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developed motifs through the use of images of masks with which the Korean innate consciousness of aesthetics is expressed. The motifs were applied to fashion item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cept, origin and types of traditional masks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Using the comput...
This paper developed motifs through the use of images of masks with which the Korean innate consciousness of aesthetics is expressed. The motifs were applied to fashion item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cept, origin and types of traditional masks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Using the computer graphic programs of Illustrator and Photoshop CS2, three basic motifs were set from the images of the nobleman, Bune of Hahoi Tal and Byeongsan Tal. Each motif was extended into two motifs by changing shape and color. For the basic motif design, this study sought to express contemporary images, suitably for each fashion item, while maintaining the basic shape of the masks and their traditional images. In addition, this study set the concept of the design so that could be accepted by various age groups. For the design of handkerchiefs, a rotating array, involving enlargement, reduction, repetition, and the gradation of motifs, as well as a diagonal symmetric array, and all-over patterns were developed. The T-shirt design created here was divided into a half-sleeve box type, a round neckline sleeveless type, a V-neckline close-fitting sleeveless type, and a V-neckline close-fitting cap sleeve type. For the design of necklaces, OLED or LED, which are considered as a future display type, was used. Additionally, the production of an entertainment styled new atmosphere is proposed.
This paper developed motifs through the use of images of masks with which the Korean innate consciousness of aesthetics is expressed. The motifs were applied to fashion items.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ncept, origin and types of traditional masks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Using the computer graphic programs of Illustrator and Photoshop CS2, three basic motifs were set from the images of the nobleman, Bune of Hahoi Tal and Byeongsan Tal. Each motif was extended into two motifs by changing shape and color. For the basic motif design, this study sought to express contemporary images, suitably for each fashion item, while maintaining the basic shape of the masks and their traditional images. In addition, this study set the concept of the design so that could be accepted by various age groups. For the design of handkerchiefs, a rotating array, involving enlargement, reduction, repetition, and the gradation of motifs, as well as a diagonal symmetric array, and all-over patterns were developed. The T-shirt design created here was divided into a half-sleeve box type, a round neckline sleeveless type, a V-neckline close-fitting sleeveless type, and a V-neckline close-fitting cap sleeve type. For the design of necklaces, OLED or LED, which are considered as a future display type, was used. Additionally, the production of an entertainment styled new atmosphere is propos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 탈이 우리 민족의 정서적 산물이자 놀이문화이며 생활의 일부로서, 한국적 이미지를 잘 표현하고 있으면서도 독특한 형태로 독창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전통 탈이 갖는 디자인적 조형요소를 살려 모티브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한국전통문화가 갖는 차별화된 독특함과 고유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활용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Illustrator CS2와 Adobe Photoshop CS2를 이용하여 전통 탈의 이미지를 모티브 화하고, 이를 우리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소비되어질 수 있는 섬유제품인 티셔츠와 손수건에 적용하였으며, 패션 액세서리 중 목걸이에 적용하였다.
전통 탈에 표현된 다양한 선의 흐름과 면의 구성은 다양한 표정을 표현함과 동시에 우리 고유의 독특한 이미지를 나타내 현대적인 이미지로 재해석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극 활용되어질 수 있는 디자인적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탈 중 국보 제121호로 지정된 하회탈과 병산탈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본 모티브를 개발하였다.
탈은 본래의 얼굴 모습과는 다른 형상으로 얼굴을 가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전통 탈은 단순히 얼굴을 가리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우리 민족의 정서적 산물이자 놀이와 생활의 일부로서, 한국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 탈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모티브를 개발하고, 한국전통문화가 갖는 차별화된 독특함과 고유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Illustrator CS2와 Adobe Photoshop CS2를 이용하여 전통 탈의 이미지를 모티브화하고, 이를 우리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소비되어질 수 있는 섬유제품인 티셔츠와 손수건에 적용하였으며, 패션 액세서리 중 목걸이에 적용하였다.
