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저서어 곰치와 풍덕구이의 영양성분 및 중금속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Variations in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Heavy Metals in Two Demersal Fish, Liparis tessellatus (Cubed Snailfish) and Hemitripterus villosus (Shaggy Sea Rave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3, 2011년, pp.282 - 290  

이병용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정희 (강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 서식하는 대표적 저서어인 곰치와 풍덕구이의 영양성분 및 중금속 함량의 계절적 변동을 관찰하였다. 이 두 어종의 지방 함량은 0.3% 이하로 연중 내내 매우 낮은 특성을 나타내어 계절적 변동을 관찰하기 어려웠으나, 산란기를 전후하여 수분이 증가되고 단백질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수집 시기에 관계없이 1% 가량의 비교적 일정한 회분 함량을 나타내었던 두 어종은, 무기질 조성에 있어서는 연중 내내 칼륨(K), 나트륨(Na), 인(P)의 분포량이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어류의 전형적인 무기질 패턴을 나타내었다. 한편, 두 어종은 중금속 함량에 있어, 수은(Hg), 카드뮴(Cd), 주석(Sn)은 식품공전이 정한 규격을 충족시켰으나, 일부 시료에서 납(Pb)이 규격치 이상 검출됨에 따라, 두 어종에서 Pb 성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1년에 걸쳐 수집된 곰치와 풍덕구이 두 어종 모두에서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곰치의 경우에는, 수분의 함량이 적고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던 여름철에 총 아미노산과 단맛 및 감칠맛을 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계절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풍덕구이는 단백질 및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곰치보다 높았으나, 어류의 풍미를 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곰치보다 현저히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곰치와 풍덕구이두 어종 모두 10-1월 사이에, PUFA는 급격히 증가하고, SFA는 감소하여, 다른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P/S를 나타냄에 따라, 지방과 달리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계절적 특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종, 계절, 수집 지역의 지리적 조건에 의해 그 화학적 조성이 영향을 받게 되는 어류를 식품 소재화할 경우, 특정 지역에서 수집된 어류의 식품영양적 가치 평가는 개별 어류에 대해 연중 모니터링이 되어야 정확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species of demersal fish, Liparis tessellates (cubed snailfish) and Hemitripterus villosus (shaggy sea raven), we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seasonal chemical composition. Total fat contents of the two fish were very low and were not appreciably different throughout the year, whereas their 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곰치와 풍덕구이의 영양성분 중, 조회분을 구성하는 무기질이 그 조성 및 함량에 있어 계절적 변이를 갖는지를 평가하고자, 본실험에서는 1년에 걸쳐 수집된 시료로부터, 5종의 다량 무기질(Ca, Mg, P, Na, K)과 3종의 미량 무기질(Fe, Zn, Cu)을 분석하였다. 또한, 두 어종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자체 독성이 강하고, 노출 시 체내 축적성이 높은 4종의 중금속인 납(Pb), 수은(Hg), 카드뮴(Cd), 주석(Sn)을 분석하였다.
  • 곰치와 풍덕구이의 일반 성분에 대한 정보가 식품성분표에 제시되어 있으나(10), 어류에 있어서는, 수분,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 등의 일반성분들이 계절 및 지역에 의해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그 어종을 어획한 계절 및 지역에 따라 섭취하게 될 영양성분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지역에서 수집한 이 두 어종의 화학적 조성을 일반 성분, 무기질 조성, 아미노산 조성, 지방산 조성을 중심으로 연중 모니터링 함으로써, 계절적 인자에 의한 이들 성분의 변화를 탐색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동해안의 대표적 저서어인 곰치와 풍덕구이의 식품영양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 서식하는 대표적 저서어(demesal fish)인 곰치(Liparis tessellatus)와 풍덕구이(Hemitripterus villosus)(Fig. 1)를 지역을 대표하는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에 앞서, 두어종의 화학적 조성을 일반성분과 무기질 및 중금속을 중심으로 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특히, 곰치와 풍덕구이는 동해안 지역에서 주로 서식하는 저서어로 전국 어디서나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 소재가 아닌 이유로, 이들 어류에 대한 식품영양적 가치를 평가한 연구는, Jeong 등(9)과 Surh 등(2)이 각각 통영산 곰치와 삼척산 곰치에서 일반성분을 분석한 연구 이외에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 서식하는 대표적 저서어인 곰치와 풍덕구이의 영양성분 및 중금속 함량의 계절적 변동을 관찰하였다. 이 두 어종의 지방 함량은 0.

