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료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한 닭다리 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Quality of Chicken Thigh Meat 원문보기

한국가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v.38 no.2, 2011년, pp.105 - 112  

김영직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시험은 육계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량(0, 0.5, 1.0 및 2.0%)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pH, 총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TBARS, WHC, 전단력, 육색, 관능평가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한 계육의 pH, TBARS는 엄나무 잎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이므로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T3에서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보수성과 전단력은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육색 중 CIE $L^*$값과 CIE $a^*$값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높아졌으며(P<0.05), CIE $b^*$값은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결과이었다.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TU/TS는 증가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 함량이 높아지고 전자공여능이 향상됨으로 계육의 저장성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ground Kalopanax pictus leaves powder on pH, total phenol contents,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BARS, WHC, shear force, meat color, sensory evalu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chick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0% Kalopanax pictus leaves powder. T3: Basal diet with 2.0% Kalopanax pictus leaves powde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엄나무 잎이란?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한약재 중 오갈피과에 속하는 엄나무(Kalopanax pictus Nakai) 잎은 일명 개두릅이라 하여 두릅과 마찬가지로 새순을 채취하여 산채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건강식품 중의 하나이다(Yook, 1988). 엄나무(음나무)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그 껍질을 해동피, 근피를 해동수근이라하여 풍습 제거, 경락 소통, 살충, 살균, 항진균, 신경통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면역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보고되고 있다(Choi, 1997).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하여 사육한 육계를 각종 성분을 조사한 실험에서 총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의 변화는? 05)를 보이므로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T3에서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엄나무를 한방에선 어떻게 사용했는가?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한약재 중 오갈피과에 속하는 엄나무(Kalopanax pictus Nakai) 잎은 일명 개두릅이라 하여 두릅과 마찬가지로 새순을 채취하여 산채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건강식품 중의 하나이다(Yook, 1988). 엄나무(음나무)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그 껍질을 해동피, 근피를 해동수근이라하여 풍습 제거, 경락 소통, 살충, 살균, 항진균, 신경통 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면역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보고되고 있다(Choi, 1997). 엄나무에 관한 연구로는saponin과 lignan 및 phenol성 항산화 물질 등이 보고되고 있고(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4617:1199-2000. 

  2. Brewer MS, Ikims WG, Harbers CAZ 1992 TBA values, sensory characteristic and volatiles in ground pork during long-term frozen storage: Effect of packing. J Food Sci 57:558-564. 

  3. Choi JW, Huh K, Kim SH, Lee KT, Lee HK, Park HJ 2004 Kalopanaxsaponin A from Kalopanax pictus, a potent antioxidant in the rheumatoidal rat treated with Freund's complete adjuvant reagent.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79:113-118. 

  4. Choi SW 1997 Antioxidative properties of methanolic extracts in leave of Kalopanax pictus. Res Bull Hyoseung Univ Daegu 54:131-139. 

  5. Dahilja JP, Wilkie DC, Van Kessel AG, Drew MD 2006 Potential trategies for controlling necrotic enteristis in broiler in post-antibiotic era. Anim Feed Sci Technol 129:60-68. 

  6. Dugan MER, Aalhue JL, Jeremiah LE, Kramer JKG, Schaefer AA 1999 The effect of feeding conjugated linoleic acid on subsequent pork quality. Can J Anim Sci 79:45-52. 

  7. Farag RS, Ali MN, Taka HS 1990 Use of some essential oils as natural preservatives for butter. JAOCS 68:188. 

  8. Faustman C, Cassens RG 1990 The biochemical basis for discoloration in meat: A review. J Muscle Foods 1:1217- 1221. 

  9. Folch J, Lee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497-509. 

  10. Greene BE, Hsin I, Zipser MW 1971 Retardation of oxidative color changes in raw ground beef. J Food Sci 36:940-942. 

  11. Hansen LL, Claudi-Magnussen C, Jensen SK, Andersen HJ 2006 Effect of organic pig production systems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Meat Sci 74:605-615. 