제안 방법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 탈이 우리 민족의 정서적 산물이자 놀이문화이며 생활의 일부로서, 한국적 이미지를 잘 표현하고 있으면서도 독특한 형태로 독창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전통 탈이 갖는 디자인적 조형요소를 살려 모티브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한국전통문화가 갖는 차별화된 독특함과 고유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활용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Illustrator CS2와 Adobe Photoshop CS2를 이용하여 전통 탈의 이미지를 모티브 화하고, 이를 우리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소비되어질 수 있는 섬유제품인 티셔츠와 손수건에 적용하였으며, 패션 액세서리 중 목걸이에 적용하였다. 목걸이 디자인은 미래형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는 OLED나 LED를 활용하여 엔터테인먼트적인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상품들과 차별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통 탈이 우리 민족의 정서적 산물이자 놀이문화이며 생활의 일부로서, 한국적 이미지를 잘 표현하고 있으면서도 독특한 형태로 독창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여 전통 탈이 갖는 디자인적 조형요소를 살려 모티브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한국전통문화가 갖는 차별화된 독특함과 고유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활용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Illustrator CS2와 Adobe Photoshop CS2를 이용하여 전통 탈의 이미지를 모티브 화하고, 이를 우리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소비되어질 수 있는 섬유제품인 티셔츠와 손수건에 적용하였으며, 패션 액세서리 중 목걸이에 적용하였다. 목걸이 디자인은 미래형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는 OLED나 LED를 활용하여 엔터테인먼트적인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상품들과 차별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인 Adobe Illustrator CS2와 Adobe Photoshop CS2를 이용하여 전통 탈의 이미지를 모티브 화하고, 이를 우리 실생활에서 밀접하게 소비되어질 수 있는 섬유제품인 티셔츠와 손수건에 적용하였으며, 패션 액세서리 중 목걸이에 적용하였다. 목걸이 디자인은 미래형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는 OLED나 LED를 활용하여 엔터테인먼트적인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제안함으로써 기존의 상품들과 차별을 두었다.
각각의 모티브는 30°와 90° 회전 및 대칭을 이용한 반복으로 변화를 준 세 가지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각각의 모티브는 30°와 45°, 90° 회전 및 대칭을 이용한 반복으로 변화를 준 세 가지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회탈과 병산탈 중 하회탈의 양반과 부네, 병산탈의 양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본 모티브 3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모티브에 대해 형태 변형과 색상 적용을 달리하여 두 개의 모티브로 확장시켰으며, 각 모티브를 반복시켜 세 개의 응용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회탈과 병산탈 중 하회탈의 양반과 부네, 병산탈의 양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본 모티브 3개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모티브에 대해 형태 변형과 색상 적용을 달리하여 두 개의 모티브로 확장시켰으며, 각 모티브를 반복시켜 세 개의 응용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각 응용 패턴은 스트라이프, 바둑판무늬, 물결무늬 등과 혼합하여 변화를 주었다.
그리고 각각의 모티브에 대해 형태 변형과 색상 적용을 달리하여 두 개의 모티브로 확장시켰으며, 각 모티브를 반복시켜 세 개의 응용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각 응용 패턴은 스트라이프, 바둑판무늬, 물결무늬 등과 혼합하여 변화를 주었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탈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되 본 연구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손수건, 티셔츠, 목걸이 등 패션문화상품의 각 아이템에 적합하도록 하였고, 전통적인 이미지와 현대적인 이미지가 잘 조화되어 다양한 연령층이 무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의 콘셉트를 설정하였으며, 모티브에 대한 기본적인 색상은 전통 탈에 사용된 나무 재질을 연상할 수 있는 베이지, 브라운을 기본으로 그레이, 레드, 그린, 핑크, 블루 등을 사용하여 화려하면서도 차분한 이미지를 갖도록 계획하였다.
각 응용 패턴은 스트라이프, 바둑판무늬, 물결무늬 등과 혼합하여 변화를 주었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탈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되 본 연구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손수건, 티셔츠, 목걸이 등 패션문화상품의 각 아이템에 적합하도록 하였고, 전통적인 이미지와 현대적인 이미지가 잘 조화되어 다양한 연령층이 무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의 콘셉트를 설정하였으며, 모티브에 대한 기본적인 색상은 전통 탈에 사용된 나무 재질을 연상할 수 있는 베이지, 브라운을 기본으로 그레이, 레드, 그린, 핑크, 블루 등을 사용하여 화려하면서도 차분한 이미지를 갖도록 계획하였다.
