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병원의 공공보건의료사업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담당자들의 교육요구도
Educational Needs for Consideration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Staff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Public Hospita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1 no.3, 2011년, pp.393 - 402  

황은정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ssess the educational need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staff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public hospital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aff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130 public hospitals. The Bo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공공보건의료사업과 관련하여 스스로가 인지하는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능력수준을 조사하여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개발에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고자 한다.
  • 따라서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전문직종과 직급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다양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Borich’s Need Assessment Model을 활용하여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종별(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 직급별(팀장 이상, 일반직원)로 공공보건의료사업과 관련하여 스스로가 인지하는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능력수준을 조사하여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을 활용하여 공공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의 업무관련 교육요구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공공보건의료사업과 관련하여 스스로가 인지하는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능력수준을 조사하여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개발에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보건의료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1) 의료 보호환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보건의료, 2) 노인·장애인·정신질환자 등 타 분야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보건의료, 3) 감염병 예방 및 진료, 4) 아동과 모성에 대한 보건의료, 5) 응급환자의 진료, 6) 민간보건의료기관이 담당하기 어려운 예방보건의료, 7) 기타 보건의료기본법 제15조의 보건의료 발전 계획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보건의료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공공보건의료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민들에게 양질의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국민보건의료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이다(Ministry of Health&Welfare[MH&W], 2005). Park (2002)에 의하면 공공보건의료사업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제공함으로써 의료수요를 감소시켜 의료비 증가를 억제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하였다.
공공병원이 제공하는 것은 무엇인가? 공공병원은 공공보건의료사업을 통해 지역주민에게 진료업무 외에 의료보호환자를 위한 진료, 공공진료사업 등 민간병원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공익적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Institute[KHIDI], 2001).공공병원은‘공공보건 의료에 관한 법률’에 의거 공공보건의료사업에 대한 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매년 그 시행결과를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보고하게끔 되어있다(Public HealthAct, 2010).
공공보건 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에 의하면 공공보건의료기관이 우선 제공해야 할 7가지 보건의료는 무엇인가? 동법제5조에의하면공공보건의료기관이 우선 제공해야 할 7가지 보건의료를 제시하고 있다. 1) 의료 보호환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보건의료, 2) 노인·장애인·정신질환자 등 타 분야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보건의료, 3) 감염병 예방 및 진료, 4) 아동과 모성에 대한 보건의료, 5) 응급환자의 진료, 6) 민간보건의료기관이 담당하기 어려운 예방보건의료, 7) 기타 보건의료기본법 제15조의 보건의료 발전 계획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보건의료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공공보건의료사업의 궁극적인 목적은 국민들에게 양질의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여 국민보건의료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이다(Ministry of Health&Welfare[MH&W],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ltschuld, J. W., Talylor, W. D., & Canelos, J. (1982, October). Classifying needs assessment strategies for teaching purpos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Evaluation Research Society, Baltimore, Maryland. 

  2. Bae, S. S. (2004). Public health plan. Seoul: Kaechukmunhwa-Sa. 

  3. Baeg, J. H. (2003). Needs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echnological literacy cont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4.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 39-42. 

  5. Cho, D. Y. (2009). Exploring how to set priority in need analysis with survey. A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5, 165-187. 

  6. Jung, J. H. (2008).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and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practical art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1, 223-240. 

  7. Kaufman, R. A. (1972). Educational system plann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8. Kim, J. S., Choi, Y. H., & Kim, S. K. (2008).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faculti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1, 50-64. 

  9. Kim, T. S., Park, Y. H., Yun, T. Y., & Han, D. U. (2004, November).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job satisfaction, education demand and intention to leave in health care sector.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on Public Health Budgets and Tasks, Seoul. 

  10. Kim, Y. I., Jung, J. H., Lee, C. S., & Choi, M. S. (2001).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for technological literac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4, 93-107. 

  11. Kim, Y. L., Kim, S. W., Chung, E. K., & Choi, J. S. (2002). Education need of the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lic health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 27, 51-64. 

  12. Kister, J., & Gritzmacher, J. (1986). Curriculum research alternatives. In J. F. Laster, & R. E. Dohner (Eds.),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State of the field (pp. 136-145). Illinois: Bennett & McKnight. 

  1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1, November). Methods to develop the functions of public health. Seoul: Author. 

  14.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April). A study on the public healthcare plan and evaluation for enhancing public interest in public hospitals. Seoul: Author. 

  15.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Novembe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public health service workforce in public hospitals. Seoul: Author. 

  16. Lee, J. G. (2009).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tea-chers about education contents of 2007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 37-56.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 December). 2nd public health services plan (2006-2010) guideline. Seoul: Author. 

  18.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7, July). Evaluation of 2006 public health plan & results. Seoul: Author. 

  19.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May). Evaluation of 2008 public health plan & results. Seoul: Author. 

  20. Park, J. H. (2002). Strategies for public health service development in the times of local autonomy.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12, 1-22. 

  21. Park, N. R., Jeong, I. S., Lee, J. G., Kim, Y. T., Chun, J. H., Kim, K. S., et al. (2004). Evaluation of field epidemiology specialis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satisfaction and the changes of educational need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7, 80-87. 

  22. Public Health Act. (201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etrieved January 18, 2010, form http://www.law.go.kr/main.html 

  23. Strohschein, J., Hagler, P., & May, L. (2002). Assessing the need for change in clinical education practices. Physical Therapy, 82, 160-17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