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안에 출현하는 눈볼대 (Doederleinia berycoide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he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berycoide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3, 2011년, pp.284 - 289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오현수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박주면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eding habits of the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berycoides were studied using 650 specimens collected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from January to December, 2005. The size (standard length, SL)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6.3 to 35.2 cm. D. berycoides is a piscivore that consumes main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눈볼대에 관한 이전의 연구에는 분포, 회유 및 성장 (Park, 1970), 연령과 성장 (Kojima, 1976), 분포 특성 (Tashiro, 1988) 등의 연구가 있으나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출현하는 눈볼대의 섭식생태에 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해안에 출현하는 눈볼대의 위내용물 분석을 통하여 눈볼대의 주 먹이생물과 성장 및 계절에 따른 먹이생물의 변화양상을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눈볼대란? 눈볼대(Doederleinia berycoides)는 농어목(Perciformes) 반딧불게르치과(Acropomatidae)에 속하는 어종으로 우리나라 남해안, 일본, 인도네시아 등의 수심 80-150 m에 주로 서식한다(NFRDI, 2004). 우리나라 연안에서 반딧불게르치과 어류는 8종이 출현하며(Yoon, 2002), 이 중 눈볼대는 약 40 cm까지 성장하는 중형 어류이다(NFRDI, 2004).
눈볼대가 섭식하는 먹이는? 눈볼대는 주로 작은 어류를 섭식하는 어식성어류(piscivore) 이며, 그 외에 갑각류도 섭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FRDI, 2004). 우리나라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어류의 식성연구에서각 어종은 주 먹이생물의 종류에 따라 크게 어식성어류, 어류- 갑각류식성 어류, 갑각류식성 어류, 혼합식성 어류로 나눌수 있었다(Dou, 1995; Kwak, 1997; Choo, 2007).
반딧불게르치과에 속하는 눈볼대의 생태적 특성과 산란하는 시기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반딧불게르치과 어류는 8종이 출현하며(Yoon, 2002), 이 중 눈볼대는 약 40 cm까지 성장하는 중형 어류이다(NFRDI, 2004). 눈볼대는 계절에 따라 깊은 바다로 회유하는 생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산란기는 여름철인 8월에서 10월 사이로 알려져 있다(Park, 1970; NFRDI, 2004). 눈볼대는 우리나라 기선저인망어업의 어획대상인 중요한 상업성 어종으로 2002년 이전까지는 연간 1,000톤 미만의 낮은 어획량을 보이다가 최근 어획량이 증가하여 1,500-3,400톤이 어획되었다(Park, 1970; KOSIS, 1990-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eck GW and Huh SH. 2003. Feeding habits of juvenile Lophius litulon in the coastal waters of Kori, Korea. J Korean Fish Soc 36, 695-699. 

  2. Baeck GW and Huh SH. 2004. Feeding habits of brown barracuda (Sphyraena pinguis, Teleostei) in the coastal waters of Gadeok-do, Korea. J Korean Fish Soc 37, 505-510. 

  3. Castro JJ. 1993. Feeding ecology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Canary Islands area. S Afr J Mar Sci 13, 323-328. 

  4. Cha BY, Hong BQ, Jo HS, Shon HS, Park YC, Yang WS and Choi OI. 1997. Food habit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J Korean Fish Soc 30, 95-104. 

  5. Choo HG. 2007. Species composition and feeding ecology of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f Kori, Korea. Ph.D Thesis, Pukyong Nat'l, Univ, 126. 

  6. Clarke KR and Warwick RM. 1994.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Council, U.K., 144. 

  7. Dou S. 1995. Food utilization of adult flatfishes co-occurring in the Bohai Sea of China. Neth J Sea Res 34, 183-193. 

  8. Gerking SD. 1994. Feeding Ecology of Fish.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416. 

  9. Huh SH. 1999. Feeding habits of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Korean J Ichthyol, 11, 191-197. 

  10. Huh SH and Kwak SN. 1998a. Feeding habits of Pseudoblennius cottoides. J Korean Fish Soc 31, 37-44. 

  11. Huh SH and Kwak SN. 1998b. Feeding habits of Conger myriaster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e) bed in Kwangyang Bay. J Korean Fish Soc 31, 665-672. 