가설 설정

  • 1)The sum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amounted to be over 100, and thus the carbohydrate content was below zero.  
  • 2)Carnosine as a structural amino acid was not quantified due to its breakdown during acid-hydrolysis of sampl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곰치의 특징은? 특히, 곰치와 풍덕구이는 동해안 지역 에서 주로 서식하는 저서어로 전국 어디서나 쉽게 섭취할 수 있는 식품 소재가 아닌 이유로, 이들 어류에 대한 식품영양적 가치를 평가한 연구는, Jeong 등(9)과 Surh 등(2)이 각각 통영산 곰치와 삼척산 곰치에서 일반성분을 분석한 연구 이외에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물메기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곰치(Liparis tessellatus)는 쏨뱅이목 꼼치과의 해수어로, 피부와 살이 연하며, 조리 시 특유의 풍미를 지니고 있어 동해안 지역에서 국과 탕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풍덕구이(Hemitripterus villosus)는 쏨뱅이목 삼세기과에 속하는 어류로, 머리부분은 뭉툭하지만 강한 가시가 여러 개 있고, 돌기가 있으며, 울퉁불퉁하고, 피부 전체에 미세한 가시를 가진 작은 돌기가 덮여 있어, 실제 가식부 함량이 높지 않아, 매운탕이나 국의 재료로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2).
연구에서 곰치와 풍덕구이의 영양성분 및 중금속 함량의 계절적 변동을 관찰하여 본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 서식하는 대표적 저서어인 곰치와 풍덕구이의 영양성분 및 중금속 함량의 계절적 변동을 관찰하였다. 이 두 어종의 지방 함량은 0.3% 이하로 연중 내내 매우 낮은 특성을 나타내어 계절적 변동을 관찰하기 어려웠으나, 산란기를 전후하여 수분이 증가되고 단백질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수집 시기에 관계없이 1% 가량의 비교적 일정한 회분 함량을 나타내었던 두 어종은, 무기질 조성에 있어서는 연중 내내 칼륨(K), 나트륨(Na), 인(P)의 분포량이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어류의 전형적인 무기질 패턴을 나타내었다. 한편, 두 어종은 중금속 함량에 있어, 수은(Hg), 카드뮴(Cd), 주석(Sn) 은 식품공전이 정한 규격을 충족시켰으나, 일부 시료에서 납(Pb) 이 규격치 이상 검출됨에 따라, 두 어종에서 Pb 성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1년에 걸쳐 수집된 곰치와 풍덕구이 두 어종 모두에서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곰치의 경우에는, 수분의 함량이 적고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던 여름철에 총 아미노산과 단맛 및 감칠맛을 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계절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풍덕구이는 단백질 및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곰치보다 높았으나, 어류의 풍미를 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곰치보다 현저히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곰치와 풍덕구이두 어종 모두 10-1월 사이에, PUFA는 급격히 증가하고, SFA는감소하여, 다른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P/S를 나타냄에 따라, 지방과 달리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계절적 특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종, 계절, 수집 지역의 지리적 조건에 의해 그 화학적 조성이 영향을 받게 되는 어류를 식품 소재화할 경우, 특정 지역에서 수집된 어류의 식품영양적 가치 평가는 개별어류에 대해 연중 모니터링이 되어야 정확한 정보가 제공될 수있음을 시사하였다.
풍덕구이란? 물메기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는 곰치(Liparis tessellatus)는 쏨뱅이목 꼼치과의 해수어로, 피부와 살이 연하며, 조리 시 특유의 풍미를 지니고 있어 동해안 지역에서 국과 탕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풍덕구이(Hemitripterus villosus)는 쏨뱅이목 삼세기과에 속하는 어류로, 머리부분은 뭉툭하지만 강한 가시가 여러 개 있고, 돌기가 있으며, 울퉁불퉁하고, 피부 전체에 미세한 가시를 가진 작은 돌기가 덮여 있어, 실제 가식부 함량이 높지 않아, 매운탕이나 국의 재료로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2).곰치와 풍덕구이의 일반 성분에 대한 정보가 식품성분표에 제시되어 있으나(10), 어류에 있어서는, 수분, 지질, 단백질, 탄수화물 등의 일반성분들이 계절 및 지역에 의해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궁극적으로 그 어종을 어획한 계절 및 지역에 따라 섭취 하게 될 영양성분이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ang SK, Kim JH, Oh HS.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ld buckwheat noodles using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and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Culture 23: 479-488 (2008) 

  2. Surh J, Kim JO, Kim MH, Lee JC, Lee BY, Kim MY, Yang HW, Yun S, Jeong HR. Nutritional properties, as food resources for menu development, of cubed snailfish, shaggy sea raven, and two kinds of wild vegetables that are staple products in Samcheok.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690-702 (2009) 

  3. Leaf A, Weber PC. Cardiovascular effects of n-3 fatty acids. New Engl. J. Med. 318: 549-557 (1988) 

  4. Simopoulos AP. Summary of NATO advanced research workshop on dietary $\omega$ -3 and $\omega$ -6 fatty acids: Biological effects and nutritional essentiality. J. Nutr. 19: 521-528 (1989) 

  5. De Moreno JEA, Moreno VJ, Brenner RR. Lipid metabolism of the yellow clam, Mesodesma mactroides: 1.Composition of the lipids. Lipids 11: 334-340 (1976) 

  6. Surh J, Kwon H. Fatty acid content and composition of various Korean shellfish. Food Sci. Biotechnol. 12: 83-87 (2003) 

  7. Surh J, Ryu JS, Kwon H. Seasonal variations of fatty acid compositions in various Korean shellfish. J. Agr. Food Chem. 51: 1617-1622 (2003) 

