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번행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8 no.2 = no.94, 2008년, pp.220 - 227  

이민아 (창원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협동과정) ,  최혜정 (창원대학교 대학원 생명공학협동과정) ,  강점순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최영환 (부산대학교 생명자원과학부) ,  주우홍 (창원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위장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난 작물로 알려진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의 각종 용매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타민 E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Superoxide 음이온 소거활성, 과산화물생성 억제 활성, 환원능력 그리고 금속 킬레이트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DCM 분획, EA 분획에서 높게 나타났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X 분획, EA 분획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E의 함량은 HX 분획, DCM 분획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효과는 DCM과 EA 추출 분획에서 $IC_{50}$ 값이 각각 $554.25{\mu}g/ml,\;394.96{\mu}g/ml$으로 산화방지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BHT의 $784.7{\mu}g/ml$보다 우수하게 측정되었다. 과산화물 생성 억제 활성에서 번행초 분획은 지질단백질을 산화로부터 보호한다고 알려진 ${\alpha}$-tocopherol과 유사한 능력을 보였으나, 페놀계 합성 항산화제인 BHT, BHA에 비해서는 억제능이 다소 낮음이 확인되었다. 환원능력을 통한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는 1.5 mg/ml농도에서 EA 분획의 활성이 ${\alpha}$-tocopherol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좋은 항산화 소재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larify the antioxidation effect of the various solvent fractionation of Tetragonia tetragoniodes which has been known to superior plants for the traditional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tomach-related disease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vitamin E content, the elimination activ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재배화의 근간이 되는 식물의 기초생태에 대한 조사도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자생하는 번행초의 활성물질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1차적으로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정리 보고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위장병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난 작물로 알려진 번행초(Tetragonia tetmgoHioides)의 각종 용매 추출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명확히 하기 위해 총폴리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비타민 E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Superoxide 음이온 소거활성, 과산화물생성 억제 활성, 환원능력 그리고 금속 킬레이트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총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DCM 분획, EA 분획에서 높게 나타났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HX 분획, EA 분획 순으로 나타났다.
  • 번행초의 항균 . 항산화 활성에 대한 본 기초연구를 토대로하여 유효 물질 정제 . 분리 기술의 확립과 분리된 유효 성분의 구조 동정 및 약리작용과의 상관관계 분석, 활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면 장래에 번행초는 중요한 생물 자원으로 평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oki, T., K. Takagi, T. Hira and T. Suga. 1982. Two naturally occurring acyclic diterpene and norditerpene aldhydes from Tetragonia tetragonioides. Phytochemistry 21, 1361-1363 

  2. Aruoma, O. I. 1994. Nutrition and health aspects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62, 671-683 

  3. Bracke, M. E., H. T. Depyoere, T. Boterberg, E. Vanluchene, M. Nuytinck, R. Serreyn and M. M. Mareel. 1999. Influenece of tangeretion on tamoxifen's therapeutic benefit in mammary cancer. J. Nat. Can. Int. 91, 354-359 

  4. Bravo, L. 1998. Polyphenols: chemistry, dietary sources, metabolism and nutritional significance. Nutr. Rev. 56, 317-333 

  5. Cambie, R. C and L. R. Ferguson. 2003. Potential functional foods in the traditional Maori diet. Fundam. Mol. Mecha. Mutag. 523-524, 109-117 

  6. Cho, Y. J. 2005. Study on the tyrosinese activity inhibition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atural materials. pp. 58-62, University of Cyber Cosmetics Industry Sookmyung Women's, Korea 

  7. Decker, E. A. and B. Welch. 1990. Role of ferritin as a lipid oxidation catalyst in muscle food. J. Agric. Food Chem. 38, 674-677 

  8. Duh, P. D., Y. Y. Tu and G. C. Yen.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Harng Jyur (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 Lebnesm. Wiss. Technol. 32, 269-277 

  9. Emi. O. and Y. Mikio. 1983. The principles of Tetragonia tetragonioides having anti-ulcergenic activity.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sterol glucoside mixture (compound A). Yakuguku zasshi 103, 43-48 

