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Probiotics와 Saccharomyces cerevisiae 를 이용한 starter 사용량이 발효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ount of Probiotics and Yeast as Start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6, 2011년, pp.2652 - 2659  

채동진 (동우대학 호텔제과제빵과) ,  이광석 (경희대학교 조리.서비스경영학과) ,  장기효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리활성, 물성 및 관능적인 특성 등이 개선된 발효빵의 개발을 위하여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의 적정 사용량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초기 사용량은 각각 1.5 : 0.1(Test 1군), 0.3 : 0.02(Test 2군), 0.15 : 0.01(g/g)(Test 3군)였다. 복합 생균제의 사용으로 반죽내의 생균제 균수는 44~642배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pH는 산성화 되었다. 복합 생균제를 사용한 반죽의 pH와 비교시, 제빵효모를 사용하여 15시간 발효한 반죽의 pH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타터균의 사용량을 달리한 세 가지 그룹들 중에서, 빵의 부피와 경도, 식빵껍질의 두께, 기공의 형태, 압박력 지수, 빵의 비용적 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관능평가에서는 발효빵의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Test 2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5). 결과적으로, Test 1군과 Test 3군들보다 Test 2군에서 우수한 제빵특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sourdough bread made with probiotics and yeast(Saccharomyces cerevisiae) and to establish an optimum formula for the development of sourdough bread with high physiological, textur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러한 안전성이 확보된 유산균은 가격적인 측면에서 고비용이라는 불리한 측면이 있으므로, 이들 미생물의 첨가에 따른 효능을 담보하는 최소사용량을 규명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상업적으로 대량 구매가 가능한 probiotic 미생물인 B. longum, E. faecium과 L. acidophilus가 probiotics을 Saccharomyces cerevisiae와 혼합하여 사용하고 probiotics와 효모의 첨가량을 달리하면서 sourdough 발효를 진행하여 완성된 sourdough bread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첨가비율을 최적화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1)Mea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의 초기 사용량은? 생리활성, 물성 및 관능적인 특성 등이 개선된 발효빵의 개발을 위하여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의 적정 사용량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초기 사용량은 각각 1.5 : 0.1(Test 1군), 0.3 : 0.02(Test 2군), 0.15 : 0.01(g/g)(Test 3군)였다. 복합 생균제의 사용으로 반죽내의 생균제 균수는 44~642배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pH는 산성화 되었다.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의 적정 사용량 규명을 위한 연구가 수행된 이유는 무엇인가? 생리활성, 물성 및 관능적인 특성 등이 개선된 발효빵의 개발을 위하여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의 적정 사용량 규명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복합 생균제와 제빵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의 초기 사용량은 각각 1.
발효빵의 개발을 위해 복합 생균제를 사용한 결과 반죽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01(g/g)(Test 3군)였다. 복합 생균제의 사용으로 반죽내의 생균제 균수는 44~642배 증가하였으며, 반죽의 pH는 산성화 되었다. 복합 생균제를 사용한 반죽의 pH와 비교시, 제빵효모를 사용하여 15시간 발효한 반죽의 pH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타터균의 사용량을 달리한 세 가지 그룹들 중에서, 빵의 부피와 경도, 식빵껍질의 두께, 기공의 형태, 압박력 지수, 빵의 비용적 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JH, Lee SK. Effect of whey ferment cultured by L. acidophilus KCCM 32820 and P. freudenreichii KCCM 31227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795-800, 2009. 

  2. Lee MK, Lee JH, Lee SK.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added with flour ferments by seed mash and lactic acid bacteri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346-351, 2009. 

  3. Meignen B, Onno B, Gelinas P, Infantes M, Guilois S. Optimization of sourdough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brevis and baker's yeast. Food Microbiol. 18: 239-245. 2001. 

  4. Corsetti A. Settanni L. Lactobacilli in sourdough fermentation. Food Research International 40: 539-558. 2007. 

  5. Oh CH, In MJ, Oh NS. Characteristics of rice sourdough for Jeungpyun prepared by mixed cul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60-665. 2008. 

  6. Lorenz K. Sourdough processes-Methodology and biochemistry. Baker's Digest. 55. 85-91. 1983. 

  7. Chae DJ, Lee KS, Jang KH.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flour sourdough using mixed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um longum as start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743-750. 2010. 

  8. Messens W, Vuyst LD. Inhibitory substance produced by Lactobacilli isolated from sourdough-A review. Int. J. Food Microbiol. 72: 31-43. 2002. 

  9. Hong JH, Kim KJ. Effect of barley bread using sourdough prepared by Enterococcus sp. and Lactobacillus sp. - II. Physicochem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barley bread. Korean J. Dietary Culture 16: 361-370. 2001. 

  10. Lee JH, Kwak EJ, Kim JS, Lee KS, Lee YS.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 with addition of red yeast rice. J. Korean Soc. Food Nutr. 36: 785-793. 2007. 

  11. Palframan RJ, Gibson GR, Rastall RA. Carbohydrate preferences of Bifidobacterium species isolated from the human gut. Curr. Issues Intest. Microbiol. 4: 71-75. 2003. 

  12. He H, Hoseney RC. Effect of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 17-19. 1992. 

  13. Lee KS.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fermented white pan bread by digital image analysis. PhD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001. 

  14.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9th ed., Method 02-25 : pH and TTA determinations.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995. 

  15. Corsetti A, Gobbetti M, Balestrieri F, Paoletti F, Russi J, Russi L.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effects on bread firmness and staling. J. Food Sci. 63: 347-351. 1988. 

  16. Albright SC, Winston WL, Zappe C. Data analysis and decision making with Microsoft Excel. Pacific Grove, Calif. Brooks/Cole Publishing Co. California, USA. 1999. 

  17. Andersson U, Radstrom P. Beta-glucose 1-phosphate-interconverting enzymes in maltose- and trehalose-fermenting lactic acid bacteria. Environmental Microbiology 4: 81-88. 2002. 

  18. Lee KS, Noh WS. Objective measurement of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using a commercial Korean wheat flou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06-210. 2002. 

  19. Cauvain SP. Holes in bread. Proceeding of the 76th annual technical conference, American Society of Baking. 151-153, March 5-8, 2000. Chicago,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