지에서 수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이 각 작물별로 약제를 처리하여 효과를 조사하였다. 작물별 시험은 시설수박(삼복꿀수박)은 경남 함안에서 2012년 4월 1일, 시설참외 (금관)는 경북 예천에서 2012년 7월 2일, 시설멜론(뷰티)은 경북 경주에서 2012년 6월 1일, 시설오이(조은백다다기)는 경북 경주에서 2012년 9월 3일, 시설토마토(선명)는 경북 경주에서 2012년 6월 8일에 수행하였다.
  • 그리고 뿌리혹이 형성된 뿌리를 1 cm 길이로 잘라서 새로운 토마토 유묘를 심을 포트에 상토(바로크, 서울바이오)와 함께 섞은 후 토마토 유묘를 정식한 다음 누대 증식하였다. 포트 검정에 사용된 뿌리혹선충은 누대 증식 중이던 고구마뿌리혹선충과 당근뿌리혹선충의 유충을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Imicyafos 입제의 방제효과를 작물별로 구분하여 뿌리혹 선충에 대한 방제효과를 Tukey test로 처리평균간 차이로 분산분석하였다(SAS Institute, 2008).

이론/모형

  • 그리고 처리방법에 관계없이 정식과 함께 각각의 증식된 뿌리혹선충의 유충을 분리하여 포트 당 1,000마리를 접종하였다. 뿌리혹선충의 알 분리는 누대 증식 중이던 토마토 뿌리를 수거하여 깨끗이 씻어서 뿌리 속의 알을 분리하기 위하여 개량된 sodium hypochloride 방법(Baker et al., 1985)을 사용하였다. 분리방법은 깨끗이 씻은 뿌리를 1 cm 간격으로 잘라서 200 ml의 1% NaOCl 용액이 들어있는 믹서기에 넣고 고속으로 1분간 회전시켰다 (Kim and Lee, 200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뿌리혹선 충의 방제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공정육묘장의 증가로 대부분의 원예작물 재배 농가에서는 유묘를 자가 육묘하기 보다는 구입하여 사용하 고 있어 육묘기에 뿌리혹선충에 의한 감염은 극히 드물어 뿌리혹선충과 접촉하게 되는 것은 정식과 더불어 시작되기 때문에 방제는 주로 정식 전·후에 행해지고 있다. 뿌리혹선 충의 방제 방법에는 답전윤환, 객토, 태양열 소독, 약제방제, 저항성 품종, 저항성 윤작(Park et al., 1995; Chon, 1996; Kim and Choi, 2001), 휴경, 재배시기 조절, 길항식물과 유치작물 재배, 잔재물 소각, 담수, 기생된 작물 잔재물 제거, 접목, 유기물 토양 개선과 생물적 방제, 작물 경작 개선 (Bridge, 1996)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 원예작물 재배에서는 동일한 작물을 연작하는 경우가 많으며, 작기와 작기 사이가 짧고, 뿌리혹선충에 감수성인 작물의 재배가 많고, 윤작 시 경제성이 문제가 되어 다 양한 뿌리혹선충의 방제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방제효과의 불확실성과 번거로움으로 인해 살선충제를 이용 한 방제법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에서 시설원예재배지에 서식하고 있는 뿌리혹선충의 종류는? )은 78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Jepson, 1987). 국내 에서 시설원예재배지에 서식하고 있는 뿌리혹선충으로 M. arenaria (땅콩뿌리혹선충), M. cruciani, M. hapla (당근뿌리혹선충), M. hispanica, M. incognita (고구마뿌리혹선충), M. javanica (자바니카뿌리혹선충) 등 6종이 알려져 있는데 이중에서 M. arenaria, M.
뿌리혹선 충의 유해성은 어떠한가? 뿌리혹선충은 국내에 재배되고 있는 과채류, 엽채류 및 화훼류 등 원예작물 전반에 걸쳐 연작장해의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뿌리혹선충 2령충이 작물에 기생되면 구 침으로 작물의 조직을 찔러 영양분을 섭취하면서 뿌리에 혹을 만들어 양분과 수분의 이동을 저해하고, 탈취하므로 지상부의 생육이 불량해진다. 뿌리혹선충은 양분과 수분의 흡즙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와 더불어 선충의 침입에 의해 생긴 뿌리혹 주변 세포조직을 와해시켜 토양에 서식하는 각종 병원균이 침입하여 이차적으로 토양 전염성 병을 일으키기도 한다(Choo et al., 1990; Park et al., 1995). 뿌리혹선충이 작물의 유묘기나 정식 초기부터 발생밀도가 많으면 조기에 고사되며, 반촉성 재배에서 정식 초기에 토양 중 선충의 밀도가 낮더라도 작물의 생육 후기에 이르면 선충의 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뿌리 전체에 혹이 형성되어 생산량을 감소시킨다(Kim et a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rker, K. R., D. P. Schmitt and J. L. Imbriani (1985) Nematode population dynamics with emphasis on determining damage potential to crops. In: An advanced treatise on Meloidogyne, Vol , ed. by Barker, K. R., C. C. Carter and J. N. Sasser. pp. 135-148.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aleigh, North Carolina, USA. 

