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esperidin and hesperetin, which are the active compounds from Citrus junos, in the cellular system. Under cellular model of oxidative damage using LLC-$PK_1$ renal epithelial cell, the oxidative damage induced by 2,2'-azobis (2-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존연구는 대부분 in vitro에서 free radical 소거능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항산화 연구만 있을 뿐, hesperidin과 그의 aglycone형태인 hesperetin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hesperidin과 hesperetin의 개선 효과를 LLC-PK1 renal epithelial cell을 이용하여 cellular system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자의 활성성분인 hesperidin과 hesperetin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LLC-PK1 cell을 이용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Hesperidin과 hesperetin는 NO와 R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감소되어진 cell viability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우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 SNP는 nitrosonium ion을 함유하는데 이로 인해 SNP 용액이 가시광선에 노출될 때 NO가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질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LLC-PK1 cell에 SNP 처리로 NO를 유발시켜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가한 후 이에 대한 hesperidin과 hesperetin의 보호 효과를 세포 생존율로 확인하였다. SNP만을 처리한 control군은 세포 생존율이 5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산화제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와 함께 ROS와 RNS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는 항산화제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합성 항산화제는 항산화 효과와 경제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식품에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자체의 독성 뿐 아니라 고농도 섭취에 따른 유해성 등 여러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Kim 등, 2004; Huong 등, 2004; Yu 등, 2005). 이에 따라 최근 항산화 효과가 높으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측면에서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를 개발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식품에서 유래되어지는 phenol류, flavonoid류, tocopherol류, ascorbic acid, carotenoid 등의 천연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자의 활성성분인 hesperidin과 hesperetin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LLC-PK1 cell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유자의 활성성분인 hesperidin과 hesperetin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LLC-PK1 cell을 이용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Hesperidin과 hesperetin는 NO와 R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감소되어진 cell viability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우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hesperidin의 aglycone형태인 hesperetin이 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었다. 반면, Hesperidin과 hesperetin은 O2-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유자 활성 물질인 hesperidin과 hesperetin은 NO와 ROO·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개선함으로써 이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 퇴행성 질환 및 노화의 원인물질은 무엇인가? Peroxyl radical(ROO·), hydroxyl radical(•OH), superoxide anion(O2-) 등과 같은 반응성이 큰 reactive oxygen species(ROS)와 nitric oxide(NO), peroxynitrite (ONOO-)와 같은 reactive nitrogen species(RNS)는 생체 내에서의 만성 퇴행성 질환 및 노화의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다(Oberley 등, 1995; Stratton 등, 1997). ROS와 RNS는 환경적 요인이나 생활습관 또는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어지며 축적이 계속되면 지질산화 유도, 단백질의 산화 및 DNA 변성 등을 유발시켜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을 억제시키고, 여러 가지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chneider 등, 1990; Rice-Evans 등, 1993; Wright 등,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n MS, Kim HJ, Seo MS. 200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es of the citrus Unshiju pee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22: 454-461. 

  2. Altman SA, Zastawny TH, Randers L, Lin Z, Lumpkin JA, Remacle J, Dizdaroglu M, Rao G. 1994. Tert-butyl hydroperoxide-mediated DNA base damage in cultured mediated DNA base damage in cultured mammalian cells. Mutat. Res. 306: 35-44. 

  3. Andreoli SP, McAteer JA, Seifert SA, Kempson SA. 1993. Oxidant-induced alterations in glucose and phosphate transport in LLC-PK1 cells: mechanisms of injury. Am. J. Physiol. 265: 377-384. 

  4. Bauer G. 2000.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efficient, selective and interactive signals during intercellular induction of apoptosis. Anticancer Res. 20: 4115-4139. 

  5. Brune B, Zhou J, Von KA. 2003. Nitric oxide,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Kidney Int. Suppl. 84: 22-24. 

  6. Calomme M, Pieters L, Vlietinck A, Berghe DV. 1996. Inhibition of bacterial mutagenesis by citrus flavonoids. Planta Med. 62: 222-226. 

  7. Cha JY, Kim SY, Jeong SJ, Cho YS. 1999. Effects of hesperidin and naringenin on lipid concentration in orotic acid treated mices. Korean J. Life Science 9: 389-394. 

