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협의관리모델 분석을 통한 한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National Police's Protesting Policing Policy through the Analysis of Negotiated Management Model 원문보기

정보·보안논문지 = Journal of information and security, v.11 no.2, 2011년, pp.65 - 77  

황규진 (경찰대학교 경찰학과) ,  김학경 (경찰대학교 경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국과 유럽의 집회사워 관리정책은 지난 30년 동안 '물리력 의존 모델(Escalated Force Model)에서 협의관리모델 (Negotiated Management Model)로 급진적으로 변화해왔다. 스웨덴은 2008년부터 집회시위 주최 측과 대화를 통해 질서를 유지하는 '대화 경찰(Dialogue Police)'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 경찰은 진압 위주의 대책을 탈피하기 위해 1999년 이무영 경찰청장이 제시한 '新(신)집회 시위 관리대책' 이후 2010년 G20 서울 정상회의를 전후해 협의관리모델의 한 방편인 '합법촉진적 집회사위 관리방침'(Facilitation of Lawful Protests Model)을 시행하고 있다. 이 방침을 바탕으로 G20 서울 정상회의를 무사히 치라낸 한국 경찰의 역량은 높이 평가할만한 것이다. 하지만 현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약하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서구 경찰의 협의관리모델을 통해 합법촉진적 집회시위관리방침을 분석하였다. 그중에서도 특히 집회시위 현장에서 시위대와 협상을 담당하는 스웨덴의 대화경찰과 한국의 정보경찰에 대해 비교해 보았다. 정보경찰이 집회시위에 대한 규제가 심각하다는 시각도 있지만, 시위대와 대화를 중단하는 경우는 없으며 최근 그 협의 사항이 잘 지켜지는 추세이기 때문에 한국적 협의관리모델이 나름대로 발달해 왔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서울 G20 정상회담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을 관찰한 뉴욕시립대 Alex S. Vitale 교수는 한국 경찰도 '협의관리' 체계 속에서 운용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한편, 한국과 서구의 경찰제도의 역사와 구조가 상이한데도, 대화, 협상, 조정촉진 대안제시와 같은 갈등해결기법을 연결고리로 집회시위 관리정책이 상호 접근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앞으로 갈등해결기법을 더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한국적 집회시위 관리정책의 마래로 갈등해결 촉진모델(Facilitation of Conflict Resolution Model)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Western Europo and the US, there has been a general trend over 30 years of reducing the amount of force by the police, through a paradigm shift from 'Escalated Force Model' towards 'Negotiated Management Model'. In tune with this trend, for example, the Swedish Police have implemented the unifor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교의 틀로는 협상, 대안제시 등 갈등해결학(conflict resolution studies)의 기법들을 연결고리로 하였다. 대화경찰의 경우 갈등해결기법을 제도화한 최근의 사례이기에 한국 정보경찰에게 주는 시사점이 크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 이창무의 논문에서는 199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방식이 ① 강제적인 법집행의 완화 ② 협상과 타협의 중시 ③ 대규모 정보수집의 측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고 요약하고 있다 [17]. 본 연구에서는 협의관리 부분을 보다 구체적이고 심도있게 논의하고, 특히 한국의 정보경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갈등해결의 관점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 서구의 집회시위 협의관리모델은 주민동의에 의한 경찰활동을 바탕으로 헌법상 집회시위의 자유를 보장하고 아울러 불법·폭력시위로부터 일반 국민을 보호하는 두 가지 책무를 조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구의 집회시위 협의관리모델을 소개하고, 경찰정보기능의 관점에서 한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정책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 이렇게 서로 다른 성격의 제도가 상호 접근하고 있는 이유는 세계화의 영향이기도 하고, 갈등해결이 시대적 요청이라는 점도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정보경찰의 유연성과 빠른 적응능력을 감안할 때, 이 분야에서 좀 더 선도적인 위치에 나설 수도 있으리라 예상하며, 협의관리모델 보다 한 걸음 나아간 갈등해결 촉진모델을 제시해보았다. 앞으로 갈등해결기법을 좀 더 연구하여 한국적 집회시위 관리정책의 발전을 견인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과 유럽의 집회사워 관리정책은 지난 30년 동안 물리력 의존 모델에서 어떤 모델로 변화해왔는가? 미국과 유럽의 집회사워 관리정책은 지난 30년 동안 '물리력 의존 모델(Escalated Force Model)에서 협의관리모델 (Negotiated Management Model)로 급진적으로 변화해왔다. 스웨덴은 2008년부터 집회시위 주최 측과 대화를 통해 질서를 유지하는 '대화 경찰(Dialogue Police)'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창무의 논문에서는 199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방식이 어떻다고 요약하였는가? 이창무는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외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방안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협의관리모델의 개략적인 내용을 소개한 바 있다 [13]. 이창무의 논문에서는 199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방식이 ① 강제적인 법집행의 완화 ② 협상과 타협의 중시 ③ 대규모 정보수집의 측면에서 큰 변화를 보였다고 요약하고 있다 [17]. 본 연구에서는 협의관리 부분을 보다 구체적이고 심도있게 논의하고, 특히 한국의 정보경찰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갈등해결의 관점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1960년대 미국경찰의 집회시위관리정책은 어떤 악순환을 발생시켰는가? 하지만 과도한 물리력 행사는 오히려 집회시위자들을 자극하여 무질서와 혼란을 더욱 더 부추기는 결과를 가져왔고, 이것은 또 다시 물리력 행사의 증가를 가져오는 악화된 상황을 초래하였다. 즉 “무질서 - 물리력 행사 - 무질서의 심화 - 증가된 물리력 행사”라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경찰의 과도한 물리력 행사에 대하여 미국 국민들의 반감은 더욱 더 높아졌고, 이에 경찰은 과도한 물리력 행사에 대한 대안을 찾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영진, '갈등해결의 지혜', 일빛출판사, 2009. 