  8. Surh J, Lee HJ, Kwon H. Reginal difference in fatty acid content of Korean shellfish. Food Sci. Biotechnol. 18: 367-373 (2009) 

  9. Jeong BY, Choi BD, Lee JS. Proximate composition, cholesterol and a-tocopherol content in 72 species of Korean fish. J. Korean Fish Soc. 31: 160-167 (1998) 

  10. NRRDI. Food Composition Table.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RDA . Seoul, Korea. pp. 100-325 (2007) 

  1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OAC.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774-784 (1990) 

  12. Lepage G, Roy CC. Direct transesterification of all classes of lipids in a one-step reaction. J. Lipid Res. 27: 114-120 (1986) 

  13. Jeong BY, Choi BD, Lee JS. Seasonal variation in proximate composition, cholesterol and a-tocopherol content of 12 species of Korean fish. J. Korean Fish Soc. 31: 707-712 (1998) 

  14. El-Faer MZ, Rawdah TN, Attar KM, Arab M. Mineral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some commercially important fish of the Arabian Gulf. Food Chem. 45: 95-98 (1992) 

  15. Ahn CB, Shin TS. Seasonal variation of lipids and fatty acids of sharp toothed eel (Muraenesox cinereus). Korean J. Life Sci. 12: 233-241 (2002) 

  16. Ahn IY, Surh J, Park YG,Kwon H, Choi KS, Kang SH, Choi HJ,Kim KW, Chung H. Growth and seasonal energetics of the antarctic bivalve Laternula Elliptica from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Mar. Ecol.-Prog. Ser. 257: 99-110 (2003) 

  17. National Fisheries Research Development Institute. http://portal. nfrdi.re.kr/envirodata Accessed date Jan. 11. 2011. 

  18. KN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 Seoul, Korea. pp. 199-311 (2005) 

  19. Teeny FM, Gauglitz EJ, Hall AS, Houle CR. Mineral composition of the edible muscle tissue of seven species of fish from the Northeast Pacific. J. Agr. Food Chem. 32: 852-855 (1984) 

  20. Ozden O, Erkan N, Ulusoy S. Determination of mineral composition in three commercial fish species (Solea solea, Mullus surmuletus, and Merlangius merlangus). Environ. Monit. Assess. 170: 353-363 (2010) 

  21. Gordon DT, Roberts GL. Mineral and proximate composition of Pacific coast fish. J. Agr. Food Chem. 25: 1262-1268 (1977) 

  22. Pierce GJ, Stowasser G, Hastie LC, Bustamante P. Geographic, sesaonal and ontogenetic variation in cadmium and mercury concentrations in squid (Cephalopoda: Teuthoidea) from UK waters. Ecotox. Environ. Safe. 70: 422-432 (2008) 

  23. KFDA. Food Code. Korea Foo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2010) 

  24. WHO.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3-Lead. World Health Organization, Heneva, Switzerland. pp. 30-40 (1997) 

  25. Reilly C. Metal Contamination of Food. Blackwell Science Ltd. London, UK. pp. 81-94 (2002) 

  26. Shahidi F, Synowiecki J. Dunajski E, Chong X. Nonprotein nitrogen compounds in harp seal (Phoca groenlandica) meat. Food Chem. 46: 407-413 (1993) 

  27. Chyun JH, Griminger P. Improvement of nitrogen retention by arginine and glycine supplementation and its relation to collagen synthesis in traumatized mature and ageing rats. J. Nutr. 114: 1705-1715 (1984) 

  28. Lindsay RC. Flavors. pp. 639-687. In: Food Chemistry. Damodaran S, Parkin KL, Fennema OR (eds). CRC Press. Boca Raton, FL, USA (2008) 

  29. Zuraini A, Somchit MN, Solihah MH, Goh YM, Arifah AK, Zakaria MS, Somchit N, Rajion MA, Zakaria ZA, Mat Jais AM. Fatty acid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three local Malaysian Channa spp. fish. Food Chem. 97: 674-678 (2006) 

  30. Kim HY, Shin JW, Park HO, Choi SH, Jang YM, Jang YM, Lee SO. Comparison of taste compounds of red sea bream, rockfish, and flounders differing in the localities and grow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50-563 (2000) 

  31. Jeong BY, Moon SK, Choi BD, Lee JS. Seasonal variation in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12 species of Korean fish. J. Korean Fish. Soc. 32: 30-36 (1999) 

  32. Wang YJ, Miller LA, Perren M, Addis PB. Omega-3 fatty acids in Lake Superior fish. J. Food Sci. 55: 71-73 (1990) 

  33. Ackman RG, Eaton CA. Some commercial Atlantic herring oils: Fatty acid composition. J. Fish. Res. Board Can. 23: 991-1006 (1966) 

  34. Bronsgeest-Schoute HC, Van Gent CM, Luten JB, Ruiter A. The effect of various intakes of w-3 fatty acids on the blood lipid composition in healthy human subjects. Am. J. Clin. Nutr. 34: 1752-1757 (1981) 

  35.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e. Report 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ietary intake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Korea. pp. 387-447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