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antimicrobial effects of Fermented Coptidis rhizoma and Lonicerae Flos against pathogens. Methods Lactobacilli MRS broth was added to 200mL glass bottle containing 20% herb powder(w/v) followed by 30 minute sonication and then shaking at 70 rpm 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황련과 금은화를 발효하였을 때 나타나는 유해균에 대한 효과는 아직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염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한약재인 황련과 금은화를 선택하여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발효 한약재 활용이 유해균 억제에 유효하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임상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 이번 연구에서는 항염작용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한약재인 금은화, 황련을 발효하여 유해균 억제 효과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면서 발효 한약의 임상적 효과에 대하여 입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 금은화 황련의 유해균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발효한 한약재 추출물을 시료로 이용하여 유해균 생육 저해 효과에 대해 실험하였고 생균수를 측정하여 얻은 결과는? 1. 황련의 Salmonella spp.에 대한 균 생육 저해율은 98.04%로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은 황련추출물 자체만으로도 유해균 생육 억제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발효했을 때 균 생육 저해율이 Lactobacillus brevis에서 94%, Lactobacillus plantarum에서 97.9%, Leuconostoc mesenteroides에서 99.96%로 확인되어 발효 황련의 유해균 억제 효과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황련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균 생육 저해 율은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여 3가지 발효추출물 전부 100%로 확인 되었으며 균주에 대하여 완전한 억제반응이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금은화의 Salmonella spp.에 대한 균 생육 저해율은 45.1%로 나타났으며 발효추출물로 배양한 균주의균 생육 저해율을 비교했을 때 Lactobacillus brevis 에서 82.5%, Lactobacillus plantarum에서 100%, Leuconostoc mesenteroides에서 99.04%로 확인 되었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발효했을 때 생균수가 전혀 관찰되지 않아 항균 효과가 우수할수 있다는 것도 확인 할 수 있었다. 4. 금은화의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균 생육 억제율은 32.43%로 확인되었으며 본 실험에서는 Salmonella spp.에 대한 항균 효과(45.1%)보다 미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Lactobacillus plantarum 에서 100%, Leuconostoc mesenteroides에서 99.99%가 확인되었고 Lactobacillus brevis에서 24.78%가 확인되어 발효 금은화의 유해균 억제 효과는 균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발효 한약이란? 발효 한약이란 한약재를 우수한 종균으로 발효 시켜 원래 한약이 가지는 약효를 증가시키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약재를 말한다8) . 한약재를 발효시키기 위해서는 약물을 일정한 처리를 거친 후일정 온도와 습도의 조건하에서 곰팡이와 효소의 촉매 분해 작용에 의해 약물을 발효시키는 방법으로, 한약에 따라 일정한 방법을 채용한 후 온도와 습도가 적합한 환경 중 발효를 진행하게 된다1).
황련(Coptidis rhizoma) 및 금은화의 특징은? 황련(Coptidis rhizoma) 및 금은화(Lonicerae Flos) 는 폴리페놀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와 항균효과가 뛰어나 예전부터 그 효과를 위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선행연구에서 황련과 금은화를 식중독 유발세균에 처리하였을 때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15-16), 황련 추출물의 생리 활성 실험에서 황련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다고 보고하고 있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Gibson GR, Roberfroid MB. Dietary modulation of the human colonic microbiota: introducing the concept of prebiotics. J. Nutr. 1995;125:1401-12. 

  2. Mistuoka T. Recent trends in research on intestinal flora. Bifidobacteria Microflora. 1982;1:3-24. 

  3. Marik PE, Iglesias J. Intestinal mucosal permeability: mechanism and implications for treatment. Crit Care. 1999;27(8):1650-1. 

  4. 박정현, 김호준, 이명종. 비만에서 장내 미생물 균총의 역할과 발효 한약의 활용. 한방비만학회지. 2009:9(1):1-14. 

  5. 임장신. 수종 한약의 체질별 장내세균대사 활성과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박사논문. 2003. 

  6. 김동현. 한방미생물학 개정판. 서울:도서출판 효일. 2002:130-2,142-5. 

  7. Kim, So-Yeon;Ryu, Bong-Ha;Park, Jae-Woo. Effects of Samiunkyungtang on inflammation and fecal enzymes in ulcerative colitis animal model. J Korean Oriental Med. 2008;29(3):50-62. 

  8. 김기영, 송호준 편저. 한약포제학. 서울:신일상사. 2002:547. 

  9. Bae EA, Hyun YJ, Choo MK, Oh JK, Ryu JH, Kim DH. 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red ginseng on a transient focal ischemic rats. Arch Pharm Res. 2004;27(11):1136-40. 

