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학부 말기환자간호 교육 현황
Current Status of End-of-Life Care Educ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22 no.4, 2019년, pp.174 - 184  

권소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  조연수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부 교육과정에서의 말기환자간호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졸업을 앞둔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간호 학습경험과 말기환자간호 역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방법: 본 연구는 41개 간호학과와 해당대학 4학년 간호대학생 622명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미국간호대학협회(AACN)에서 제시한 자료를 근거로 말기환자간호에 대한 38개 교육내용과 17가지 말기환자간호 역량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간호학과와 학생의 말기환자간호 교육내용, 학습경험, 말기환자간호 역량을 조사하였고, 기술통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41개 간호학과 중 말기환자간호 관련 독립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교는 20%였고, 말기환자간호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학생은 5.1%이였다. 임상실습 중 환자의 죽음을 경험한 경우가 70.7%였으나 학생의 74.8%가 임상실습 중 실습 지도자로부터 말기환자간호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했다고 응답하였다. 말기환자간호에 대한 38개 교육내용 중 80% 이상의 학생이 이론 강의로 배웠다고 응답한 항목은 두 항목뿐이었고, 말기환자간호 17개 역량 모두가 3점 이하, 평균 2.31 (±0.66)점으로 간호학생은 말기환자간호를 수행할 수 없다고 스스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간호학부 교육의 말기환자간호 영역에 심각한 결핍이 있었다. 말기환자간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학과 학부과정에서 부터 체계적인 이론과 실습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end-of-life (EoL) care education of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and senior students' EoL care experience and competenc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1 nursing schools and 622 senior nursing students on June 2018.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목적: 본 연구는 간호학부 교육과정에서의 말기환자간호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졸업을 앞둔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간호 학습경험과 말기환자간호 역량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전국 간호학과와 4학년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간호교육내용, 학습경험, 말기환자간호 역량을 확인하기 위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간호학부 교육과정 내 각 주제별 말기환자간호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졸업을 앞둔 간호대학생의 말기환자간호 학습경험과 말기환자간호 역량에 대한 평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학부교육과정 중 말기환자간호 교육 현황, 학생들의 학습경험과 말기환자간호 역량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말기환자간호 교육과정 개발의 근거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이처럼 간호학부 교육과정에서의 말기환자간호 교육이 미흡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얼마나 교육되고 있는지에 대한 전국규모 현황 조사는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간호학부 교육과정에서의 말기환자간호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말기환자간호에 대한 교육과정 개선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편적 호스피스 완화의료란 무엇인가? 한편, 제67회 세계보건총회는 돌봄의 연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의료서비스 전반에 걸쳐 완화의료를 통합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채택하였고(2), 이는 국내에서도 보편적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보편적 호스피스 완화의료란 생애말기 돌봄을 인권의 문제로 보고 어디에서 어떤 치료를 받고 있는지와 상관없이 말기환자라면 누구나 개별화된 완화의료적 접근과 통합적인 전인적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3).
최근 말기환자 돌봄의 변화는 어떠한가? 2%에 이르렀다(1). 이는 우리 사회에서 죽음의 장소가 가정에서 의료기관으로 바뀌었고, 이에 따라 말기환자 돌봄이 가족구성원에서 의료진의 몫으로 변화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제67회 세계보건총회는 돌봄의 연속성을 담보하기 위해 의료서비스 전반에 걸쳐 완화의료를 통합할 것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채택하였고(2), 이는 국내에서도 보편적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말기환자간호에 대한 간호교육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경우, 말기환자간호는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예시한 프로그램 학습성과나 국가시험 출제범위에 명시되어 있지 않고, 타 국가시험 교과목에 비해 학부 교육과정 내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때문에 대학별로 대학의 특성과 전공 교수의 의지에 따라 말기환자간호에 대한 교육내용과 수준의 편차가 크다. 2010년 전국 4년제 간호학과 8개교에서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과반 수 이상이 임상실습 중 환자의 죽음을 경험했지만, 죽음관련 교과목을 수강한 경우는 전체의 10%에도 미치지 못했고(14), 2015년 연구에서는 부산 · 울산 · 경남 지역 32개 간호학과 중 말기환자간호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는 곳은 2곳뿐이었다(15). 이처럼 간호학부 교육과정에서의 말기환자간호 교육이 미흡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얼마나 교육되고 있는지에 대한 전국규모 현황 조사는 이루어진 바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2018 Life tables for Korea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9 [cited 2019 Apr 24]. Available from: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2/1/index.board?bmoderead&aSeq373361. 

  2. Attaran A, Benton D, Chauvin J, McKee M, Percival V. Webcast the World Health Assembly. Lancet 2014;383(9912):125-6. 

  3. Jang YJ. The elderly and hospice palliative care. Health Welfare Policy Forum. 2015;225:38-47. 

  4. Kwon S, Tae YS, Hong M, Choi GH. Hospice palliative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Asian Oncol Nurs 2015;15:264-75. 

