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대 한일 관계에서 본 평직 견직물 세(細), 총(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lk Tabbies, Ju(細) and Si(總),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Korea and Ancient Japa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1 no.4, 2011년, pp.117 - 137  

전현실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  강순제 (가톨릭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historical records on silk tabby-ju(細), Si(總)- in a diachronic and spatial point of view. The historical records were written in Samguksagi(三國史記) of Korea, Eastern barbarian[東弟] section of Ershiwush(二十五史) of China and Ritkokusi(六國史)of Japan from the $4^{th}$ century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고대 한국과 일본의 역학적 관계 하에, 당시의 문헌으로부터 발췌한 ‘주, 시’ 관련 내용을 通時的․公時的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당시 ‘주, 시’의 생산, 사용 및 무역 등에 내포된 사용빈도의 推移와 그 상징적 의미를 찾아보았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문헌을 중심으로 고대 한국과 일본에서 사용된 ‘주, 시’에 관하여 사용과 생산, 유통 및 의료 속에 담겨진 사회적 의미에 중점을 두어 고찰한 것으로, 특히 일본 의 전반적인 검토로 관련기록을 발췌하여 분석했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평견직물 중에서 우선 양국 간의 역학적 관계가 주목되는 ‘주’와 ‘시’에 관하여 생산이나 이용, 혹은 한국과 일본의 대외관계에서 이들 의료가 갖는 의미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관한 연구를 위해 양국 正史의 기록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삼국시대부터 남북국시대와 일본의 아스카[飛鳥]시대부터 헤이안[平安]시대 전반기에 이르는 4세기부터 10세기 전반까지를 대상으로 古代 한국과 일본의 대·내외적 관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 시’ 및 이들 의료의 원료가 되는 양잠에 관한 내용과 진면, 생사에 관한 문헌 기록을 발췌하였으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주, 시’에 대한 생산, 사용 및 유통 등에 내포된 사용빈도의 推移와 상징적 의미를 通時的·公時的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 한편 납부하는 시의 길이·폭의 제도에 관하여 717년 11월 기록에는, 조세로 사용된 견과 시에 대한 일정한 납부 기준이 없이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日本後紀는 무엇인가? 일본후기는 50대 칸무[桓武] 대부터 53대 준나[淳和] 대에 걸친 792~833년간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는 편년체 사서로, 원래는 全 40권이나 현재 10권만 남아있다.51) 기록 내용을 분석한 결과 주에 관한 기록이 보이지 않는 반면, 시는 발해국에 대한 증여, 국내인들에게 사여한 내용이 나타나고 있다<표 16>.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한국의 평견직물로는 무엇이 있는가?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의 평직견직물(이하 평견직물)은 紬, 絹, 紗, 穀, 綃, 縑, 綈, 絁, 縞, 紈, 帛, 綟, 縵, 繒1) 등으로 여타 다른 조직의 견직물에 비하면 그 종류가 많다. 이처럼 다양한 평견직물 중에서 문헌에 등장하는 고대 한국의 평견직물은 ‘주, 시, 견, 겸’ 네 가지이며, 동일시기 일본의 고문헌에도 이들 평견직물에 대한 생산이나 사용, 혹은 양국 간의 유통 기록이 나타나고 있음이 주목되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을 보면, 고문헌을 통해 기록에 남아 있는 견직물의 종류와 정의에 대한 고찰2), 고조선부터 삼국시대에 이르는 견직물 관련 내용 고찰3)4)및 부여, 백제, 가야,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평견직물의 밀도, 조직의 세부적 분류 및 수착 위치와 실의 굵기, 꼬임 등을 측정한 실증적인 연구5)6)7)8) 등에서 단편적으로 ‘주, 시, 견, 겸’에 관한 것이 언급되고 있는 정도이다.
고대 평견직물 중 발해에서 생산된 것으로 기록된 것은 무엇인가? 양잠기술 및 평견직물의 생산이나 이용, 유통과 관련하여 문헌기록을 살펴보면, 신라와 발해 및 고대 일본에서는 모두 견직물의 재료인 ‘(眞)綿’이나 ‘(生)絲’의 국내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신라는 ‘주, 시, 견, 겸’에 대한 생산과 사용에 관한 내용이 모두 확인되며 발해는 를 생산하고 있다는 기록만 확인된다. 반면에 고대 일본의 ‘주, 시, 견, 겸’에 관한 기록에서, 특히 ‘주’의 생산에 관한 것은 아직까지 명확히 밝혀 진 바 없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8)

  1. 유희경 (1975). 韓國服飾史硏究.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pp. 118-123; 

  2. ?田美子(1995). 古代服飾の?究. 東京: 源流社, p. 32, pp. 290-230 

  3. 심연옥 (1998). 중국의 역대직물. 서울: 한림원, pp. 87-92 

  4. 이여성 (1947). 朝鮮服飾考. 京城: 白楊堂, pp. 291-292, pp. 298-299 

  5. 민길자 (2000). 한국전통직물사연구. 서울: 한림원, pp. 2-14, pp. 55-66. 

