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소통'을 위한 아파트단지 공용공간의 계획목표 및 전략 도출
Deduction of the Design Objectives and Strategies of Communal Spaces in Apartment Complexes for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2 no.3, 2011년, pp.1 - 14  

임연수 ((주)디자인그룹오즈건축사사무소 도시환경전략연구소) ,  최재필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cepts of the 21st century, and efforts are being made to actively apply this conception in various fields of social studies. Sustainability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economy, environment and society. In the case of social sustainab...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회의 시작은 무엇과 함께 이루어졌는가? 사회의 시작은 지역적 공동체의 형성과 함께 이루어졌다. 혈연관계가 기반이 되었던 초기 사회적 집단형태에는 가족관계에 의한 강한 유대의식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서로간의 긴밀한 교류가 가능하였다.
주요한 도시계획이나 건축물의 설계 시 디자이너가 사회적인 이슈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계획의 개념을 설정하는 것의 배경이 되는 사실은? 주거환경은 인위적으로 구축되는 조형 환경인 물리적 요소와 자연 환경인 생태적 요소, 사회 환경인 사회적 요소의 통합으로 완성된다. 사회성은 인간의 심리에 기반을 두어 형성되어 비가시적 영역이고 개개인의 성향에 따라 성취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그 측정 또한 쉽지 않다. 다만 분명한 것은 사회 환경의 형성은 물리적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주요한 도시계획이나 건축물의 설계 시 디자이너가 사회적인 이슈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계획의 개념을 설정하는 이유는 이같은 사실에 근거하는 것이다.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핵심은?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경우, 공동체 의식이 취약해진 현대사회의 특징을 고려할 때 적극적인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핵심은 커뮤니티의 형성을 통한 사회적 소통에 있으며 이를 지원하기 위한 물리적 환경의 구축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공동주택연구회 (2007). MA와 하우징디자인. 서울: 도서출판 동녘. 

  2. 김문덕 (2005). 렘 콜하스와 네덜란드 근현대건축. 서울: 태림문화사. 

  3. 김성균, 구본영 (2009). 에코뮤니티. 서울: 이매진. 

  4. 김영하 (2005). 주거단지계획과 도시경관. 서울: 기문당. 

  5. 김형돈 (2007). 도시, 단지 계획론. 서울: 이든북스. 

  6. 마무로 히로시 (1999). 주거환경을 정비한다(이영석, 남승진 역.). 서울: 발언. 

  7. 배정한 (2004). 현대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 서울: 조경. 

  8. 이규인 (2002). 유럽의 환경친화주택. 서울: 발언. 

  9. 장수한, 김현주, 임혁 (2008).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서울:공동체. 

  10. Hertzberger, H. (2009).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건축수업(안진이 역). 서울: 효형출판. 

  11. Gehl, J. (2003). 삶이 있는 도시디자인(김진우 외 역.). 서울:도서출판 푸른솔. 

  12. Katz, P. (2007). 뉴어바니즘(임희지 외 역.). 서울: 아이씽크커뮤니케이션즈. 

  13. Maser, C. (1997).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St. Lucie Press. 

  14. Meisei Publications (1994). Housing developments: New concepts in architecture & design. Meisei Publication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