  10. Halliwell, B., J. M. C. Gutteridge and C. E. Cross.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where are we now. J. Labratory and Clinical Medicine 119, 598-620 

  11. Hatano, T., R. Edamstsu, M. A. hiranatsu, Y. Fujita, T. Uhara, T. Yosyida and T. Okkuda. 1989.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tannins with co-existing substances VI.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2016-2021 

  12. Kato. M., T. Takeda, Y. Ogihara, M. Shimizu, T. Nomura and T. Tomita. 1985. Syudies on the structure of polysaccharide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I. Chem. Pharm. Bull. 33, 3675-3680 

  13. Kemo, M. S., R. S. Bueden and C. Brown. 1979. A new naturally occurring flavanone from Tetragonia expansa. Phytochemistry 18, 1765-1766 

  14. Kodato. S. I., M. Nakagawa and T. Hino. 1989. Synthesis of cerebroside B1b with antiulcerogenic activity II. Total synthesis and determination of absolute configuration of cerebroside B1b and its stereoisomers. Tetrahedron 45, 7263-7280 

  15. Lee. H. K., N. Y. Kim, M. J. Kim, S. U. Park and C. Y. Yu. 2003. Antioxidant, Antimutagenicity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53-61 

  16. Lee, S. J., H. Y. Chung, I. K. Lee and I. D. Yoo. 1999.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lavonoids from ethanol extracts of Artemisia vulgaris and their antioxitant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15-822 

  17. Madavi, D. L. and D. K. Salunkhe. 1995. Toxicological aspects of food antioxidant. Food antioxidants pp. 267, Marcel Dekker., New York 

  18. Meir, S., J. Kanner, B. Akiri and S. P. Hadas. 1995. Determination and involvement of aqueous senescing leaves. J. Agric. Food Chem. 43, 1813-1815 

  19. Mori. K. and T. Kinsho. 1988. Synthesis of anti-ulcergenic cerebroside isolated Tetragonia tetragonioides. Liebigs. Ann. Chem. 807-814 

  20. Nishikimi, M., N. A. Rao and K. Yagi. 1972.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henazine methosulph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 Biophys. Res. Commun. 46, 849-864 

  21. Osawa, T., M. Namiki. 1981. A novel type of antioxidant isolate from leaf wax of Eucalyptus leaves. Agric. Biol. Chem. 45, 735-740 

  22.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Antioxidant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amine. Jpn. J. Nutritio. 44, 307-315 

  23. Prieto, P., M. Pineda and M. Aguilar. 1999. Spectophotometric Quantitaion of Antioxidant Capacity through the Formation of a Phosphomolybdenum Complex: Specific Application to the Determination of Vitamin E. Anal. Biochem. 269, 337-341 

  24. Ryu, H. Y., K. H. Bae, E. J. Kum, S. J. Park, B. H. Lee and H. Y. Sohn. 2007.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J. Life Sci. 17, 652-657 

  25. Sato. T., F. Kiuchi and U. Sankawa. 1982. Inhibition of phenylalanine ammonia-lyase by cinnamic acid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Phytochemistry 21, 845-850 

  26. Singh, N. P. and P. R. Schmidt. 1989. Synthesis of a sphingadienine moiety containing cerebroside from tetragonia tetragonoides with antiulcerogenic activity. J. Carbohydr. Chem. 8, 199-216 

  27. Slinkard, K. and V. L. Singleton. 1997 Total phenol analyses: Automation and comparison with manual methods. Am. J. Enol. Vitic. 28, 49-55 

  28. Van Gelder, C. W. G., W. H. Flurkey and H. J. Wicher 1997. Sequence and structural features of plant and fungal tyrosinase. Phytochemistry 47, 1309-1323 

  29. Woisky, R. G. and A. Salatino. 1998. Analysis of propolis: some parameters and procedures for chemical quality control. J. Apic. Res. 37, 99-105 

  30. Yoo, M. Y., S. H. Park, T. M. Kang and J. Y. Yang. 2005.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Extracted from Leaves of Sanjook (Sasa Boreails var. Chiisanensis). J. Life Sci. 15, 796-8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