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리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MF10003의 빵반죽 발효 팽창력
Leavening Ability of the Isolate Saccharomyces cerevisiae MF10003 in Bakery Dough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3 no.2 = no.154, 2013년, pp.222 - 227  

오정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  민응기 (동국대학교 대학원 생명과학과) ,  안창현 (안스베이커리) ,  한영환 (동국대학교 바이오학부 생명과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포도 발효 배양액으로부터 이산화탄소 생성능이 우수한 효모를 분리하였다. 분리 효모는 18S rDNA ITS 유전자 상동성을 비교하여 Saccharomyces cerevisiae로 동정하고 Saccharomyces cerevisiae MF10003로 명명하였다. 분리 효모 S. cerevisiae MF10003은 풍미 발생 야생효모인 S. ellipsoideus KCTC7243에 비하여 각각 1.9배 및 3.1배 우수한 이산화탄소 생성능 및 dough 발효 팽창능을 나타냈었다. 분리 효모는 glucose, fructose, sucrose, maltose를 기질로 하여 4시간 이내에 이산화탄소 발생력을 보여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effective leavening yeast was isolated from raisin broth.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Saccharomyces cerevisiae by comparing the homology of 18S rDNA ITS sequences and named as S. cerevisiae MF10003. S. cerevisiae MF10003 showed a 1.9-fold and 3.1-fold increase in $CO_2$ productio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상업용 효모를 이용하지 않고 천연발효종 야생효모를 이용하는 천연발효빵의 제조를 목적으로, 과일향의 풍미와 이산화탄소 발생능이 우수한 야생효모를 건포도 배양액으로부터 분리하여 동정하였으며, 분리효모의 당 이용성 및 빵 반죽 팽창력을 검정하였다. 또한 관능적 향기성분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다른 효모균주와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빵용으로 야생효모를 분리했을 때 분리 효모의 당류에 따른 발효특성이 검정되어야 하는 이유는? 그러나, 국내의 천연발효종 관련 주요 연구로 기능성 물질 첨가시의 관능적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2, 10, 19], 밀가루 대체용 전분 재료에 대한 연구[3, 12], 빵반죽 제조시 유산균 등의 미생물의 첨가에 따른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11, 21]가 있으나, 제빵 공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천연발효종 야생효모에 대한 분리에 관한 연구 및 생리학적 특성과 발효에 관련된 기초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7]. 또한, 같은 S. cerevisiae 효모라고 하더라도 분리된 야생효모에 따라 그 발효특성과 당류 이용성이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종(species)명에 의하여 상업용 효모와의 생리학적 특성을 동일시 판단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따라서 분리된 야생효모를 제빵용 효모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리 효모의 당류에 따른 발효특성이 검정되어야 한다.
천연 발효빵이란? 일반적으로 제빵공정에는 제빵산업의 요구에 맞춰진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가 사용되며, 이 효모를 배양ㆍ건조한 분말형태 또는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압착된 생효모로 시판되고 있다. 천연 발효빵이란 건포도 등과일에 존재하는 야생효모를 배양(천연발효종)하여 상기 상업용 효모를 대체할 목적으로 제조된 빵을 일컫는 제빵업계의 일반적 용어이다. 최근 천연발효빵의 우수한 관능성 및 기호성에 착안하여, 천연발효종 관련 효모의 특성과 제빵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4, 8, 12, 13]
일반적으로 제빵공정에 사용되는 효모는 무엇입니까? 빵은 가장 오래된 가공식품의 하나로 효모의 알코올 발효 산물인 에탄올과 이산화탄소가 빵의 풍미 및 기호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일반적으로 제빵공정에는 제빵산업의 요구에 맞춰진 Saccharomyces cerevisiae 효모가 사용되며, 이 효모를 배양ㆍ건조한 분말형태 또는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압착된 생효모로 시판되고 있다. 천연 발효빵이란 건포도 등과일에 존재하는 야생효모를 배양(천연발효종)하여 상기 상업용 효모를 대체할 목적으로 제조된 빵을 일컫는 제빵업계의 일반적 용어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zar, M., Ter-Sarkissian, N., Ghavifek, H., Ferguson, T. and Ghassemi, H. 1977. Microbiological aspects of sangak bread. J Food Sci Tech 14, 251-254. 

  2. Bae, J. H., Woo, H. S., Choi, H. J. and Choi, C. 2003.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dded wheat flour dough.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36-441. 

  3. Choi, J. H.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bread with sprouted brown ric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17, 323-328. 

  4. Choi, S. H., Hong, Y. A., Choi, Y. J. and Park, H. D. 2011.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isolated from Korean domestic grape varieties. Korean J Food Preserv 18, 604-611. 

  5. Daniel, H, Moons, M., Huret, S., Vrancken, G. and Vuyst, L. 2011. Wickerhamomyces anomalus in the sourdough microbial ecosystem. Antonie van Leeuwenhoek 99, 63-73. 

  6. Hernandez-Lopez, M. L., Prieto, J. A. and Randez-Gil, F. 2003. Osmotolerance and leavening ability in sweet and frozen sweet dough.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orulaspora debrueckii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baker’s yeast strains. Antonie van Leeuwenhoek 84, 125-134. 

  7. Jeong, S., Goto, N. and Choi, J. 200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ne yeast strain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320-325. 

  8. Jeong, Y. J., Kim, O. M., Seo, J. H., Lee, M. H., Jung, S. H. and Kim, T. H. 2000.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yeast isolated from potatoe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228-232. 

  9. Jung, H. K., Park, C. D., Lee, G. D., Park, S. C., Park, H. H. and Hong, J. H. 2007. Characteristics of Pichia anomala K15 producing killer toxin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077-1082. 

  10. Kim, C. S. 2010.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made from Cordyceps militaris powder. Korean J Food Nutr 23, 8-14. 

  11. Kim, G. J., Chung, H. C. and Kwon, O. J. 2004.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isolat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from sourdoug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180-1185. 

  12. Kim, M. Y. and Chun, S. S. 2009. Changes in shelf life, water activity and texture of rye wheat mixed bread with naturally fermented raisin extract and rye sourdough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70-179. 

  13. Kim, W. J. and Hahn, Y. S. 2004. A study on the fermentation abilities and baking properties of commercial yeast.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529-536. 

  14. Lee, H., Lee, T. S. and Noh, B. S. 200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d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93-599. 

  15. Lee, J. Y., Lee, S. K., Cho, N. J. and Park, W. J. 2003. Development of the formula for natural bread making star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45-1252. 

  16. Lee, K. P. and Kang, W. J. 2002. Improvement of thr leavening activity of bakers yeast by maltose pulsing pretreatment. Food Engineering Progress 6, 85-91. 

  17. McCann, A. K. and Barnett, J. A. 1986. The utilization of starch by yeast. Yeast 2, 109-115. 

  18. Paraggio, M. 2004. Biodiversity of a natural population of Saccharomyses cerevisiae and Hanseniaspora uvarum from Aglianico del Vulture. Food Technol Biotechnol 42, 165-168. 

  19. Park, I. D. and Chung, D. O. 2003.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herb bread. Korean J Food Cookery Sci 19, 539-545. 

  20. Sugihara, T. F., Kline, L. and Miller, M. W. 1971. Microorganisms of the San Francisco sour dough bread process. Appl Microbiol 21, 456-458. 

  21. Yun, M. S. 2005. Fermented whey produced by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Propionibacterium freudenreichii : Effect on quality properties of bread. Korean J Food Nutr 18, 109-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