모티브 1-2 역시 기본 모티브에서 이마의 가는 주름과 웃는 표정을 강조시키고, 선의 생략과 변형을 통해 변화를 주었다. 색상은 블루를 기본으로 톤인 톤 배색을 통해 변화와 통일감을 갖게 하였으며, 레드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웃는 표정 및 가는 주름을 강조하고 입체감을 나타내도록 표현하였다. 각각의 모티브는 30°와 90° 회전 및 대칭을 이용한 반복으로 변화를 준 세 가지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모티브 1-2 역시 기본 모티브에서 가느다란 눈썹과 웃는 표정을 곡선을 통해 보다 강조시켰으며, 연지곤지의 형태를 크게 강조시켜 변화를 주었다. 색상은 베이지와 레드, 청록 등을 사용하여 보다 강렬하면서도 차분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였다. 각각의 모티브는 30°와 45°, 90° 회전 및 대칭을 이용한 반복으로 변화를 준 세 가지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본 장에서는 전통 탈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개발한 문양 패턴의 결과를 각각의 아이템에 적합한 디자인이 되도록 모티브의 반복, 회전, 구성의 변형, 그러데이션 효과 등을 통해 재구성하여 표현하였으며, 색상의 적용은 모티브에 적용한 색상을 이용해 전체적으로 통일적인 조화미를 나타내도록 하였고, 이를 손수건과 티셔츠, 목걸이에 적용하였다.
손수건 디자인은 모티브의 회전과 확대, 축소, 반복, 그러데이션을 통한 회전 배열이나 대각선 대칭 배열 및 올 오버 패턴으로 전개하였으며, 각각의 형태가 강조되고 입체적인 이미지가 되도록 하였다. 기본적으로 사각형과 원형의 형태를 중심으로 전개하였고, 가장자리와 사각 모서리부분 및 중심부분을 강조하여 문양을 배치함으로써 손수건을 펼쳤을 때와 접었을 경우 모두 문양의 효과가 강조되도록 하였다.
기본적으로 사각형과 원형의 형태를 중심으로 전개하였고, 가장자리와 사각 모서리부분 및 중심부분을 강조하여 문양을 배치함으로써 손수건을 펼쳤을 때와 접었을 경우 모두 문양의 효과가 강조되도록 하였다. 또한 손수건뿐만 아니라 크기 확대 시 스카프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전개시켰다.
티셔츠 디자인은 티셔츠의 형태를 반소매 박스형, 라운드 네크라인의 민소매형, V네크라인의 몸에 피트 되는 민소매형, V네크라인의 몸에 피트 되는 캡 소매형의 네 가지로 전개시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활용도를 높게 하였고, 각 모티브의 확대와 축소, 회전, 반복 패턴의 응용, 형태의 왜곡, 입체적인 조형 등을 이용해 티셔츠 전면에 레이아웃 시켜 장식적이면서도 캐주얼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티셔츠 디자인은 화이트 바탕의 티셔츠를 중심으로 전개하여 문양이 강조되도록 하였으며, 다른 의복 아이템과의 연출에 있어서도 다양하고 무난한 코디네이션이 되도록 하였다.
티셔츠 디자인은 티셔츠의 형태를 반소매 박스형, 라운드 네크라인의 민소매형, V네크라인의 몸에 피트 되는 민소매형, V네크라인의 몸에 피트 되는 캡 소매형의 네 가지로 전개시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활용도를 높게 하였고, 각 모티브의 확대와 축소, 회전, 반복 패턴의 응용, 형태의 왜곡, 입체적인 조형 등을 이용해 티셔츠 전면에 레이아웃 시켜 장식적이면서도 캐주얼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티셔츠 디자인은 화이트 바탕의 티셔츠를 중심으로 전개하여 문양이 강조되도록 하였으며, 다른 의복 아이템과의 연출에 있어서도 다양하고 무난한 코디네이션이 되도록 하였다.