  6. 민길자 (1983). 우리나라 古代織物연구-絹織物을 중심으로-. 교육논총, 2, pp. 104-105, pp. 108-109, p. 112, p. 114. 

  7. 정완섭 (1989). 우리나라 古代絹織物에 관한 연구. 關大論文集, pp. 89-92. 

  8. 박일록 (1994). 삼국시대의 견문화의 연구-고구려와 백제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2(3), pp. 218-225. 

  9. 심연옥, 민길자 (1994). 中國東北지역에서 出土된 古朝鮮, 夫餘, 高句麗시대의 織物硏究. 복식, 22, pp. 61-70. 

  10. 조효숙, 이은진, 전현실 (2007). 백제 무령왕릉 출토 金銅履수착 직물 연구. 복식, 57(1), pp. 93-104 

  11. 조효숙, 이은진, 전현실 (2007). 백제 무령왕릉 출토 직물 연구, 57(8), pp. 37-47. 

  12. 박윤미, 정복남 (2001). 多羅國古墳群의 銹着織物에 관한 硏究-玉田古墳群을 중심으로-. 복식, 51(7), pp. 35-47 

  13. 박윤미, 정복남 (2001). 阿羅伽耶와 大伽耶古墳群의 銹着織物-도항리, 지산동 고분군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9(5), pp. 759-769. 

  14. 권영숙, 조현혹, 장현주, 김종오 (2000). 신라시대 천마총 출토 직물의 유형과 특성. 복식, 50(7), pp. 129-139. 

  15. 布目順?(1979). 養蠶の起源と古代絹. 東京: 雄山閣, p. 9, p. 11, pp. 47-62 

  16. 布目順?(1988). 絹と布の考古學. 東京: 雄山閣出版, pp. 36-58. 

  17. 西村兵部(1967). 日本の美術: 織物. 東京: 至文堂, p. 39, p. 41, p. 43 

  18. 關根眞隆(1974). 奈良朝服飾の?究. 東京: 吉川弘文館, p. 13, pp. 17-19 

  19. 松本包夫(1974). 日本の美術: 正倉院の染織. 東京: 至文堂, pp. 40-41. 

  20. 正倉院裂と上代の染織(1980). 染織の美, 7?. 京都: 京都書院, pp. 23-24, p. 31, p. 44, p. 53, p. 56, p. 59 

  21. 能登屋良子編集(1999). 皇室の名寶:正倉院染織. 東京: 朝日新聞社, p. 112, p. 119, pp. 123-124, p. 126, p. 128. 

  22. 西垣晴次, 山本隆志, 丑木幸男편저 (1997). 群馬顯の ?史. 東京: 山川出版社, p. 47 

  23. 永原慶二, 竹?照, 須 藤和利, 山村淑子, 鶴見貞雄(1995). 結城の?史. 東京: 精興社, pp. 326-327 

  24. 坂入子(2008). 日本の手 わざ6卷: 結城紬. 東京: 源流社, pp. 76-77. 

  25. 角山幸洋(1967). 古代紡織具の構造と調庸?布. 愛泉女子短期大?紀要, 2. 

  26. 이병로 (2005). 나라시대 신라와 일본의 불교 교류에 관한 연구. 日本語文學, 29, p. 622. 

  27. 日本書紀 卷9 神功皇后 攝政前紀(仲哀天皇9년) 冬十月己亥朔辛丑 

  28. 日本書紀 卷11 人德天皇17年(329) 秋九月 

  29. 日本書紀 卷28 天武天皇 8년(680) 冬十月甲子 

  30. 日本書紀 卷28 天武天皇 10년(682) 冬十月乙酉 

  31. 日本書紀 卷29 天武天皇 朱鳥元年(686년) 四月戊子 

  32. 日本書紀 卷30 持統天皇2年(688) 二月庚寅朔辛卯 

  33. 日本書紀卷9 神功皇后 攝政46년(246) 春三月乙亥朔 

  34. 日本書紀 卷19 欽明天皇15년(554) 十二月 

  35. 日本書紀 卷27 天智天皇7년(668) 十一月辛巳朔 

  36. 日本書紀 卷27 天智天皇元年(662) 正月辛卯朔丁巳; 三月庚寅朔癸巳 

  37. 김민지 (2000). 발해 복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94-204 

  38. 전현실, 강순제 (2003). 遣日本渤海使의 交流品目에 나타난 服飾연구-일본 사료를 중심으로-. 복식, 53(6), p. 49 

  39. 전현실 (2008). 渤海수입 衣料연구. 동북아역사논총, 22, p. 251. 

