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단독주택지 저층고밀형 집합주택 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우이동 국민주택단지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ow-Rise and High-Density Multiple Dwelling Housing Model in Urban Individual Residential Area - Focused on Ui-dong Public Detached Housing Area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2 no.3, 2011년, pp.101 - 111  

전병권 (대진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discriminate development occuring as a result of high-density land use per lot in residential areas of Seoul, which mainly consist of detached houses. The primary goals of this study were: (1) to suggest a block unit development method as an alternative ...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위블록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단위블록은 크기가 다양한 오픈스페이스와 함께 구성되어져야 하며, 이들은 오픈스페이스간에, 그리고 주변도로와 연계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오픈 스페이스는 다음과 같이 다양한 공간들로 조직된다.
빌라의 사전적의미는 무엇인가? 빌라의 사전적 의미는 별장형주택으로 쾌적한 주거환경의 제공을 위해 교외에 조성된 단독주택을 의미하지만, 여기서는 소규모의 블록 내 주거건축으로 그 의미를 한정한다. 르 꼬르뷔지에는 1925년 페삭Pessac의 노동자 주택단지를 조성하면서<그림 8>8), 기존의 도시 주거 건축들처럼 블록단위로 집적된 선형, 중정형의 도시집합주택의 형식을 채용하지 않고, 개별 단위주거가 독립된 전원주택을 지향하는 빌라형 집합주택을 시도하였다.
뉴타운의 조성 개발방식의 장점은 무엇인가? 낙후된 기존 단독주택지의 주거환경을 개선시키는 방법으로서 재개발, 재건축 등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다가, 최근에는 뉴타운의 조성에 이르기까지 되었다. 이러한 개발방식은 기존의 주거지에 거주밀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쾌적하고 편리한 생활환경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새로운 도시환경을 만들어 내면서 개발의 혜택을 원주민이 받지 못하고 지역을 떠나야 하는 등, 기존 주거지에서의 정주환경은 사라지고, 근대화 시기 자연적으로 축적되어 온 도시 주거문화를 부정하는 중요한 문제들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강부성 외 (1999). 한국공동주택계획의 역사. 서울: 세진사. 

  2. 대한주택공사 (1992). 대한주택공사 30년사. 서울: 대한주택공사. 

  3. 대한주택공사 (1979). 대한주택공사주택단지총람 1954-1970. 서울: 대한주택공사. 

  4. 백영흠 외 (2003). 한국주거역사와 문화. 서울: 기문당 

  5. 손세관 (1997). 도시주거형성의 역사. 서울: 열화당 

  6. 윤재희 외 (2003). 세계도시사. 서울: 세진사 

  7. 이민화, 서기영 (2002). 도심거주촉진을 위한 주택시 책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10), 183-191. 

  8. 전병권 (2004). 서울시 단독주택지의 변화와 주거건축유 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서울. 

  9. Leonardo, B. 저. 윤재희, 지연순, 전진희 역 (2003). 세계도시사. 서울: 세진사 

  10. Hilary, F. (2008). Key Urban Housing of the Twentieth Century. London: Laurence King. 

  11. Phaidon (2008). Le Corbusier Le Grand. London: Phaid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