특히 목걸이 디자인은 미래형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는 OLED나 LED를 활용하여 엔터테인먼트적인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 다이오드라고도 하며,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특히 목걸이 디자인은 미래형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는 OLED나 LED를 활용하여 엔터테인먼트적인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LED(Light Emitting Diode)는 발광 다이오드라고도 하며, 순방향으로 전압을 가했을 때 발광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목걸이 디자인에 있어 입체형 펜던트로 제작할 경우 그 안에 전자 칩을 내장시키기에 용이하며, 금속프레임이나 가죽 끈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연결시킴으로써 다양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고, 또 반짝이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 있어 이미지의 영상을 동영상으로 제시할 수 없어 단계적인 스틸 컷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단계적으로 제시한 각각의 형상은 OLED나 LED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각각 독자적인 펜던트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고에 있어 이미지의 영상을 동영상으로 제시할 수 없어 단계적인 스틸 컷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단계적으로 제시한 각각의 형상은 OLED나 LED를 적용하지 않을 경우 각각 독자적인 펜던트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각각의 모티브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을〈표 3~5〉에 제시하였다.
디자인 개발에 앞서 탈의 개념과 기원, 전통 탈의 종류를 고찰하였고,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본 모티브로서 우리나라의 많은 탈 가운데 유일하게 국보 제121호로 지정된 하회탈과 병산탈의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하회탈과 병산탈 중 하회탈의 양반과 부네, 병산탈의 양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본 모티브 3개를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모티브에 대해 형태 변형과 색상 적용을 달리하여 두 개의 모티브로 확장시켰고, 각 모티브를 세 개의 응용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탈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여 전통적인 이미지를 유지하되 현대적인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도록 고려하였고, 본 연구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손수건, 티셔츠, 목걸이 등 패션문화상품의 각 아이템에 적합하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연령층이 무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의 콘셉트를 설정하였다.
각 응용 패턴은 스트라이프, 바둑판무늬, 물결무늬 등과 혼합하여 변화를 주었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탈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되 본 연구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손수건, 티셔츠, 목걸이 등 패션문화상품의 각 아이템에 적합하도록 하였고, 전통적인 이미지와 현대적인 이미지가 잘 조화되어 다양한 연령층이 무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의 콘셉트를 설정하였으며, 모티브에 대한 기본적인 색상은 전통 탈에 사용된 나무 재질을 연상할 수 있는 베이지, 브라운을 기본으로 그레이, 레드, 그린, 핑크, 블루 등을 사용하여 화려하면서도 차분한 이미지를 갖도록 계획하였다.
하회탈과 병산탈 중 하회탈의 양반과 부네, 병산탈의 양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본 모티브 3개를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모티브에 대해 형태 변형과 색상 적용을 달리하여 두 개의 모티브로 확장시켰고, 각 모티브를 세 개의 응용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탈의 기본 형태를 유지하여 전통적인 이미지를 유지하되 현대적인 이미지로 표현될 수 있도록 고려하였고, 본 연구에서 전개하고자 하는 손수건, 티셔츠, 목걸이 등 패션문화상품의 각 아이템에 적합하도록 하였으며, 다양한 연령층이 무난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의 콘셉트를 설정하였다. 모티브에 대한 기본적인 색상은 전통 탈에 사용된 나무재질을 연상할 수 있는 베이지, 브라운을 기본으로 그레이, 레드, 그린, 핑크, 블루 등을 사용하여 화려하면서도 차분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였다.
개발한 모티브를 이용한 손수건 디자인은 기본 모티브의 응용 패턴을 활용하여 모티브의 회전과 확대, 축소, 반복, 그러데이션을 통한 회전 배열이나 대각선 대칭 배열 및 올 오버 패턴으로 전개하였으며, 각각의 형태가 강조되고 입체적인 이미지가 되도록 하였다. 정사각형인 손수건의 형태 특성 상 가장자리와 사각 모서리부분 및 중심부분을 강조하여 문양을 배치함으로써 손수건을 펼쳤을 때와 접었을 경우 모두 문양의 효과가 강조되도록 하였다.