  2. 경찰대학, '경찰경비총서', 경찰대학, 2010. 

  3. 경찰청, '미래비전 2015', 경찰청, 2009. 

  4. 경찰청, '新집회?시위 관리를 위한 정보대책', 경찰청, 1999. 

  5. 김병우, "정책과정에서 경찰정보의 역할방안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03. 

  6. 김성태, "예방적 경찰작용에서의 추상적 위험?구체적 위험," 행정법연구, 제10호, pp. 251-273, 2003. 

  7. 김학경, "英경찰, 폭력시위 강경진압의 전통," 미래한국, 제369호, pp. 20-22, 2010. 

  8. 박수선, 이재영, 황규진, '사회갈등 조정능력 향상 과정', 경찰종합학교, 2008. 

  9. 서울지방경찰청, '新 집회?시위 관리대책', 서울 지방경찰청, 1999. 

  10. 서울지방경찰청, '新 집회?시위 안전관리 교범', 서울지방경찰청, 1999 

  11. 서정범?김연태?이기춘, '경찰법연구', 세창출판사, 2009. 

  12. 이주민, "정보화시대 경찰정보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2. 

  13. 이창무, "각국 경찰의 집회시위 관리방식의 변천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6호, pp. 13-39, 2007. 

  14. 문경환?황규진, '경찰정보론', 경찰대학, 2011. 

  15. 황규진, "치안정보의 개념에 관한 연구," 경찰학연구, 제9권, 제1호, pp. 79-105, 2009. 

  16. Alex S. Vitale, "An Analysis of Protest Policing by the Korean National Police during the G20 Summit in November 2010" in 경찰대학 G20 집회시위 관리정책 평가 심포지움 자료집, pp. 1-12, 2011. 

  17. Della Porta, D. & Reiter, 'Policing Protest: The Control of Mass Demonstrations in Western Democrac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1998. 

  18. S. Holgersson and J. Knutsson, 'Dialogue Policing - A Means for Less Crowd Violence?', Retrieved 25 February, 2011, from http://http://www.liv.ac.uk/psychology/cpd/Helgersson_%26_Knutsson_(in_press).pdf, n.d. 

  19. Swedish National Police Board, 'Dialogue Police: Experiences, observations and opportunities', Sweden: the National Police Board, 2010. 

  20. D. P. Waddington, 'Policing Public Order: Theory and Practice', Willan Publishing, 2007.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