  40. 李成市저, 김창석 역 (1999).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서울: 청년사, pp. 38-44, p. 86 

  41. 윤재운 (2006). 한국 고대무역사 연구. 서울: 경인문화사, p. 121. 

  42. 續日本記 卷3 文武天皇大寶3년(703) 冬十月癸未 

  43. 續日本記 卷4 元明天皇和銅2년(709) 五月壬午 

  44. 續日本記 卷4 聖武天皇 神龜3년(726) 秋七月戊子 

  45. 續日本記 卷18 孝謙天皇 天平勝寶4년 (752) 七月戊辰 

  46. 續日本記 卷10 聖武天皇 神龜5년(728) 四月壬午 

  47. 續日本記 卷13 聖武天皇天平十2년(740) 春正月甲午 

  48. 續日本記 卷22 淳仁 天皇 天平寶字3년(759) 二月戊戌 

  49. 續日本記 卷22 淳仁天皇 天平寶字4년(760) 春正月己巳 

  50. 續日本記 卷32 光仁天皇 寶龜3년(772) 二月癸丑 

  51. 續日本記 卷34 光仁天皇寶龜8년(777) 五月丁巳 

  52. 續日本記 卷35 光仁天皇 寶龜10년(779) 九月癸巳 

  53. 日本後紀 卷5 桓武天皇 延曆15년(796) 冬十月己未 

  54. 日本後紀 卷8 桓武天皇 延曆18년(799) 九月辛酉 

  55. 日本三代實錄 卷3 ?和天皇 貞觀元年(859) 六月丁未 

  56. 日本三代實 卷5 ?和天皇 貞觀3년(861) 五月甲午 

  57. 日本三代實錄 卷5 ?和天皇 貞觀3년(861) 五月乙亥 

  58. 三國志 卷30 魏書30 烏丸鮮卑東夷傳 

  59. 後漢書 卷85 東夷列傳第75 

  60. 晉書 列傳 第67 四夷 東夷 夫余國 馬韓 辰韓 肅?氏 倭人 

  61. 梁書 列傳第48 諸夷 東夷 

  62. 隋書 列傳第46 東夷 

  63. 南史 卷79 列傳第69 夷貊下 東夷 

  64. 北史 卷第94 列傳第82 高麗 百濟 新羅 

  65. 舊唐書 列傳第149 東夷 高麗 百濟 新羅 倭國 日本 

  66. 新唐書 卷第214 列傳第145 東夷 

  67. 三國志 卷30 魏書30 烏丸鮮卑東夷傳 辰韓 

  68. 後漢書 卷85 東夷列傳 第75 馬韓, 辰韓 

  69. 晉書 列傳 第67 四夷辰韓 

  70. 梁書 列傳 第48 諸夷 東夷 新羅 

  71. 南史 卷79 列傳第69夷貊下 東夷 新羅 

  72. 後漢書 卷85 東夷列傳 第75 濊, 沃沮 

  73. 北史 卷第94 列傳第82 高句麗...土田薄瘠 蠶農不足以自供... 

  74. 新唐書 卷219 列傳 第144 北狄 渤海 

  75. 諸橋轍次 (昭和60年). 大漢和辭典 卷8. 東京: 大修館書店大漢和辭典, p. 1109. 

  76. 北村哲朗 (1988). 日本の織物. 東京: 原流社, p. 30. 

  77. 자료검색일 2011. 3. 13, 자료출처 kotobank.jp/word 

  78. 자료검색일 2011. 3. 13, 자료출처 http://www.nias.affrc.go.jp/ 

  79. 三國史記 卷第8 新羅本紀 第8 聖德王 二十二年 夏四月 

  80. 三國史記 卷第9 新羅本紀 第9 惠恭王九年夏四月 

  81. 三國史記 卷第33 雜志 第2 色服 

  82. 關根眞隆(1974). 奈良朝服飾の?究. 東京: 吉川弘文館, p. 11 

  83. 布目順?(1979). 養蠶の起源と古代絹. 東京: 雄山閣, p. 50 

  84. 奈良?立博物館(1991). 正倉院展, p. 123 

  85. 奈良國立博物館(2003). 正倉院展, p. 118. 

  86. 三國史記 卷第33 雜志 第2 色服 

  87. 三國史記 卷第33 雜志第2 車騎 

  88. 三國史記 卷第33 雜志第2 屋舍 

  89. 日本書紀 卷第22 推古天皇 

  90. 永原慶二 감수 (1999). 岩波日本史辭典. 東京: 岩波書店, p. 903. 

