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영양지식과 식행동이 중학생 자녀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iddle 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4 no.2, 2011년, pp.140 - 151  

이재선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영양교육) ,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복선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영양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양지식과 식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그 어머니의 영양지식과 식행동이 자녀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구지역 중학생 357명(남학생 158명, 여학생 199명)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영양태도, 영양지식, 식습관, 식사섭취상태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남학생의 어머니 평균 연령은 42.2세, 여학생의 어머니는 41.6세이며 학력은 대졸이상이 남학생의 어머니 46.8%, 여학생의 어머니 43.2%로 가장 높았다. 어머니가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남학생이 41.1%, 여학생 43.2%이고, 월평균 수입은 남학생 가정이 381만원, 여학생 가정이 391만원이었다. 2) 영양태도 점수는 총 15점 만점에 남학생은 평균 10.47점, 여학생은 11.24점으로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p < 0.001) 높았으며, 남학생 어머니는 11.81점 여학생 어머니는 12.09점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영양지식 점수는 20점 기준으로 남학생 15.43점, 여학생 16.13점으로 역시 여학생의 평균 점수가 남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p < 0.01) 높게 조사되었고 어머니 점수는 약 17점으로 차이는 없었다. 식습관 점수는 15점 만점에 남학생 10.84점, 여학생 11.13점, 남학생 어머니 11.50점, 여학생 어머니 11.62점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3) 조사대상자들은 본인의 식습관 문제점으로 남학생은 '급하게 먹는 습관'을, 여학생은 '불규칙한 식사시간'을 들었고 어머니들은 '불규칙한 식사시간'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학생들과 비슷한 식습관 문제점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습관 형성에 영향을 준 인자로 학생, 어머니 모두 '부모님 형제자매'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아 올바른 식습관을 위한 가정의 역할이 중요함을 반영하였다. 또한 영양교육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참여하겠다는 비율이 여학생에서 유의적으로 (p < 0.01) 높게 나타났고, 50% 이상의 어머니가 참석을 희망하여 학생과 어머니를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4) 섭취량이 가장 낮은 영양소는 칼슘이며, 남학생은 권장 섭취량의 63.2%, 여학생은 71.2%였으나, 어머니들은 권장섭취량 수준을 보여 양호하였다. 영양소 섭취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계산한 MAR 점수는 여학생이 0.89로 0.86인 남학생보다 유의적으로 (p < 0.01) 높았으며, 어머니들의 평균 영양소적정도는 0.90이었다. 5) 남 여학생 모두 영양태도와 영양지식 점수 간에 상관성이 있었고, 여학생의 경우는 영양태도와 식습관, 영양지식과 식습관, 식습관과 MAR간에도 유의적인 상관성을 보였다. 어머니와 학생자녀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을 때 남학생의 식습관과 MAR이 각각 어머니의 식습관과 MAR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학생과 그 어머니 사이에는 어머니의 영양태도, 식습관, MAR이 여학생 자녀의 영양태도, 영양지식, 식습관, MAR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영향이 여학생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이 남학생과 어머니 사이에서 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정은 아동이 식생활 관련 행위를 학습하고 습관을 형성하는 환경으로 부모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다. 특히 어머니는 식생활 관리자로서 그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어,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사계획으로 학생의 영양 요구량을 충족시켜 주어야 하며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식사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자녀들이 건전한 식습관과 합리적인 식생활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ddle-school students (158 boys and 199 girls) and their mothers were asked about nutritional attitudes,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food intake using a questionnaire to examine whether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others affected their children's dietary habits.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학생과 그 어머니들의 영양섭취 실태, 영양지식 및 식습관 등을 파악하고 어머니의 영양지식과 식행동이 자녀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구지역 중학생 357명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중학생의 영양지식과 식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그 어머니의 영양지식과 식행동이 자녀의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구지역 중학생 357명 (남학생 158명, 여학생 199명)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영양태도, 영양지식, 식습관, 식사섭취상태 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ㆍ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신체사항, 영양태도, 영양지식, 식습관, 영양섭취 실태를 조사하여 이 시기에 습득된 영양지식의 수준이 좋은 영양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 남·여 중학생과 어머니의 영양태도, 영양지식, 식습관, 영양섭취 실태의 상호관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생활 행동과 균형 잡힌 영양섭취를 위한 청소년 및 어머니 대상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 영양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측면의 역동적 변화를 겪는 시기로서, 영양필요량이 일생 중 어느 시기보다 높아서 올바른 식생활을 통한 균형적인 영양섭취가 자신의 성장 발육과 일생의 건강을 결정하게 되며 또한 가치관이 적립되는 시기이다.1)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자신의 건강 뿐 아니라 가정을 이루어 자녀 세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 청소년은 진학을 위한 과중한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시간부족 등이 일상화되어 아침결식, 잦은 간식 및 폭식 등과 같은 불규칙적인 식생활, 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의 빈번한 섭취 등의 여러 가지 식습관의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정신적 측면의 역동적 변화를 겪는 시기로서, 영양필요량이 일생 중 어느 시기보다 높아서 올바른 식생활을 통한 균형적인 영양섭취가 자신의 성장 발육과 일생의 건강을 결정하게 되며 또한 가치관이 적립되는 시기이다.1)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자신의 건강 뿐 아니라 가정을 이루어 자녀 세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청소년기 잘못된 식습관의 원인을 무엇으로 보는가? 1)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자신의 건강 뿐 아니라 가정을 이루어 자녀 세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우리나라 청소년은 진학을 위한 과중한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시간부족 등이 일상화되어 아침결식, 잦은 간식 및 폭식 등과 같은 불규칙적인 식생활, 가공식품이나 패스트푸드의 빈번한 섭취 등의 여러 가지 식습관의 문제를 나타내고 있다.2-5) 학년이 올라갈수록 청소년들은 밖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고 학교급식이나 외식과 같은 가정 밖 식생활의 비중이 커져 스스로 자신의 식생활을 결정해야 할 경우가 많아지는데 반하여 바람직한 식생활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의 습득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대부분 기호 위주의 식생활을 하고 있다. 따라서 올바른 식생활을 비롯한 생활습관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절실하나 현재의 진학위주의 학교교육 여건에서는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u JO, Lee JW, Choi YS, Kim JH, Lee JH.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4th Ed. Seoul: Hyoil Press; 2006. p.270-301 