  10. 김영미. 발효한약의 연구동향 연구. 경원대학교 일반대학원 한의학과. 2009. 

  11. 정용준, 한동오, 최보희, 박철, 이혜정, 김성훈, 함대현. 발효한약추출물 HP-1이 알코올을 투여한 쥐의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2):387-91. 

  12. 김철희, 권민철, 김효성, 안주희, 최근표, 최영범, 고정림, 이현용, 오미자의 전통발효에 의한 면역활성 증진. 2007;15(3):162-9. 

  13. Goldin BR. Health benefits of probiotics, Br. J. Nutr. 1998;80:203-7. 

  14. Fulleer R.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ied Bacteriology. 1989;66:365-78. 

  15. 배지현, 김미순, 강은혜.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금은화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005;37(4):642-7. 

  16. 배지현.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황련 추출물의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005;18(1):81-7. 

  17. 이진태, 이창언, 김준홍, 손준호, 곽재훈, 이진영, 박태순, 배호정, 장민정, 조철훈, 안봉전. 황련(黃連)의 생리활성검증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 대한본초학회. 2005;20(3):83-92. 

  18. Hooper LV, Gordon JI. Commensal host-bacterial relationships in the gut. Science, 2001;292:1115-8. 

  19. Kalliomaki M. Kirjavainen P, Eerola E, Kero P, Salminen S, Isolauri E. Distinct patterns of neonatal gut microflora in infants developing atopy. J.Allergy Clin. Immunol. 2001;107:129-34. 

  20. Kalliomaki M. Collado MC, Salminen S, Isolauri E. Early differences in fecal microbiota composition in children may predict overweight. Am. J. Clin. Nutr. 2008;87:534-8. 

  21. 정후길.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선발 기준 및 산업적 응용. 생물산업. 2001;14:39-48 

  22.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 교수. 본초학. 서울;영림사. 1998:180-1. 

  23. 이재성, 박호군, 우은란, 이은주, 안덕균, 윤원식, 신광호. 황련 중 berberine의 추출효율에 관한 연구. 분석과학. 1997;10(2):83-90. 

  24. 김희경. 황련의 NO 생성억제를 통한 항염증효과가 화상의 조직손상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9. 

  25. 배지현.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황련 추출물의 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005;18(1):81-7. 

  26. 이상인, 본초학, 서울:의학사. 1975:308-14. 

  27. 이용성, 경약분류전, 서울:정담. 200:22. 

  28. 노우성, 류봉하, 김진성, 윤상협, 백편두, 가자 및 보장건비탕의 항사작용에 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6;27(2):358-66. 

  29. 배지현, 김미순, 강은혜. 식중독 유발세균의 증식에 미치는 금은화 추출물의 항균효과. 한국식품과학회지. 2005;37(4):642-7. 

  30. World health Organization. Lead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3. Geneva, WHO. 1997;160. 

  31. 곡정강, 김진주, 노영래, 이성헌, 정승연, 정희재, 정승기. 해열탕의 항염증 항산화 항노화 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7;28(4):671-80. 

  32. 신재용. 금은화 전탕 숙성도에 따른 억균작용에 관한 실험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983;4(2):32-8 

  33. 서성숙, 정승기. 발효 금은화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에 대한 저해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9;30(3):465-80. 

  34. 강호조, 김용환, 이후장, 김종수, 김종섭, 김도경, 김은희, 박미림, 김곤섭. 한방사료첨가제를 이용한 육계의 Salmonella 방제효과: 항균성 및 장관정착억제. 대한수의학회지. 2003;43(1):41-7. 

  35. 주경은, 오남순. Bacillus subtilis와 Lactobacillus plantarum의 혼합배양이 청국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과학회지. 2009;41(4):399-404. 

  36. 정재형, 배윤숙, 김연주, 이종훈.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의 특성. 산업미생물학회지. 2010;38(4):481-5. 

  37. Hutt P, Shchepetova J, Loivukene K, Kullisaar T, Mikelsaar M. Probiotic lactobacilli enhance eradication on Salmonella Typhimurium in animal model. Journal of Applied Microbiology. 2006;100(6):1324-32. 

  38. 권오식. 김치에서 분리한 Leuconostoc 균주의 당발효능에 대한 연구. 자연과학연구논집. 2008;26:63-71. 

  39. 권오식, 김선지, 진준엽. 주요 식품에서 발견되는 Leuconostoc종의 대사 특성에 대한 연구. 자연과학연구논집. 2008;26:73-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