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닐하우스와 관행재배 인삼의 생육특성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 of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Cultivated with Greenhouse and Traditional Shade Facility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9 no.3, 2011년, pp.157 - 161  

이성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학원 인삼특작부) ,  김금숙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학원 인삼특작부) ,  현동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학원 인삼특작부) ,  김용범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학원 인삼특작부) ,  김장욱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학원 인삼특작부) ,  강승원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학원 인삼특작부) ,  차선우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학원 인삼특작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owth characteristics, root yield and ginsenoside contents of 3-year-old ginseng in greenhouse shaded by $30^{\circ}$ sloped-curtain made of aluminum were compared to traditional shade facility in order to develop cultural practice for organic ginseng. Light transmittance ratio in green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누수를 차단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 시설에서 기온상승을 막고 산란광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가림 시설을 개선하여 수량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본 시험에서는 비닐하우스 시설과 관행 해가림 시설에서 투광율과 기온을 측정하고 비닐하우스 재배 인삼과 관행 재배 인삼의 생육특성과 수량성, 그리고 사포닌 성분함량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인삼 비가림 하우스 재배기술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겨 인삼 생산을 위해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비가림 재배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간 친환경 인삼을 생산하기 위해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비가림 재배가 시도되어 묘삼생산이나 4~6년근 재배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비닐하우스 시설은 관행보다 기온이 높아 고온장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차광을 두껍게 할 경우 수광량과 산란광이 부족하게 되어 웃자라게 되고 인삼뿌리 비대가 약화되어 수량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Lee et al., 2007).
인삼 재배의 단점은 무엇인가? 최근 친환경 유기농산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 증가로 화학농약의 사용을 억제하여 농약잔류가 없는 친환경 인삼을 생산하고자 하는 농가들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인삼은 특히, 장마철 잦은 강우로 인해 잎에 점무늬병과 탄저병 발생이 많아 무농약 재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인삼의 점무늬병, 탄저병에 대한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가? 인삼은 장마기 때 습도가 높아지고 빗물에 잎이 젖어 있는 시간이 오래 지속되면 점무늬병과 탄저병의 발생이 많아지는데 (Kim et al., 1990), 이때 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점무늬 병과 탄저병의 만연으로 8월 중하순이면 지상부의 잎이 대부분 고사되어 수량이 현저히 감소된다 (Mok, 2000). 화학농약에 의한 방제가 일반화되어 있지 않았던 ‘80년대 이전에는 점무늬병과 탄저병으로 인한 조기낙엽으로 금산, 풍기와 같은 4년근 주산지에서는 8월말부터 수확하는 경우가 많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Ahn YN, Lee YS, Choung MG, Choi KJ and Kang KH. (2002). Ginsenoside contentration and chemical component as affected by harvest time of four-year Ginseng.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47:216-220. 

  2. John MF, John TAP, Eric FW, Helen LB, Catherine M, and James AD. (2004). Carbohydrate and ginsenoside changes in ginseng roots growth in the Bay of Plenty, New Zealand.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8:165-172. 

  3. Kim YH, Yu YH and Lee JH. (1990). Effect of shading on the quality of raw, red and white ginseng and the contents of some minerals in ginseng roots. Journal of Ginseng Research. 14:36-43. 

  4. Lee CY. (2007). Effects of shading material of rain shelter on growth and quality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291-295. 

  5. Lee SW, Kang SW, Kim DY, Seong NS and Park HW. (2004a).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mpounds of ginseng cultivated by paddy and upland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10-16. 

  6. Lee SW, Kang SW, Seong NS, Hyun GS, Hyun DY, Kim YC and Cha SW. (2004b). Seasonal changes of growth and extract content of roots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2:483-489. 

  7. Lee SW, Yeon BY, Hyun DY, Hyun GS, Park CG, Kim TS, and Cha SW. (2007). Effect of compost application level on seedling growth of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138-141 

  8. Lee SW, Kim GS, Hyun DY, Kim YB, Kang SW and Cha SW. (2010). Effects of spraying lime-bordeaux mixture on yield, ginsenoside, and 70% ethanol extract contents of 3-year-old ginseng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244-247. 

  9. Lee SW, Kim GS, Yeon BY, Hyun DY, Kim YB, Kang SW and Kim YC. (2008).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ginsenoside contents by drainage class and varieties in 3-yearold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346-351. 

  10. Lee, SW, Kim GS, Yeon BY, Hyun DY, Shin YS, Kang SW and Cha SW. (2009). Varietal difference in growth response and ginsenoside contents of two-year-old ginseng grown in paddy field with different drainage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3:401-406. 

  11. Li Xiangguo, Kang SJ, Han JS, Kim JS and Choi JE. (2009). Effects of root diameter within different root parts on ginsenoside composition of Yunpoong cultivars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7:452-457. 

  12. Mok SK. (2000). Standard cultivation method for ginseng.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Press. Suwon, Korea. p. 166-169. 

  13. Oh DJ, Lee CY, Kim SM, Li GY, Lee SJ, Hwang DY, Son HJ and Won JY. (2010). Effects of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photosynthesis characteristics by planting position and growth stage in Panax ginseng C. A. Mey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65-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