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웃음요법이 산욕기 산모의 산후 피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ostpartum Fatigue and Stress Responses of Postpartum Wome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3, 2011년, pp.294 - 301  

신혜숙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  류경희 (서정대학) ,  송영아 (안산 1 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postpartum fatigue and stress respon-ses of postpartum women.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67 postpartum women who agreed to partici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Song, Chang과 Kim (2008)의 산후조리원 이용 여부와 양육스트레스 조사에 따르면 산후조리원 이용군 산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비이용군 산모의 양육스트레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산후조리원 시설에 입소 중인 산모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산후 웃음요법 프로토콜을 통해 산후조리원에서 보다 전문적인 산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웃음요법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웃음요법의 이론적 근거와 실제를 바탕으로 하여 웃음요법이 산욕기 산모의 산후 피로에 미치는 효과와 스트레스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웃음요법이 산욕기 산모의 산후 피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인 유사실험설계이다.
  • 본 연구는 웃음요법이 산욕기 산모의 산후 피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 웃음요법은 산후 피로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산모의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웃음요법이 산욕기 산모의 산후 피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산모의 산욕기 회복 및 건강관리를 위해 보완대체요법인 웃음요법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고 생각한다. 웃음요법은 적용이 용이하고, 안전하며, 고도의 기술이나 장비가 필요하지 않은 장점을 지닌 중재방법으로 지역사회에서 산욕기 산모와 그의 가족의 자가간호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임상현장이나 산후조리원에서 산모의 건강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으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 한편 Song, Chang과 Kim (2008)의 산후조리원 이용 여부와 양육스트레스 조사에 따르면 산후조리원 이용군 산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비이용군 산모의 양육스트레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산후조리원 시설에 입소 중인 산모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산후 웃음요법 프로토콜을 통해 산후조리원에서 보다 전문적인 산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웃음요법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웃음요법의 이론적 근거와 실제를 바탕으로 하여 웃음요법이 산욕기 산모의 산후 피로에 미치는 효과와 스트레스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가설 설정

  • 제1가설: 웃음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산후 피로 점수가 낮을 것이다.
  • 제2가설: 웃음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즙 내 코티졸 수치가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욕기란? 산후 회복기간을 뜻하는 산욕기는 산모의 생식기가 임신 전 상태로 복구되는 산후 6-8주의 기간을 의미한다. 이 기간 동안 수행되는 산후관리는 분만한 여성의 건강회복 및 증진에 초점을 두며, 산후에 제공받는 간호의 질에 따라 가임기뿐만 아니라 노년기까지도 여성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산욕기 간호는 중요하다.
웃음요법이란? 웃음요법이란 웃음으로 인간의 신체와 정신을 건강하게 하고 삶의 질을 높여주는 치료법으로 인간의 내면적인 자가 치유능력과 자생 능력을 유도하는 치료 방법이다(Lee, M. H.
웃음요법이 산욕기 산모의 산후 피로와 스트레스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웃음요법이 산욕기 산모의 산후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한다. 둘째, 웃음요법이 산욕기 산모의 스트레스 반응(유즙 내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ssel, M. A., Landry, S. H., Swank, P. R., Steelman, L., Miller-Loncar, C., & Smith, K. E. (2002). How do mothers' childbearing histories, stress and parenting affect children's behavioral outcomes? Child Care, Health & Development, 28, 359-368. doi:10.1046/j.1365-2214.2002.00285.x 

  2. Bennett, M. P., & Lengacher, C. (2008). Humor and laughter may influence health: III. Laughter and health outcomes. Evidence Based Complement Alternative Medicine, 5, 37-40. doi:10.1093/ecam/nem041 

  3. Choi, J. H., Kim, K. H., Cha, S. J., Pyo, H. J., & Kim, Y. K. (2010).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mood, pain, and stress of 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6, 83-93. 