  2. Yi BS, Yang IS.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1): 25-38 

  3. Cho SH, Yu HH.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5): 519-533 

  4. Kim MH, Bae YJ, Lee HJ, Choi MK. The evaluation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sex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in middle school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9; 19(6): 921-927 

  5. Kim BR. Fast food consumption pattern and food habit by fast food intake frequ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Wonju area. J Korean Home Econ Educ 2009; 21(4): 19-33 

  6. Yperman AM, Vermeerch JA.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ren's food habits. J Nutr Edu 1979; 11(2): 72-76 

  7. Sanjur D.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s in nutrition. New York: Practice Hall Inc; 1986. p.21-51 

  8. Hyun KS, Hong SY, Lin YS, Lee AR. Meal management. Seoul: Kyomoonsa ; 1998. p.23-31 

  9. Lee KA. The concern for health,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in Busan. Korean J Diet Cult 2002; 17(4): 411-423 

  10. Choi MY, Kim HY.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student's stage of regular breakfast or exercise. Korean J Community Nutr 2008; 13(5): 653-662 

  11. Choi MK, Bae YJ, Kim MH, In SJ. A survey of the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2010; 16(2): 133-145 

  12. Ha TY, Kim HY, Kim YJ.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h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5; 24(1):10-18 

  13. Lee KA. The concern for health,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al attitude of lementary school children's mothers in Busan. Korean J Diet Cult 2002; 17(4): 411-423 

  14. Kim JD, Kim WK, Rhim YT, Kim MJ. The relations between obese child who lived in Namyangju city province and the factors of parent's eating pattern. Korean J Sports Sci 2009; 18(4): 1139-1148 

  15. Lee KA. Effects of mother's nutritional attitudes and knowledge on their children's obesity inducing factors. Korean J Nutr 2004; 37(6): 464-478 

  16. Pyun JS, Lee KH.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etary habits of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and the mother's need for nutritional education for preschoolers. J Korean Diet Assoc 2010; 16(1): 62-76 

  17. Vereecken C, Maes L. Young children's dietary habits and associations with the mother's nutritional knowledge and attitudes. Appetite 2010; 54: 44-51 

  18. Kosti RI, Panagiotakos DB, Tountas Y, Mihas CC, Alevizos A, Mariolis T, Papathanassiou M, Zampelas A, Mariolis A. Parental body mass index in association with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obesity among adolescents in Greece; dietary and lifestyle habits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environment: the Vyronas study. Appetite 2008; 51: 218-222 

  19. Kim WY.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1984; 17(3): 178-187 

  20. Lee JS. Nutrition survey of children of a day care center in the low income area of Pusan II. A study on the effect of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the moth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3; 22(1): 34-39 

  21. Mo SM, Ku JO, Park YJ, Park YS, Son SM, Seo JS. Community nutriton. Kyomunsa; 2006. p.117-119 

  22. Oh S, Hyun W, Lee H, Park H, Lim H, Song K. A study on the stress and the dietary hab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mother's employment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4): 498-506 

  23. Jeong KY, Lee YS, Kim SM. The study of dietary behavior, BMI and nutrient intake status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Daegu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05; 15(1): 1-10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Seoul; 2008 

  25. Yun YR, Yang EJ.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2010; 43(5): 489-499 

  26. Kang HW, Lee SS. A study on weight control and dietary lif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food frequency. Korean J Nutr 2006; 39(8): 817-831 

  27. Eom HS, Jeong MJ, Kim SB.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food habit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honbuk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05; 10(5): 574-581 

  28. Na SY, Ko SY, Eom SH, Kim KW.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3): 329-341 

  29. Bae HJ, Park HJ, Chae MJ, Yoon EY, Kim KW, Seo JS. Evaluation f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sites on the internet. J Korean Diet Assoc 2006; 12(4): 404-410 

  30. Ahn Y, Kim H, Seo JS, Yoon EY, Bae HJ, Kim KW. Needs assessment for developing a nutrition information site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mong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Korean J Community Nutr 2007; 12(4): 405-416 

  31. Kim JW, Ha AW, Yoo KS. Mother's nutrition knowledge and their preschoolers' obesity and dietary habits. Korean J Food Cult 2008; 23(5): 646-654 

  32. Jeong SI, Hong SM. Analysis of different dietary habits by classification of body mass index of middle school male students in Ulsa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2010; 15(3): 342-350 

  3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2005 

  34. Yu CH. A review on the changes of lifestyle and the relate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 Korean J Nutr 2002; 35(1): 137-146 

  35. Jin YH. The study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mall city. J Korean Diet Assoc 2001; 7(4): 320-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