  5. Espinosa L, Young A, Symes L, Haile B, Walsh T. ICU nurses’ experiences in providing terminal care. Crit Care Nurs Q 2010;33:273-81. 

  6. Jeon KB, Park M. Relationship of ICU nurses’ difficulties in end of life care to moral distres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J Korean Acad Nurs 2019;25:42-51. 

  7. Ferrell B, Mazanec P, Malloy P, Virani R. An innovative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curriculum that prepares nursing students to provide primary palliative care. Nurse Educ 2018;43:242-6. 

  8. Kim SH, Kim D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Nurs 2015;22:277-86. 

  9. Kim SN, Kim HJ, Choi SO. Effects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1;17:454-63. 

  10. Kim GD. The effects of hospice unit practice education on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 death, and hospice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Asian Oncol Nurs 2016;16:176- 84. 

  11. Henoch I, Melin-Johansson C, Bergh I, Strang S, Ek K, Hammarlund K, et al.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ttitudes and preparedness toward caring for dying persons-A longitudinal study. Nurse Educ Pract 2017;26;12-20. 

  12. Ferrell B, Malloy P, Mazanec P, Virani R. CARES: AACN's new competencies and recommendations for educat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o improve palliative care. J Prof Nurs 2016;32:327-33. 

  13. Palliative Care Curriculum for Undergraduates Team. Principles for including palliative care in undergraduate curricula [Internet]. Canberra: palliative care curriculum for (PCC4U); 2012 [cited 2019 Apr 24]. Available from: http://media.pcc4u.org/Documents/Principles.pdf. 

  14. Jung SY, Lee EK, Kim BH, Park JH, Han MK, Kim IK. Attitude toward death in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1;17:168-77. 

  15. Kim SH, Kim D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death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emy Fundam Nurs 2015;22(3):277-86. 

  16. Korean Nurses Association. The present situ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 [Internet].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8 [cited 2019 Apr 24]. Available from: https://www.koreanurse.or.kr/resources/nurse_edu.php. 

  17.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ct on hospice & palliative care and dying patient's determin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ternet]. Sejong: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9 [cited 2019 Jun 3].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8190#0000. 

  18.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Korean advanced practice nurse annual report [Internet].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6 [cited 2019 Jun 3]. Available from: http://www.kabone.or.kr/HyAdmin/view.php?&ss[sc]1&ss[kw]%BA%B8%B0%ED&bbs_idkab01&page&doc_num561. 

  19. Hui D, Bruera E. Models of integration of oncology and palliative care. Ann Palliat Med 2015;4:89-98. 

  20. Palliative Care Nurses New Zealand. A national professional development framework for palliative care nursing practice in Aotearoa New Zealand [Internet]. Wellington: Ministry of Health; 2014 [cited 2019 Jun 3]. Available from: https://www.health.govt.nz/system/files/documents/publications/national-professional-development-framework-palliative-care-nursing-practice-nz-oct14.pdf. 

  21. Kim GD. The effects of hospice unit practice education on spiritual well-being, attitude to death, and hospice awareness of nursing students. Asian Oncol Nurs 2016;16:176-84. 

  22. Jeffers S. Nurse faculty perceptions of end-of-life education in the clinical setting: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Nurs Educ Pract 2014;14:455-515. 

  23. Dame L, Hoebeke R. Effects of a simulation exercise on nursing students’ end-of-life care attitudes. J Nurs Educ 2016;55:701-5. 

  24. Kim SH, Ham YS.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Korean nurses and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5;21:308-19. 

  25. Noh JH, Eom JY, Yang, KS, Park HS. New nurses’ experience on care of dying patients. J Qual Res 2009;10:51-62. 

  26. Park HS, Jee Y, Kim SH, Kim YJ. Nursing student’s first clinical experience of death.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4;17:161-9. 

  27. Rietze LL, Tschanz CL, Richardson HRL. Evaluating an initiative to promote entry-level competence in palliative and end-of-life care for registered nurses in Canada. J Hosp Palliat Nurs 2018;20:568-74. 

  28. Ramjan JM, Costa CM, Hickman LD, Kearns M, Phillips JL. Integrating palliative care content into a new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Australia-Sydney experience. Collegian 2010;17:85-91. 

  29.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End of 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ELNEC) [Internet]. Washington: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19 [cited 2019 Apr 24]. Available from: https://www.aacnnursing.org/ELNEC. 

  30. Kim MW, Park JM, Han AG. Analysis of curriculum of 4-year nursing schools. J Korean Acad Soc Nurs Educ 2011;17:414-2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