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K-CTJSS)의 표준화를 위한 타당화 연구
Study for Validation of the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K-CTJS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9 no.2 = no.110, 2011년, pp.1 - 12  

조성연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  백은주 (목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김혜금 (동남보건대학 보육학과) ,  권연희 (부경대학교 유아교육과) ,  정지나 (한북대학교 영유아보육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K-CTJSS) tha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was evaluated by pretest in 2009. K-CTJSS is composed by 40 items with 6 factors and is responded by 6 point Likert scale. Participa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단위 전국적 차원의 표본선정을 통해 조성연 등(2010)의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 보육 교사 직무 만족 척도, 의 표준화를 위한 타당화 연구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보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기 위해 무엇보다 안정적이고 전문적인 양질의 보육인프라 구축의 중요성이 고려되는 지금의 시점에서 우리나라 보육 상황을 고려한 신뢰롭고 타당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 를 개발한다는 것은 보다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자료 수집을 가능하게 해 준다는 점에서 다른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 이는 결국 보육교사의 처우개선을 위한 정책을 입안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의 제공을 어렵게 할 수 있으므로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 보육교사 직무 만족 척도의 개발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의 타당화 예비연구(조성연 등, 2010)를 실시한 자료에 기초하여 전국의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를 표준화하기 위한 타당화 연구를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자료를 수집하여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 교차타당도 등의 타당도와 내적 합치도, 반분신뢰도 등의 신뢰도를 산출하여 검증하였다. 산출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타당화 예비연구를 통해 개발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 의 표준화 가능성을 검증하는 것이며, 이는 우리나라 보육서비스의 질적인 향상 및 보육교사의 처우개선을 위한 다양한 차원의 자료 수집을 가능하게 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척도는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자료 수집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보육교사의 복지수준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타당한 기초자료를 제공해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강혜경(200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 경규혜(1995). 보육교사의 근무실태와 근무만족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현수(1995). 영유아 보육시설의 효과적 운영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혜경(200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충북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길경숙.노수남(2004). 유아교사의 자아개념과 직무만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2(11), 123-136. 

  6. 김경희?한성희?김혜금(2010). 영유아 관찰 및 실습. 파주: 정민사. 

  7. 김계수(2006). AMOS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SPSS 아카 데미. 

  8. 김동례.이현경(2008). 보육시설 평가인증제 참여교사와 비 참여교사의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2), 25-48. 

  9. 김순남(2000). 유치원 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따른 역할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영지(2004).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도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민혜영(2008). 보육시설장의 리더쉽 및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자기 효능감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23-143. 

  12. 박영태.이경님.하수연(2008).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 2008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춘 계학술대회, 429-451. 

  13. 보건복지가족부(2008). 2세 보육프로그램. 서울: 육아정책개발 센터. 

  14. 보건복지부(2010). 2009년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15. 성영혜(1994). 영유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1, 1-21. 

  16. 성영혜.이은진(199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보육활동 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2, 169-191. 

  17. 서현(2007). 여성 사회활동 증진을 위한 보육 및 육아 지원 정책. 한국모자보건학회 제22회 추계학술대회 연제집, 55-66. 

  18. 신동희(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호서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오경희(1989).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위안이 교육활동 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윤혜미.권혜경(2003).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업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2(3), 303-319. 

  21. 이기향(2005).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명순.이명옥(2010). 보육시설장의 역할수행 및 요구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1), 207-225. 

  23. 이은화?배소연?조부경(1997).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24. 이재완(2004). 보육교사와 유치원교사의 자존감과 직무만족도 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7, 127-149. 

  25. 전성연(1982). 교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서울: 대한교육연합회. 

  26. 조성연(2004).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한국영유아보육학, 36, 23-44. 

  27.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아동학회지, 25(1), 359-373. 

  28. 조성연?백은주?김혜금?권연희?정지나(2010). 한국형 보육 교사 직무만족척도 개발을 위한 타당화 예비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5), 89-100. 

  29. 조은정?박은영?김희정(2008). 보육교사가 평가한 보육시설 장의 전문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3), 311-327. 

  30. 최성상(2005). 인천지역 유아교사의 직무만족과 관련변인에 대한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하정해(1998). 어린이집 보육교사 근무실태에 관한 연구. 한남 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한국여성개발원(1998). 보육서비스의 질적 수준 향상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여성개발원. 

  33. 河村茂雄(2003). 敎師力. 東京: 誠信書房. 

  34.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28-32. 

  35. Bently, R. R., & Rempel, A. M. (1970). Manual for the Purdue Teacher Opinionnaire(PTO). West Lafayette, IN: Purdue Research Foundation. 

  36.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37. Jorde-Bloom, P. (1986). Teacher job satisfaction: A framework for analysi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 167-183. 

  38. Jorde-Bloom, P. (1989). Measuring work attitu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Illinois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39. Jorde-Bloom, P. (1989). Factors influencing overall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Childhood Education, 3(2), 107-122. 

  40. Klecker, B. M., & Loadman, W. E. (1999).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atings of job satisfaction by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Management, Administration & Leadership, 119, 504-513. 

  41. Pope, S., & Stemmel, A. J. (1992).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Child & Youth Care Forum, 21(1), 44-45. 

  42. Vandell, D. L. (2004). Early child care: The known and the unknown. Merrill-Palmer Quarterly, 50, 387-4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