  91. 後漢書 卷85 東夷列傳 第75 倭 

  92. 晉書 列傳 第67 四夷倭人 

  93. 梁書 列傳 第48 諸夷 東夷 倭者 

  94. 南史 卷79 列傳 第69 夷貊下 東夷 倭國 

  95. 日本書紀 卷第14 雄略天皇 十六年(472) 秋七月: 詔 宜桑國縣殖桑 

  96. 日本書紀 卷第25 孝德天皇 大化二年(646) 春正月 

  97. 日本書紀 卷第30 持統天皇 十年三月 甲寅 

  98. 日本書紀 卷第29 天武天皇 十四年 十一月 癸卯朔甲辰 

  99. 永原慶二 감수 (1999). 岩波日本史辭典. 東京: 岩波書店, p. 602. 

  100. 續日本紀 卷5 元明天皇 和銅五年(712) 五月 甲申 

  101. 續日本紀 卷6 元明天皇 和銅七年(715) 二月 辛丑 

  102. 續日本紀 卷6 元明天皇 靈龜元年(715) 五月 辛巳朔 

  103. 續日本紀 卷9 元正天皇 養老六年 (722) 閏四月 乙丑 

  104. 續日本紀 卷28 稱德天皇 神護景雲元年 (767) 四月 癸卯 

  105. 續日本紀 卷29 稱德天皇 神護景雲二年(768) 冬十月 甲子 

  106. 續日本紀 卷5 元明天皇 和銅五年 二月 戊午 

  107. 續日本紀 卷10 聖武天皇 天平元年 四月 癸亥 

  108. 永原慶二 감수 (1999). 岩波日本史辭典. 東京: 岩波書店, p. 283. 

  109. 日本後紀 卷13 桓武天皇 延曆卄四年 十二月 壬寅 

  110. 永原慶二 감수 (1999). 岩波日本史辭典. 東京: 岩波書店, p. 1381. 

  111. 續日本後紀 卷7 仁明天皇 承和五年 十月 甲寅 

  112. 永原慶二 감수 (1999). 岩波日本史辭典. 東京: 岩波書店, p. 543. 

  113. 續日本紀 卷9 承和七年(840) 十二月 己巳 

  114. 續日本紀 卷19 仁明天皇 嘉祥二年(849) 八月 乙酉 

  115. 日本三代實錄 卷6 ?和天皇 貞觀四年(862) 七月 庚寅 

  116. 日本三代實錄 卷13 ?和天皇 貞觀八年(866) 十月 甲戌 

  117. 日本三代實錄 卷48 光孝天皇 仁和元年(885) 十月 辛未 

  118. 李成市저, 김창석 역 (1999). 동아시아의 왕권과 교역. 서울: 청년사, pp. 172-177, pp. 183-185 

  119. 박석순 (2003). 大宰府의 대외관련 업무사례연구. 역사학보, 180 

  120. 이병로 (1995). 九世紀초기의 環시나海무역권의 고찰-장보고와 對日교역을 중심으로-. 일본학지, 15 

  121. 박진숙 (2006). 8-9세기 발해와 일본의 경제외교와 大宰府. 고구려연구, 22. 

  122. 日本書紀 卷30 持統天皇 四年 夏四月 庚申 

  123. 續日本紀 卷2 文武天皇 大寶元年 三月 甲午 

  124. 延喜式 卷14 縫殿寮 雜染用度 

  125. 吉岡常雄(1989). 日本の色-植物染料のはなし-(제 3개정판). 京都: 紫紅社, p. 22. 

  126. 자료검색일 2010. 11. 23, 자료출처 http://ja.wikipedia.org/wiki 

  127. 자료검색일 2010. 12. 16, 자료출처 http://www.h5.dion.ne.jp/~tarering/color.orange.htm 

  128. 永原慶二 감수 (1999). 岩波日本史辭典. 東京: 岩波書店, p. 907. 

  129. 永原慶二 감수 (1999). 岩波日本史辭典. 東京: 岩波書店, p. 901. 

  130. 日野開三郞 (1984). ?際交流史上より見た?朝の絹織物. 日野開三郞 動陽史學論集 第9卷 

  131. 北東アジア國際交流史の?究(上). 東京: 三一書房, p. 380. 

  132. 한규철 (1995). 渤海의 對外關係史. 서울: 新書苑, pp. 187-189, 199-211 

  133. 濱田耕策 (2000). 渤海國興亡史. 東京: 吉川弘文官, pp. 50-53 

  134. 石井政敏 (2001). 日本渤海關係史の?究. 東京: 吉川弘文官, pp. 447-451 

  135. 酒寄雅志 (2001). 渤海と古代の日本. 東京: 校倉書房, p. 121 

  136. 上田正昭 감수 (2005). 古代日本と渤海. 千葉: 大巧社, p. 58. 

  137. 契丹國志 卷21 外國貢進禮物 新羅國 貢進物件 

  138. 池上隆文 (2007). 結城紬と養蠶. 流通經濟大學社會學部論叢, 81(1), p. 80, p. 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