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 채소작물용 번행초의 토성 및 염도에 대한 생육 반응
Growth responses of New Zealand Spinach [Tetragonia tetragonoides (Pall.) Kuntze] to different soil texture and salinity 원문보기

농업과학연구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38 no.4, 2011년, pp.631 - 639  

김성기 (목포대학교 원예과학과) ,  김인경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  이긍주 (충남대학교 원예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otential use of New Zealand spinach (Tetragonia tetragonoides) as a new vegetable crop which will be cultivating in salt-affected soils including reclaimed land. Traditionally New Zealand spinach has been studied to explore functional compound or salt re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해안 간척지에서의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대체 작물로 나물채소 등의 식용, 위 질환 관련 약용 및 당뇨 등 대사질환 기능성 제품 개발 목적의 소재로써 염생식물인 번행초를 이용한 밭 작물화 도입을 위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간척지의 유휴 토지를 이용한 번행초의 밭작물 기술 개발로 신약개발 산업 및 농가의 고소득 작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 그러나 식용 혹은 약용으로 이용해 왔던 국내 해안염습지에 자생하는 염생 식물들의 생리활성 검정을 통하여 유용생물 자원을 확보하려는 시도는 있었으나 제염단계에 따른 밭작물 도입이 아직 국내에서 시도된 바가 없다. 이러한 높은 염농도의 신간척지를 활용하고, 농가소득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국내 해안염습지에 자생하는 염생 식물 중 내염성이 강하고 약리효과가 있는 번행초를 고소득 대체 작물로 개발 및 제염단계에 따른 밭작물로 도입하기 위한 연구 중 하나로 토성 및 염 농도에 따른 생육특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해안 간척지에서의 농가소득 향상을 위한 대체 작물로 나물채소 등의 식용, 위 질환 관련 약용 및 당뇨 등 대사질환 기능성 제품 개발 목적의 소재로써 염생식물인 번행초를 이용한 밭 작물화 도입을 위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간척지의 유휴 토지를 이용한 번행초의 밭작물 기술 개발로 신약개발 산업 및 농가의 고소득 작물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 주로 서남해안, 남동해안, 남해안 및 제주도 해안가 일대에서 자생하는 번행초를 59 개체 수집하였으며, 그 중 토양 수집이 가능한 32 곳 자생지의 생육 특성을 확인하고자 토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H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척지 개발 초기의 토양이 갖는 특징을 고려하여 간척지를 효율적을 사용하려면 먼저 무엇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그러나 간척지 개발 초기의 토양은 일반적으로 가용성 염류와 치환성 나트륨이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염분농도가 대단히 높고, 일반 토양에 비해 자연 비옥도가 낮아 작물의 발아 및 생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궁극적으로 생산량을 저하시킨다(Lee 등, 2000). 그러므로 간척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간척지 토양 내 염류를 제거하여야하며, 제염 기간이 자연 상태에서 최소 10여 년 이상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므로(Seo 등, 2010) 간척지 토양의 이화학성을 개량하기 위한 내염성 식물의 활용이 여러 대안 중의 하나로 연구되어 왔다(Neves 등, 2007). 최근 연구동향에 따르면 약 1,560종의 내염성 식물이 존재하며, 우리나라에는 이 중 46.
우리나라의 국토는 농경하기에 어떠한 특징과 추세를 보이는가? 우리나라의 국토는 평야지보다 산지가 많아 활용할 수 있는 가용 토지가 적고, 쌀을 비롯한 식량을 생산 할 수 있는 우량농경지는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타 용도 전용 등으로 1991년 이후 매년 18,000 ha씩 급속히 감소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 지금까지 우리나라는 서남해안 간척자원을 대상으로 간척사업을 진행하여 왔다.
간척지 개발 초기의 토양은 작물 성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간척지 사업은 한정된 국토에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잠식되는 농경지 및 산업단지를 대체 확보함으로써 식량의 안정적 공급 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Lee 등, 2003; Lee 등, 2006). 그러나 간척지 개발 초기의 토양은 일반적으로 가용성 염류와 치환성 나트륨이 과다하게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염분농도가 대단히 높고, 일반 토양에 비해 자연 비옥도가 낮아 작물의 발아 및 생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궁극적으로 생산량을 저하시킨다(Lee 등, 2000). 그러므로 간척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간척지 토양 내 염류를 제거하여야하며, 제염 기간이 자연 상태에서 최소 10여 년 이상 소요되는 문제가 있으므로(Seo 등, 2010) 간척지 토양의 이화학성을 개량하기 위한 내염성 식물의 활용이 여러 대안 중의 하나로 연구되어 왔다(Neves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oki T, Takagi K, Hirata T, Suga T. 1982. Two naturally occurring acyclic diterpene and norditerpene aldehydes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Phytochemistry 21: 1361-1363. 