  12. Hsieh C, Yen GC 2000 Antioxidant actions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 toward oxidative damage in biomolecules. Life Sci 66:1387-1400. 

  13. Kim BK, Woo SC, Kim YJ 2004 Effect of mugwort pelleted diet on storage stability of pork loin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121-127. 

  14. Kim SH, Park YK, Jang YS, Han JG, Chung HG 2007 Oxidative stress in the cel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extracts. Mokchae Konghak 35(6):126-134. 

  15. Lee CH, Choi MS, Kwon KW 2000 Variation of kalosaponin contents in plant parts and population of native Kalopanax semtemlobus. Korean J Pham 31:203-208. 

  16. Masuda T, Jitoe J, Nakatani N, Yonemor S 1993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curcumin-related phenolics from rhizomes of Curcuma domestica. Phytochemistry 32:1557- 1603. 

  17. Miller WO, Saffle RL, Zirkle SS 1986 Factors which influence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various types of meat. J Food Technol 22:1139-1144. 

  18. Park UT, Jang DS, Cho HR 1992 Antimicrobial effect of lithospermiradix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97-100. 

  19. Pascual JV, Rafecas M, Canela MA, Boaatella J, Bou R, Barroeta AC 2007 Effect of increasing amounts of a linoleic rich dietary fat on the fat composition of four pigs breeds. Food Chem 100:1639-1648. 

  20. Pearson MD, Gray JI, Wolzak AM, Horenstein NA 1983 Safety implication of oxidized lipids in muscle foods. Food Technol 37:121-129. 

  21. Porzel AT, Schmid, SJ, Lischewski M, Adam G 1992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alopanax septemlobus. Plant Med 58:481-482. 

  22. Sano K, Sanada S, Ida Y, Shoji J 1991 Studies on the constituents of bark of Kalopanax pictus. Chem Pharm Bull 39(4):865-870. 

  23. SAS 2002 SAS/STAT User's Guide: Version 8.2. SAS Institute, Inc., Cary, North Carolina. 

  24. Shao CJ, Kassi R, Xu JD, Tanaka O 1989 Saponins from roots of Kalopanax septemlobust Koid. Structure of kalopanaxsaponins C, D and F. Chem Pham Bull 37:311-314. 

  25. Sofos JN, Beuchat LR, Davison PM, Johnson EA 1998 Naturally occuring antimicrobials in foods. Toxicol Pharm 28:71-76. 

  26. Witte VC, Krause GF, Baile ME 1970 A new extraction method for determining 2-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pork and beef during storage. J Food Sci 35:352-358. 

  27. Yin MC, Faustman C, Riesen JW, Williams SN 1993 $\alpha$ -Tocopherol and ascorbate delay oxymyoglin and phospholipid oxidation in vitro. J Food Sci 58:1273-1276. 

  28. 강혜경 자가디쉬벨로 손시환 장인석 문양수 2009 육계에게 가시오갈피와 두충의 첨가 급여가 항산화 효소, 지방 및 근육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6:39-45. 

  29. 김동욱 김상호 유동조 강근호 김지혁 강환구 장병귀 나재천 서옥석 장인석 이규호 2007 식물추출물, 한방발효물, 유 산균 단독 및 혼합 첨가 급여가 육계 생산성에 미치는 영 향. 한국가금학회지 34:187-196. 

  30. 김세현 박영기 장용석 한진규 정헌관 2007 음나무 추출물의 세포 내 산화 스트레스와 항산화 확산. 목재공학 35:126- 134. 

  31. 박희준 남정환 정현주 김원배 박광균 정원윤 최종명 2005 음나무 잎 수피의 진통소염 효과 및 아주반트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 생약학회지 36:318-323. 

  32. 이상무 황주환 김영직 2010 사료 내 엄나무 첨가 급여가 육 계의 생산성 및 계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축산식품학회지 30:305-312. 

  33. 육창수 1989 원색한국약용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pp. 380. 

  34. 정용진 노정은 박난영 2004 음나무 껍질 추출물의 저장성에 관한 연구. 한국저장유통학회지 11:299-3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