  12. Huh SH, Park JM and Baeck GW. 2006a. Feeding habits of Spanic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J Korean Fish Soc 39, 35-41. 

  13. Huh SH, Park JM and Baeck GW. 2006b. Feeding habits of john dory Zeus faber in the coastal waters off Gori, Korea. J Korean Fish Soc 39, 357-362. 

  14. Huh SH, Park JM, Nam GM, Park SC, Park CI and Baeck GW. 2008a. Feeding habits of Scorpaena neglecta in the Coastal Waters off Busan. Korean J Ichthyol 20, 117-122. 

  15. Huh SH, Kwak SN and Kim HW. 2008b. Feeding habits of Pseudoblennius perciodes (Pisces; Cottidae) in an eelgrass (Zostera marine) bed of Dongdae Bay. Korean J Ichthyol 20, 45-53. 

  16. Kojima K. 1976. Age and growth of the black-throat seaperch, Doderleinia berycoides (Hilgendorf), in the south-western Japan Sea. Bull Seikai Reg Fish Res Lab 48, 93-111. 

  17. KOSIS. 1990-2007. Statistic Database for Fisheries Production. Retrieved from http://www.kosis.kr/nspotal/ 

  18. Kwak SN. 1997. Biotic communities and feeding ecology of fish in Zostera marine beds off Dae Island in Kwangyang Bay. Ph.D Thesis, Pukyong Natl. Univ, 411. 

  19. Kwak SN. and S.H. Huh. 2002. Feeding habits of Platycephalus indicus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s in Kwangyang Bay. Kor J Ichthyol 14, 29-35. 

  20. NFRDI. 2001. Shrimp of the Korean Waters. Natl Fish Res Dev Inst, 188. 

  21. NFRDI. 2004.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 Offshore Waters in Korea. Natl Fish Res Dev Inst, 333. 

  22. Park BH. 1970. Study on the distribution, migration and growth of sea bass, Doderieinia berycoides (H), in Korean waters. MS Thesis, Pukyong Nat'l. Univ, 39. 

  23. Park KD, Kang YJ, Huh SH, Kwak SN, Kim HW and Lee HW. 2007. Feeding ecology of Sebastes schlegeli in the Tongywong marine ranching area. J Korean Fish Soc 40, 308-314. 

  24. Pinkas L, Olphant MS and Iverson ILK. 1971. Food habits of albacore, bluefin tuna and bonito in California waters. Fish Bull 152, 1-105. 

  25. Santic M, Podvinski M, Pallaoro A, Jardas I and Kirincic M. 2009. Feeding habits of megrim, Lepidorhombus whiffiagonis (Walbaum, 1792), from the central Adriatic Sea. J Appl Ichthyol 25, 417-422. 

  26. Takeda M. 1982. Keys to Japanese and Foreign Crustaceans. Hokuryukan Press, Tokyo, Japan, 284. 

  27. Tashiro M. 1988. Distribution of blackthroat seaperch, Doederleinia berycoides (Hilgendorf), in southern waters of Goto Islands. Bull. Nagasaki Prefect Inst Fish 14, 13-18. 

  28. Wotton RJ. 1990. Ecology of Teleost Fishes. Chapman Hall New York, U.S.A., 404. 

  29. Yamada U, Tagawa M, Kishida S and Honjo K. 1986. Fishes of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Seikai Reg Fish Res Lab, 501. 

  30. Yoon CH. 2002. Fish of Korea with Pictorial Key and Systematic List. Academy Publ Co Seoul, Korea, 747. 

  31. Yoon SJ, Kim DH, Kim JW and Baeck GW. 2008. Feeding habit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J Korean Fish Soc 41, 26-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