정사각형인 손수건의 형태 특성 상 가장자리와 사각 모서리부분 및 중심부분을 강조하여 문양을 배치함으로써 손수건을 펼쳤을 때와 접었을 경우 모두 문양의 효과가 강조되도록 하였다. 티셔츠 디자인은 티셔츠의 형태를 반소매 박스형, 라운드 네크라인의 민소매형, V네크라인의 몸에 피트 되는 민소매형, V네크라인의 몸에 피트되는 캡 소매형의 네 가지로 전개시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활용도를 높게 하였고, 각 모티브의 확대와 축소, 회전, 반복 패턴의 응용, 형태의 왜곡, 입체적 조형 등을 이용해 화이트 티셔츠 전면에 레이아웃 시켜 장식적이면서도 깔끔하고 캐주얼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였다. 목걸이 디자인은 미래형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는 OLED나 LED를 활용하여 엔터테인먼트적인 새로운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대상 데이터
디자인 개발에 앞서 탈의 개념과 기원, 전통 탈의 종류를 고찰하였고,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본 모티브로서 우리나라의 많은 탈 가운데 유일하게 국보 제121호로 지정된 하회탈과 병산탈의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하회탈과 병산탈 중 하회탈의 양반과 부네, 병산탈의 양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본 모티브 3개를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모티브에 대해 형태 변형과 색상 적용을 달리하여 두 개의 모티브로 확장시켰고, 각 모티브를 세 개의 응용 패턴으로 전개하였다.
성능/효과
7) 탈, 즉 가면은 동양이나 서양, 문양이나 미개를 막론하고 거의 모든 민족 사이에 존재하고, 또 그 기원도 대단히 오래된 것이다.8)
17) 우리나라에서는 풍요제의 탈, 벽사 탈, 신성 탈, 장례 탈, 의술 탈, 추억 탈, 예능 탈이 발견되었고, 전쟁 탈과 유사한 목우사자도 발견되었으나, 영혼 탈, 토템 탈, 기우 탈, 수렵 탈, 입사 탈은 발견되지 않았다.18) 한국의 전통 탈은 신앙 탈이 먼저 생기고 문화의 발전과 함께 인간과 자연 또는 인간과 신과의 문제를 주술로 해결하던 단계를 넘어 인간과 인간의 문제를 예술적으로 표현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욕구에서 예능 탈이 생겨났다. 주술의 해결기능이 창조적 표현기능으로 변화되면서 탈도 주술적인 탈에서 예능적인 탈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하회탈은 양반, 선비, 중, 백정, 초랭이, 할미, 이매, 부네, 각시, 총각, 떡다리, 별채 탈 등 12개와 동물 형상의 주지 2개가 있었으나, 총각, 떡 다리, 별채 탈은 분실된 채 전해지지 않고, 하회탈은 11개, 병산탈은 2개가 남아 있다.24) 한국의 가면은 대개 바가지나 종이로 만든 것이 많아서 오래 보존된 예가 드물며, 그 해 탈놀이가 끝난 후 태워버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다.25) 그러나 하회탈과 병산탈은 오리나무로 된 목조 탈이며, 채색기법은 칠기와 마찬가지로 옻과 안료를 두세겹 칠하여 색의 강도를 높인 것으로 격식과 세련됨을 갖춘 유물이다.
한 예로 Nokia사가 개발한 ‘Medallion’은 목걸이 형태로 작은 스크린이 장착되어 있어 휴대폰으로 다운로드 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34) 디스플레이 기능 및 파일 삭제기능, 시계 기능을 하기도 한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목걸이 디자인에 있어 입체형 펜던트로 제작할 경우 그 안에 전자 칩을 내장시키기에 용이하며, 금속프레임이나 가죽 끈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연결시킴으로써 다양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고, 또 반짝이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본고에 있어 이미지의 영상을 동영상으로 제시할 수 없어 단계적인 스틸 컷으로 제시하였다.
후속연구
목걸이를 입체형 펜던트로 제작할 경우, 그 안에 전자칩을 내장시키기에 용이하며, 금속 프레임이나 가죽 끈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연결시킴으로써 다양한 영상을 선택할 수 있고, 또 반짝이는 효과를 연출할 수 있어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고에 있어 실물 제작이 아닌 디자인 제안만으로 제시하였고, 이미지의 영상을 동영상으로 제시할 수 없어 단계적인 스틸 컷으로만 제시하여 연구의 한계점임을 밝힌다.
