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니어 창업가의 특성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Senior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on the Entrepreneur ship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4, 2011년, pp.1833 - 1843  

김진수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최명길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성창수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사회는 사회경제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베이비붐 세대의 퇴직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러한 베이비붐 세대는 지난 70~80년대 우리경제발전의 주역으로 퇴직 후 재취업의 현실적 어려움과 미흡한 노후준비 및 이들의 복지와 의료문제 등이 국가적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금년부터 시니어의 강점을 적극 활용하여 생산적 경제활동 참여를 위해 시니어창업육성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니어창업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시니어의 욕구와 시니어창업의 구체적인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의 구체적인 특성과 창업의도 및 성공창업의 핵심역량인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시니어창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Our society socioeconomically has faced the sudden changes. The retirement of the baby-boom generation is expected to become mainstream amid the falling birth rate and the aging society at the fastest rate in the world. As such a baby-boom generation is a core pillar of our economic deve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시니어 집단의 창업지원 육성 방안을 위한 정책마련의 일환으로 시니어 세대의 창업 지원의 필요성과 수요 그리고 지원방향을 분석함으로써 시니어 창업지원제도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방안의 기초자료를 수립하고자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시니어창업자의 실태조사와 시니어의 특성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시니어창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중견기업 및 중소기업의 퇴직자 및 퇴직예정자를 대상으로 50+세대인 시니어 세대의 창업에 대한 인식수준과 현황을 파악하기위해 추론통계분석(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표본 집단을 세분화한 집단 간 비교분석을 통해 시니어창업 지원정책의 기초 자료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니어 세대는 어떠한 강점을 갖고 있나요? (2001)의 연구에서 자영업의 종사 비중은 젊은 세대보다 시니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이유는 젊은 세대보다 시니어의 은퇴 후 정신적인 요인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14]. 시니어 세대는 오랜 직장경험을 통한 인적자본의 형성 및 업무에 대한 경험, 정보, 숙련된 기술 및 사회적 네트워크의 강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1]. 특히, 이러한 강점을 활용하여 지식기반 사업영역에서 시니어들의 창업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31].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변화에 따라 예상되는 것은? 19명으로 최하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26]. 이러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변화는 소비와 생산측면으로 나뉘어 소비패턴의 변화가 산업구조 변화로 이어지고 이로 인해 산업생산량, 투입량, 일자리창출, 소비패턴 변화 등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5]. 이와 같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경제환경에 대비하여 선제적으로 정책을 연구하고 대안을 추진하지 않으면 많은 문제점을 가져올 위험성이 높다[1].
시니어 창업의 관심이 높아진 계기는? 또한, 전 세계적으로 ‘고용 없는 성장의 시대’에서 급속한 고령화와 조기퇴직의 사회현상은 청년실업과 더불어 사회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초래하고 있다[4]. 특히, 우리사회의 주축 생산동력인 베이비붐 세대(55~63세)가 주퇴직연령대에 진입하면서 생산인력 부족현상의 초래 및 경제적 위협에 따라 정년을 맞은 시니어들의 창업에 대한 참여 및 관심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6,7,2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방하남.신동균.김동헌.신현구, "인구고령화와 노동시장 변화 및 노동정책의 과제", 한국노동연구원, 2005. 

  2. 성창수, "시니어창업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창업학 박사학위논문, 2011. 

  3. 시니어창업넷, [http://www.seniorok.kr], 소상공인진흥원. 

  4. 심재후.최명길, "1인 창조기업의 창업동기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 3363-3372, 2009. 

  5. 이철희, "인구고령화 및 고령남성 경제 활동 참가의 변화가 노동인구구조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연구, 제25권, 제6호, pp. 5-44, 2009. 

  6. 전명진.김진수, "창업이 국가 경제 성장 및 고용 창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중소기업청, 2008. 

  7. 정경배, "고령자 창업 지원에 대한 정책방향", 노인복지연구, 제3호, pp. 9-29, 1999. 

  8. 최명길.목영두.심재후, "창업지원 정책의 해외사례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지, 제1권 제1호, pp. 26-30, 2009. 

