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성과평가 도구개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Hospice Palliative Care Performance Scal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3, 2011년, pp.374 - 381  

권소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hospice palliative care performance measure which would cover more than just physical symptoms or quality of life. Methods: Through an intensive literature review, the author chose questions that measured aspects of physical, emotional...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신체적 증상과 삶의 질 등의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영역을 포함하면서도 간결하고 단순한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 성과평가도구를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고, 둘째, 환자와 가족의 응답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의 성과를 평가하는 도구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크게 개발단계와 평가단계로 구성되었고, 개발단계에서는 예비적 개념틀을 구성하고, 관련문항을 도출하여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의 연구자와 연구보조원이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절차, 위험성과 이익, 비밀유지, 그리고 설문을 하는 동안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자발적으로 서면동의서에 서명한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자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환자의 설문응답이 가족의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족이 먼저 응답하도록 한 후 환자에게 응답내용을 알리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가 응답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비스 표준화와 질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서비스 표준화와 질 관리는 핵심 서비스를 규명하고 제공된 서비스를 평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특히, 평가 결과가 돌봄 계획 수립의 근거로 활용되어 개별 환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제공하는 다차원적 서비스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가 가져야하는 특징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제공하는 다차원적 서비스에 대해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개별 환자에게 적절한 돌봄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서비스 표준화와 질 향상의 핵심적 사안이다. 서비스 평가 도구는 말기환자들의 기능 상태와 질병의 진행과정을 고려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의 핵심적인 과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면서도 환자와 가족에게 과중한 짐이 되지 않도록 간결하여야 하며, 환자가 스스로 평가에 응하지 못하는 상태에 대비해 환자의 주간호제공자인 가족의 응답이 환자의 응답과 상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호스피스완화의료에 있어서 핵심적인 사안은? 호스피스완화의료에서 제공하는 다차원적 서비스에 대해 정기적으로 평가하여 개별 환자에게 적절한 돌봄 목표와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서비스 표준화와 질 향상의 핵심적 사안이다. 서비스 평가 도구는 말기환자들의 기능 상태와 질병의 진행과정을 고려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의 핵심적인 과제를 포괄적으로 다루면서도 환자와 가족에게 과중한 짐이 되지 않도록 간결하여야 하며, 환자가 스스로 평가에 응하지 못하는 상태에 대비해 환자의 주간호제공자인 가족의 응답이 환자의 응답과 상응할 수 있을지에 대한 가능성도 탐색해 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sma, H., Apland, L., & Kazanjian, A. (2010). Cultural conceptualizations of hospice palliative care: More similarities than differences. Palliative Medicine, 24, 510-522. doi: 10.1177/0269216309351380 

  2. Canadian Hospice Palliative Care Association. (2002). A model to guide hospice palliative care: Based on national principles and norms of practice. Retrieved August 23, 2010, from http://www.chpca.net/ 

  3. Ferris, F. D., Bruera, E., Chernry, N., Cummings, C., Currow, D., Dudgeon, H., et al. (2009). Palliative cancer care a decade later: Accomplishments, the need, next steps-from the 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7, 3052-3058. doi: 10.1200/JCO.2008.20.1558 

  4.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8). A study on the hospice payment-development of the payment system for hospice service and of the quality control system, and designing of pilot program (Issue No. K46-2008-85). Seoul: Author. 

  5. Hospice general inpatient level of care task force. (2008). The hospice general inpatient level of care: Criteria, service guidelines, reimbursement and contracting. Retrieved March 15, 2011, from http://edocket.access.cpo.gov/2008/pdf/08-1305.pdf 

  6. Kang, B. S., & Kim, K. S. (2009). SPSS 17.0: Statistical analysis of the social sciences. Seoul: Hannarae Academy. 

  7. Kang, K. A. (1999). Development of a tool to measure suffering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1365-1378. 

  8. Kim, K. S. (2004). AMO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Data Solution Inc. 

  9. Kim, M. S., & Oh, D. G. (2004). Psychological testing. Seoul: Sigma press. 

  10. Kim, S. H., Choi, Y. S., Lee, J., Oh, S. C., Yeom, C. H., Lee, M. A., et al.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hospice quality of life scale for Korean cancer 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37, 156-167. doi: 10.1016/j.jpainsymman.2008.02.008 

  11. Kim, S. Y. (2005). Development of the service model for hospice palliative care in terminal cancer care (Issue No. 0420270-1). Seoul: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2.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3). Hospice palliative care norms and regulations. Seoul: Author. 

  13. Lee, E. H., Chun, M. C., Wang, H. J., Lim, H. Y., & Choi, J. H. (2005). Multidimensional constructs of the EORT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QLQ-C30) in Korean cancer patients with heterogeneous diagnosis.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37, 148-156. doi: 10.4143/crt.2005. 37.3.148 

  14. Lee, E. H., Moon, S., Cho, S. Y., Oh, Y. T., Chun, M., Kim, S. H., et al. (2010).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need scale for cancer patients undergoing follow up car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551-560. doi: 10.4040/jkan.2010.40.4.551 

  15. Lee, E. O., Lim, N. Y., Park, H. A., Kim, J. I., Bai, J. Y., & Lee, S. M. (2009).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16. Lee, K. S., Joo, J., Kim, J. H., & Kim, K. Y. (2008). Current status and challenge of hospice palliative care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1, 196-205. 

  17. Mularski, R. A., Dy, S. M., Shugarman, L. R., Wilkinson, A. M., Lynn, J., Shekelle, P. G., et al. (2007). A systematic review of measures of end-of-life care and its outcomes. Health Research and Educational Trust, 42, 1848-1870. doi:10.1111/j.1475-6773.2007.00721.x 

  18.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0, April 30). Hospice palliative care. Retrieved September 18, 2010, from http://www.cancer.go.kr/cms/public_project/hospice/index.html 

  19. Oken, M. M., Creech, R. H., Tormey, D. C., Horton, J., Davis, T. E., & Carbone, P. P. (1982). Toxicity and response criteria of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5, 649-655. 

  20. Pouchot, J., Le Parc, J., Queffelec, L., Sichere, P., Flinois, A. (2007). Perceptions in 7,700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compared to their families and physicians. Joint Bone Spine, 74, 622-626. doi:10.1016/j.jbspin.2006.11.024 

  21. Toscani, F., Brunelli, C., Miccinesi, G., Costantini, M., Gallucci, M., Tamburini, M., et al. (2005). Predicting survival in terminal cancer patients: Clinical observation or quality-of-life evaluation? Palliative Medicine, 19, 220-227. 

  22. Tu, M. S., & Chiou, C. P. (2007). Perceptual consistency of pain and quality of life between hospice cancer patients and family caregivers: A pilo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61, 1686-1691. doi: 10.1111/j.1742-1241.2007.01347.x 

  23. Waltz, C. W., & Bausell, R. B. (1981). Nursing research: Design, statistics and computer analysis. Philadelphia, PA: F.A. Davis. 

  24.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Hospice palliative care. Retrieved September 18, 2010, from http://www.who.int/cancer/palliative/definition/en/ 

  25. Yeager, K. A., Miaskowski, C., Dibble, S. L., & Wallhagen, M. (1995). Differences in pain knowledge and perception of the pain experience between outpatients with cancer and their family caregivers. Oncology Nursing Forum, 22, 1235-124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