  2. Bridge, J. (1996) Nematode management in sustainable and subsistence agriculture. Annu. Rev. Phytopathol. 34:201-225. 

  3. Cho, M. R., S. Y. Na and M. S. Yiem (2000) Biological control of Meloidogyne arenaria by Pasteuria penetrans. J. Asia-Pacific Entomol. 3(2):71-76. 

  4. Choi, D. R. and Y. E. Choi (1982) Survey on plant parasitic nematodes in cropping by controlled horticulture. Korean J. Plant Protec. 21(1):8-14. 

  5. Choo, H. Y., S. M. Lee, J. B. Kim and Y. D. Park (1990) Relationship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to pathogenesis of Rhizoctonia solani on cucumber, pepper, and tomato. Korean J. Plant Pathol. 6(3):409-411. 

  6. Jepson, S. B. (1987) Identification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ecies). CAB International, Wallingford, Oxon, United Kingdom. 265 pp. 

  7. Kaya, H. K. and S. P. Stock (1997) Techniques in insect nematology. In: lacey L. A. (ed.), Manual of Techniques in insect pathology. Academic Press, New York. pp. 281-324. 

  8. Kim, D. G. and S. K. Choi (2001) Effects of incoporation method of nematicides on reproduction of Meloidogyne arenaria. Korean J. Appl. Entomol. 40(1):89-95. 

  9. Kim, D. G., D. R. Choi and S. B. Lee (2001) Effects of control methods on yields oriental melon in fields infested with Meloidogyne arenaria. Res. Plant Dis. 7(1):42-48. 

  10. Kim, D. G. and J. H. Lee (2008) Economic threshold of Meloidogyne incognita for greenhouse grown cucumber in Korea. Res. Plant Dis. 14:117-121. 

  11. Kim, D. G., Y. K. Lee and B. Y. Park (2001) Root-knot nematode species distributing in greenhouses and their simple identification scheme. Res. Plant Dis. 7(1):49-55. 

  12. Kimpinski, J., R. A. martin and A. V. Sturz (2005) Nematicides increase grain yields in spring wheat cultivars and suppress plant-parasitic and bacterial-feeding nematodes. J. Nematol. 37:473-476. 

  13.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KCPA) (2014) Agrochemicals use guide http://www.koreacpa.org/korea/index.php. 

  14. Minton, N. A., T. B. Brenneman, K. Bondari and G. W. harrison (1993) Activity of fosthiazate against Meloidogyne arenaria, Frankliniella spp. and Sclerotium rolfsii in peanut. Peanut Science 20:66-70. 

  15. Park, S. D., S. D. Park, T. Y. Kwon, H. S. Jun and B. S. Choi (1995) The occurrance and severity of damage by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 controllled fruit vegetable field. RDA. J. Agri. Sci. 37(1):318-323. 

  16. Rich, J. R., R. A. Dunn, W. D. Thomas, J. W. Breman and R. S. Tervola (1994) Evaluation of fosthiazate for management of Meloidogyne javanica in Florida flue-cured tobacco. J. Nematol. 26(4):701-704. 

  17. SAS Institute (2008) Sas/STAT user's guide: Statistics, version 9.3 Institute Cary, N.C., U.S.A. 

  18. Sturz, A. V. and J. Kimpinski (1999) Effects of fosthiazate and aldicarb on populations of plant-growth-promoting bacteria, root-lesion nematodes and bacteria-feeding nematodes in the root zone of potatoes. Plant Pathol. 48:26-32. 

  19. Taylor, A. L. and J. N. Sasser (1978) Biology,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species). North Carolina State Univ. Raleigh. 111 pp. 

  20. Wada S., K. Tovota and A. Takada (2011) Effects of the nematicide imicyafos on soil nematode community structure and damage to radish caused by Pratylenchus penetrans. J. Nematol. 43(1):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