  9. 최종열.정해주, "경영학교육이 기업가정신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5권, 제3호, pp. 213-230, 2008. 

  10. Acs, Z. and D. B. Audretsch, "Innovation and Small Firms. Cambridge", MA: MIT Press, 1990. 

  11. Becker, J. and C. Homburg, "Market-Oriented Management: A Systems-Based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Focused Management, Vol. 4, No. 1, pp. 17-41, 1999. 

  12. Blackburn, R., Hart, M. and M. O'Reilly, "Entrepreneurship in the Third Age: New Dawn orMisplaced Expectations?", in 23rd ISBA National Small Firms Policy and Research Conference, Aberdeen University, pp.1-17, 2000. 

  13. Blackburn, R., Mackintosh, L. and J. North, "Entrepreneurship in the Third Age", Kingston University Small Business Research Centre, Surrey. 1998. 

  14. Blanchflower, D. G., Oswald, A. J. and Stutzer, A, "Latent Entrepreneurship across Nations," European Economic Review, Vol. 45, pp. 680-691, 2001. 

  15. Covin, J. G. and D. P. Slevin,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 Structure on the Utility of an Entrepreneurial Top Management Styl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 25, No. 3, pp. 217-259, 1988. 

  16. Covin, J. G. and M. P. Miles, "Corporate Entrepreneurship and the Pursuit of Competitive Advantag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 23, No. 3, pp. 47-63, 1999. 

  17. Gonza'lez-Benito, O'. and J. Gonza'lez-Benito, "Cultural vs. Operational Market Orientation and Objective vs. Subjective Performance: Perspective of Production and Operation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Vol. 34, No. 8, pp. 797-829, 2005. 

  18. Kreiser, P. M., Marino, L. D. and K. M. Weaver, "Assessing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cale: A Multi-Country Analysi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 14, No. 13, pp. 315-344, 2002. 

  19. Leora Klapper, "Entrepreneurship and Firm Formation Across Countries," Policy Research Working Paper, World Bank, 2007. 

  20. Lumpkin, G. T. and G. G. Dess, "Clarifying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Construct and Linking It to Performanc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21, No. 1, pp. 135-172, 1996. 

  21. Matsuno, K., Mentzer, J. T. and A. Ozsomer,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Proclivity and Market Orient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Journal of Marketing, Vol. 66, No. 7, pp. 18-32. 2002. 

  22. Miles, R. E. and C. C. Snow, "Organizational Strategy", Structure and Process, New York: McGraw-Hill, 1978. 

  23. Miller, D.,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Management Science, Vol. 29, No. 7, pp. 770-791, 1983. 

  24. Moreno, A. M. and J. C. Casilla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Growth of SMEs: A Casual Model,"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Vol. 32, No. 3, pp. 507-528, 2008. 

  25. Morris, M. H. and G. W. Paul,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Marketing in Established Firms,"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Vol. 2, No. 3, pp. 247-259, 1987. 

  26. Ageing and Employment Policies: Korea, Paris: OECD, 2004. 

  27. Schuetze, H. J., "Taxes, Economic Conditions and Recent Trends in Self-employment: A Canada-U.S. Comparison," Labour Economics, Vol. 7, pp. 507-554, 2000. 

  28. Seymour, N., "Starting Up After 50", Available: [http://www.celcee.edu/publications/digest/Dig02-05.html],(accessed 25, February, 2003), 2002. 

  29. Weber, P. and M. Schaper, "Understanding the Grey Entrepreneur", Journal of Enterprising Culture, Vol. 12, No. 2, pp. 147-164, 2004. 

  30. Zahra, S. A., "The Changing Rules of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 13, pp. 36-42, 1999. 

  31. Zhang, T., "Age and Elderly Entrepreneurship", Working Paper, George Mason University, Fairfax, Virginia, 2007. 

  32. Zhang, T., "Elderly Entrepreneurship in an Aging Us Economy It's Never Too Late, Series on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2,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Pte. Ltd,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