  4. Glynn, L. M., Davis, E. P., Schetter, C. D., Chicz-Demet, A., Hobel, C. J., & Sandman, C. A. (2007). Postnatal maternal cortisol levels predict temperament in healthy breastfed infants. Early Human Development, 83, 675-681. doi:10.1016/j.earlhumdev.2007.01.003 

  5. Groer, M., Davis, M., Casey, K., Short, B., Smith, K. L., & Groer, S. (2005). Neuroendocrine and immune relationship in postpartum fatigue.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30, 133-138. doi:10.1097/00005721-200503000-00012 

  6. Heo, E. H. (2007). Effect of laughter on mood, stress respon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A University, Pocheon. 

  7. Johnson, P. (2002). The use of humor and its influences on spirituality and coping in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 29, 691-695. doi:10.1188/02.ONF.691-695 

  8. Kanji, N., White, A., & Ernst, E. (2006). Autogenic training to reduce anxiety in nursing students: Randomized controlled trail.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3, 729-735. doi:10.1111/j.1365-2648.2006.03779.x 

  9. Kim, S. H., Kim, Y. H., Kim, H. J., Lee, S. N., & Yu, S. O. (2009). The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radiotherapy. Journal of Korean Oncological Nursing, 9, 155-162. 

  10. Kim, S. J., Jeong, G. H., & Kim, E. H. (2001). Mothers perception of fatigue in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7, 461-471. 

  11. Kim, Y. S. (2008). Effects of aromatherapy on postpartum mother's perineal discomfort, fatigue and postpartum depress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Seongnam. 

  12. Kim, Y. S., & Jun, S. S. (2009). The influence of one-time laughter therapy on stress response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8, 269-277. 

  13. Larson, M. R., Duberstein, P. R., Talbot, N. L., Caldwell, C., & Moynihan, J. A. (2000). A presurgical intervention for breast cancer patients: Psychological distress and the immune respons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8, 187-194. doi:10.1016/S0022-3999(99)00110-5 

  14. Lee, J. Y. (2006). Fatigue, parenting stress, and sleep patterns of women according to period of postpartu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5. Lee, M. H. (2006). Laughter therapy. Korean Nurses, 45, 36-39. 

  16. Lee, S. O., Ahn, S. H., & Kim, M. O. (2005). A study on women's fatigue and sleeping disturba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1, 163-168. 

  17. Llcol, Y. O., Hizli, Z. B., & Ozkan, T. (2006). Leptin concentration in breast milk and its relationship to duration of lactation and hormonal status. Internal Breastfeeding Journal, 17, 21-28. doi:10.1186/1746-4358-1-21 

  18. Patacchioli, F. R., Cigliana, G., Cilumbriello, A., Perrone, G., Capri, O., Alema, G. S., et al. (1992). Maternal plasma and milk free cortisol during the first 3 days of breast-feeding following spontaneous delivery or elective cesarean section. Gynecologic and Obstetric Investigation, 34(3), 159-163. doi:10.1159/000292751 

  19. Pugh, L .C. (1993). Childbirth and the measurement of fatigu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 57-66. 

  20. Pugh, L. C., & Milligan, R. (1993).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childbearing fatigue. Journal of Advance in Nursing Science, 15(4), 60-70. 

  21. Song, J. E. (2007). Predictors of postpartum fatigue between early and late postpartum period in parturient women-divided by 3/4 weeks of postpartum period-.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 299-309. 

  22. Song, J. E., Chang, S. B., & Kim, S. (2008). Child care stress, postpartum depression, and postpartum fatigue between women who used and not used sanhujori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12, 33-46. 

  23. Takash, H., Satoru, T., Tadao, I., Tamiko, T., Teiko, Y., Rieto, I., et al. (2007). Laughter up-regulates the gene related to NK cell activity in diabetes. Biomedical Research, 28, 281-285. doi:10.2220/biomedres.28.281 

  24. Wilkins, J., & Eisenbraun, A. J. (2009). Humor theories and the physiological benefits of laughter. Advances in Mind and Body Medicine, 24(2), 8-12. 

  25. Yu, J. A., & Kim, K. S. (2009).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stress response and pain of military personnel with low back pain in hospital.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16, 36-45. uci:G300-jX1189976.v16n1p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