  8. Choi EJ. 2007. Hesperetin induced G1-phase cell cycle arrest in human breast cancer MCF-7 cells: involvement of CDK4 and p21. Nutrition and cancer 59: 115-119. 

  9. Garg A, Garg S, Zaneveld LJD, Singla AK. 2001. Chemistry and pharmacology of the citrus bioflavonoid hesperidin. Phytother Res. 15: 655-669. 

  10. Huong DTL, Dat NT, Cai XF, Shen GH, Bae KH, Kim YH. 2004. Phenolic components from the leaves and twigs of Rhamnus taquetii. Korean J. Pharmacogn. 35: 139-142. 

  11. Kawaguchi K, Mizuno T, Aida K, Uchino K. 1997. Hesperidin as an inhibotor of lipases from porcine pancreas and pseudomonas. Biosci. Biotechnol. Biochem. 61: 102-104. 

  12. Kim J, Kim SA, Yun WK, Kim EJ, Woo MK, Lee MS. 2004.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or 5 kinds of sp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524-528. 

  13. Kobayashi S, Tanabe S. 2006. Evaluation of the anti-allergic activity of Citrus unshiu using rat basophilic leukemia RBL-2H3 cells as well as basophils of patients with seasonal allergic rhinitis to pollen. Int. J. Mol. Med. 17: 511-515. 

  14. Middleton EJ, Kandaswami C, Theoharides TC. 2000. The effects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cells: implications for inflammation, hearts disease, cancer. Pharmacol Rev. 52: 673-751. 

  15. Monforte MT, Trovato A, Kirjavainen S, Forestieri AM, Galati EM. 1995. Biological effects of hesperidin, a citrus flavonoid. (note II): Hypolipidemic activity on experimental hypercholesterolemia in rat. Farmco. 50: 595-599. 

  16. Mosmann T. 1983. Rapid color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 65: 55-63. 

  17. Niki E. 1990. Free radical initiators as source of water-or lipid-soluble peroxyl radicals. Meth. Enzymol. 186: 100-108. 

  18. Nunokawa Y, Tanaka S. 1992. Interferon-γ inhibits proliferation of rat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by nitric oxide generation. Biochem. Biophys. Res. Commun. 188: 409-415. 

  19. Oberley TD, Schultz JL, Li N, Oberley LW. 1995. Antioxidant enzyme levels as a function of growth state in cell culture. Free Radic. Biol. Med. 19: 53-65. 

  20. Rice-Evans C, Burdon R. 1993. Free radical-lipid interaction and their pathological consequences. Prog. Lipid Res. 32: 71-110. 

  21. Schneider JE, Price S, Maidt L, Gutteridge JM, Floyd RA. 1990. Methylene blue plus light mediates 8-hydroxy-2'- deoxy-guanosine formation in DNA preferentially over strand breakage. Nucleic Acids Res. 18: 631-635. 

  22. So FV, Guthrie N, Chambers AF, Moussa M, Carroll KK. 1996. Inhibition of human breast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delay of mammary tumorigenesis by flavonoids and citrus juices. Nutr. Cancer 26: 167-181. 

  23. Sohn JS, Kim MK. 1998. Effects of hesperidin and naringin on antioxidative capacity in the rat. Korean Nutr. Soc. 31: 687-696. 

  24. Stratton SP, Liebler DC. 1997. Determination of singlet oxygen-specific versus radical-mediated lipid peroxidation in photosensitized oxidation of lipid bilayers: effect of betacarotene and alpha-tocopherol. Biochemistry 36: 12911-12920. 

  25. Terao K, Niki E. 1986. Damage to biological tissue induced by radical initiator 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and its inhibition by chain-breaking antioxidants. Free Radic. Biol. Med. 2: 193-201. 

  26. Woo KL, Kim JL, Kim MC, Chang DK. 2006. Determination of flavonoid and limonoid compounds in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seeds by HPLC and HPLC/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353-358. 

  27. Wright AW, Bubb A, Hawkins CL, Davies MJ. 2002. Singlet oxygen-mediated protein oxidation: evidence for the formation of reactive side chain peroxides on tyrosine residues. Photochem. Photobilo. 76: 35-46. 

  28. Yu HE, Leaniza MM, Bae YJ, Lee DH, Park JS, Kwak SH, Kim HK, Lee JS. 2005. Screening and extration condition of antiaging bioactive substances from medicinal pla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136-11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