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북이산가족의 실향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Losing a Hometown among Korea's Divided Familie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9 no.2 = no.110, 2011년, pp.143 - 152  

양성은 (인하대학교 소비자아동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chieve an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divided families in South Korea. The study adopted a qualitative method based on the interpretive science paradigm The participants were 14 elderly people who came from North Korea around 1950 and identified as belonging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계숙, 2001). 가족학적 관점이야말로 타의에 의해 정치적으로 범주화되는 이산가족의 모습이 아닌 이산가족 스스로가 자신을 어떻게 규정하는지, 이산 경험에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는지, 세대가 달라짐에 따라 이산가족의 미래를 어떻게 예상하는지 등의 본질적 문제를 탐색하게 한다. 특히 2000년대 이후 확대된 남북교류나 이산가족 상봉의 영향을 고려할 때 이산가족들의 실향 경험, 남한 정착 과정, 그리고 귀향에 대한 의미를 재고할 필요성이 있다.
  • 이산1세대의 남한 정착과정을 경제적, 사회적 자본과 연결해 분석한 논문들(김귀옥, 1999; 김성은, 1995)도 뒤를 이었다. 논문 발표 시점이 다소경과되었지만 이들은 근대화, 민주화, 도시화 등의 사회경제적 변혁 속에서 이산1세대가 월남인으로서 어떻게 적응했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실향민으로서 남한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 이산:I세대는 전통적인 핵가족 및 친인척체계를 아우르는 가족유대의식을 더욱 강화하는 공통점을 보였다.
  • 본 논문에서도 연구결과를 함축적으로 요약하면서 중심주제들간의 논리적 연계를 보여주기 위해 을 제시하였다.
  • 남북이산가족은 정치적, 역사적, 경제적 분단이라는 거시체계의 사건이 혈육이라는 미시체계적 관계를 단절시킴으로써 야기된 비극이다. 본 연구가 도출한 미시적 연구결과가 궁극적으로는 거시적 정책의 긍정적 변화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이산을 미시적 차원의 가족 경험으로 조명하여, 거시적 차원의 접근이 간과한 실향민들의 .일상적 목소리를 학계에 전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통하여 이산가족 공동체가 겪은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러한 경험이 이산가족의 실향 및 귀향 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며, 앞으로 이산가족 사회의 변화는 어떠할지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산가족1세대는 스스로를 가족원과의 이별을 포함해 다양한 상실을 경험한 실향민이라고 정의하였다.
  • 하는 경우 적절하다. 연구하고자 하는 대상이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고, 어떻게 자신의 경험을 해석하는지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산가족에 대한 연구들이 거시적 관점에 편향된 점을 비판하면서, 이들의 미시적 경험을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질적연구를 통해 이산가족이 자신의 가족에게 부여하는 주관적 의미를 명료화함으로써 이면에 감추어진 정서, 신념, 동기, 가치관 등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 차원의 접근이 간과한 실향민들의 .일상적 목소리를 학계에 전달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를 이산 1세대로 한정함으로써 실향 경험에 대한 이산2세대의 관점을 포착하지는 않았으며, 성별에 따라 이산1세대의 실향 경험에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 엄격한 비교가 이루어지지 못한 제한점이 있다.
  • 이산1세대는 스스로를 화석화된 공룡으로 인식하며, 남한 내 실향민 사회가 쇠미(衰 微)할 것을 예견했다. 특히 장기간의 남북 간 대립을 목격하면서 평화통일의 실현가능성에 대해 회의를 보였다. 이에 따라 이산1세대의 귀향에 대한 기대도 수정되는데, 이들에게 고향은 더 이상 현실적인 장소가 아니며 추억의 대상으로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분단 60여년이 되어가는 현 시점에서 이산가족들이 고향을 떠나 겪은 경험은 무엇이고, 이신:1세대는 실향에 대해 어떠한 의미를 부여하며, 이산2세대로 넘어가면서 이산가족 공동체에 어떠한 변화를 예상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피상적인 통계적 수치에 의존함으로써 야기되었던 이산가족에 대한 오해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극복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귀옥(1999). 월남민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밑으로부터의 월남민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 김달순(2006). 남북이산가족 상봉의 문제점과 대북자세. 북한, 413, 77-82. 

  3. 김명혜(1988). 분단을 직접 경험한 가족연구: 가족주의를 중심 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논문. 

  4. 김성은(1995). 북한출신 월남인들의 경제적 정착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농가정학과 석사학위논문. 

  5. 대한적십자사(1976). 이산가족백서. 

  6. 대한적십자사(1977). 이산가족백서. 

  7. 대한적십자사(1986). 이산가족백서. 

  8. 대한적십자사(2005). 이산가족찾기 60년. 

  9. 소재선(2001). 남북이산가족의 상봉(1-3차)에 따른 가족법상의 제문제. 가족법연구, 15(2), 125-160. 

  10. 송상범(2004). 남북한 이산가족 상봉의 효율화 방안 연구. 대진 대학교 통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신경림?조명옥?양진향(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 여자대학교출판부. 

  12. 신율(2001). 남북정상회담 이후 이산가족 정책의 중간평가와 그 정례화를 대비한 개선방안의 실증적 연구. 국제정치논총, 41(2), 45-71. 

  13. 엄명용(2000). 남북한 이산가족의 상봉(결합)과 사회사업 과 제의 탐색. 사회과학, 39(2), 243-268. 

  14. 이성희?김태현(1993). 월남이산가족의 가족주의와 사회적 지원망. 대한가정학회지, 31(4), 95-113. 

  15. 이은정(2001). 남북교류에 따른 가족법 대응방안. 가족법연구, 15(2), 161-194. 

  16. 이창기(2010). 성리학의 도입과 한국가족제도의 변화: 종법 제도의 정착과 부계혈연집단의 조직화 과정. 민족문화논총, 46, 105-137. 

  17. 정현숙?유계숙(2001). 가족관계. 서울: 학지사. 

  18. 조미경(2002). 이산가족 중혼문제에 관한 연구. 가족법연구, 16(2), 77-114. 

  19. 최대석(1999). 김대중 정부의 이산가족 정책: 평가 및 정책제안. 북한연구학회보, 3(2), 171-186. 

  20. 최연실(2007). 남북이산가족의 적응에 관한 질적 고찰: 남한 거주 이산가족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1), 183-207. 

  21. 통계청(2006). 2005 인구주택총조사. 

  22. 통일부훈령 제334호(2003). 이산1세대 등에 대한 북한방문 증명서 발급절차에 관한 지침. 통일부. 

  23. Creswell, J. H.(1998).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Thousand Oak, CA: Sage. 

  24. Morse, J. M.(2006). Diagramming qualitative theorie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6(9), 1163-1164. 

  25. Padgett, D. K.(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Thousand Oaks, CA: Sage. 

  26. Van Manen, M.(1990).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N.Y., N.Y.: State University of N.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