  2. Bar T, Schmidt RR. 1988. Glycosyl imidates, 35 synthesis of a cerebroside having a (4E.8E)-sphingadienine moiety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with antiulcerogenic activity. Liebigs Ann. Chem. 7: 669-674. 

  3. Bekmirzaev G, Beltrao J, Neves MA, Costa C. 2011. Climatical changes effects on the potential capacity of salt removing species. Int. J. Geology 5: 79-85. 

  4. Carrow RN, Rieke PE. 1998. Physical problems of turfgrass soils: identification and correction. Golf Course Superintendent Association of America, Lawrence, Kansas, USA. 

  5. Cho BH, Cho SJ, Park CS, Uhm DI, Kim MK, Kim SJ, Kim JJ, Kim HG, Kim HO, Yang CS, Yuk CS, Park SG. 2002. Soil science. Hyangmunsa, Seoul, Korea. pp.254-301 [in Korean] 

  6. Erdei L, Stuiver BEP, Kuiper PJC. 1980. The effect of salinity on lipid composition and on activity of $Ca^{2+}$ - and $Mg^{2+}$ -stimulated ATPases in salt-sensitive and salt-tolerant Plantago species. Physiol. Plantarum 49: 315-319. 

  7. Flowers TJ, Troke PF, Yeo AR. 1977. The mechanism of salt tolerance in halophytes.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28: 89-121. 

  8. Gray M. 1997. A new species of Tetragonia (Aizoaceae) from arid Australia. Telopea 7(2): 119-127. 

  9. Greenway H, Munns R. 1980. Mechanisms of salt tolerance in nonhalophytes.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31: 149-190. 

  10. Haase P. 1990. Potential plant genetic-resources of the New Zealand flora. Econ. Bot. 44: 503-515. 

  11. Hara M, Tokunaga K, Kuboi T. 2008. Isolation of a drought-responsive alkaline α-galactosidase gene from New Zealand spinach. Plant Biotechnol. 25: 497-501. 

  12. Jaworska G. 2005a. Nitrates, nitrites, and oxalates in products of spinach and New Zealand spinach - Effect of technological measures and storage time on the level of nitrates, nitrites, and oxalates in frozen and canned products of spinach and New Zealand spinach. Food Chem. 93: 395-401. 

  13. Jaworska G. 2005b. Content of nitrates, nitrites, and oxalates in New Zealand spinach. Food Chem. 89: 235-242. 

  14. Kato M, Takeda T, Ogihara Y, Shimizu M, Normura T, Tomita Y. 1985. Studies on the structure of polysaccharide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I. Chem. Pharm. Bull. 33: 3675- 3680. 

  15. Kim JH, Park SS, Song CK. 2008. Cultivation limit of Vitex rotundifloia, Tetragonia tetragonoides and Glehnia littoralis at coastal area and physiological vitality of RAW 264.7 cell and HL-60 cell. Kor. J. Medicinal Crop Sci. 16(1): 44-50. [in Korean] 

  16. Lee KB, Xu MG, Kim JD, Jung KY. 2006. Soil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n reclaimed land in Jangsu province coastal region of China. Soc. Int. Agri. 18: 245-252. 

  17. Lee SH, Hong BD, An Y, Ro HM. 2003. Relation between growth condition of six upland-crops and soil salinity in reclaimed land. J. Kor Soc. Soil Sci. Fertil. 35: 66-71. [in Korean] 

  18. Lee SH, Yoo SH, Seol SI, An Y, Jung YS, Lee SM. 2000. Assessment of salt damage or upland-crops in dae-ho reclaimed soil. Kor. J. Environ. Agri. 19: 358-363. [in Korean] 

  19. Myeong HH, Lee JS, Jeon JY, Song MS. 2011. Study on creation method of green space for port ecosystem using the halophytes. J. Kor. Soc. Coastal Ocean Engineers 23(1): 50-56. [in Korean] 

  20. Neves MA, Miguel MG, Marques C, Panagopoulos T, Beltaro J. 2007. Tetrgonia tetragonoides-a potential salt removing species. Response to the combined effects of salts and calcium. Proc. of the 3rd IASME/WSEAS Int. Conf. on Energy, Environment, Ecosystem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p.60-64. 

  21. Okuyama E, Yamazaki M. 1983. The principles of Tetragonia tetragonoides having an anti-ulcerogenic activity. 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terylglucoside mixture (compound A). Yakugaku Zasshi 103(1): 43-48. [in Japanese] 

  22. Seo DU, Jeon GY, Kim HT, Song JD. 2010.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friendly infrastructure in Saemangeum reclaimed land. KGI Fall national conference pp. 9-10. [in Korean] 

  23. Yousif BS, Nguyen NT, Fukuda Y, Hakata H, Okamoto Y, Masaoka Y, Saneoka H. 2010. Effect of salinity on growth, mineral composition, photosynthesis and water relations of two vegetable crops; New Zealand spinach (Tetragonia tetragonoides) and water spinach (Ipomoea aquatica). Int J Agric. Biol. 12: 211-2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