또, 다수의 상품이 전통 탈의 원형을 그대로 유지한 벽걸이 장식품인 경우이거나 액자 안에 장식된 경우, 자석세트, 열쇠고리, 핸드폰 줄 등으로 일반적인 문화상품에 이르고 있으며, 섬유 소재로 표현된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티브와 응용 패턴 및 패션문화상품 디자인은 기존의 문화상품과 차별화를 둘 수 있으며, 전통 탈을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전개에 보다 새로운 활력을 주리라 기대한다. 특히 목걸이의 경우 나무 탈로 된 타이슬링의 형태가 아닌 OLED나 LED를 활용한 펜던트로 디자인하여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가미함으로써 새롭고 젊은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 기존의 상품과 차별화를 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화상품은 어떤 산물이라고 할 수 있나요?
문화상품이란 문화적 소재를 활용하여 산업 활동 과정에서 생산되는 최종 결과물로써 문화적 부가가치가 높은 아이디어 집약적, 기술집약적 상품으로 다중성, 다양성, 가치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품에 문화적 요소를 가미하고 고부가가치 상품을 창출하는 것으로 새로운 상품 개발 과정에서 과학기술의 기능과 조형예술의 미적 형태와의 조화를 통해 고객의 총체적인 만족을 이루어내는 산물이라 할 수 있다.31) 다양한 문화상품 중에서도 섬유소재 제품으로 구성된 의류, 스카프, 넥타이, 손수건뿐만 아니라 지갑, 가방, 각종 액세서리 등 다양한 아이템들로 구성된 패션문화상품은 심미적, 예술적 가치를 지닌 이미지상품이며, 또 우리 실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소비되어지는 품목으로 어떠한 문화 상품보다도 문화적 정체성과 경쟁력을 겸비한 고부가가치 상품이라 할 수 있다.
우리말 큰 사전에 의한 탈이란 무엇인가요?
라 불려왔으나, 현재는 일반적으로 ‘탈’이라 통칭되고 있으며, 얼굴 전체를 가리는 면구(面具) 가면과 머리 전체를 가리는 가두(假頭), 투두(套頭), 가수(假首)로 구별하기도 한다. 우리말 큰 사전에 의하면 탈이란 얼굴을 감추거나 달리 꾸미려고 종이, 나무, 흙 따위로 만들어 얼굴에 쓰는 물건이나 가면 또는 속과는 관계없이 겉으로 드러나는 태도나 모습이라고 풀이되어 있다. 탈은 얼굴을 가려 변장이나 방호, 호신 등의 특정한 목적과 용도로 쓰이며, 또 동물이나 초자연적인 존재를 표현하는 가장성을 갖는다.
우리의 전통놀이문화에 사용된 탈은 어떤 조형물인가요?
특히 세계 여러 나라의 다양한 문화와 수많은 표현 양식이 존재하는 현대 문화 속에서 우리의 전통놀이문화에 사용된 탈은 우리 민족 고유의 삶의 가치관과 정서를 담고 있는 조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29)
고시정 (2003). "한국 전통 탈의 감성표현기법과 적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국립민속박물관 (1982). 한국의 탈. 서울: 통천문화사.
김선영 (2008). "현대패션에 나타난 가면의 형태와 특성." 복식 58권 4호.
민혜원 (2003). "한국의 탈을 형상화한 타피스트리표현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경현 (2000). "한국인의 탈에 나타난 미의식과 전통미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우성 (1995). 탈 . 서울: 대원사.
심이석, 김영수 (1993). 한국의 나무 탈. 서울: 열화당.
이나영 (2004). "한국의 전통적 탈에 관한 조형성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두현 (1989). 한국의 가면극 . 서울: 일지사.
이인호 (20089).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에 관한 연구."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민 (2009). "한국 전통 탈의 조형성을 활용한 분장 디자인." 복식 59권 4호.
제갈미, 이연희 (2008). "미디어아트를 이용한 패션액세서리 디자인." 복식 58권 4호.
전원희 (1992). "섬유로 표현한 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경희, 이미숙 (2010). "문화 관광 축제 활성화를 위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전략 연구 제2보." 복식 60권 2호.
정병선 (2002). "문화상품 대중화를 위한 전략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채하연 (2003). "문화상품으로서의 탈춤의 엔터테인먼트적 기능과 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박물관연구회 (2001). 한국의 박물관 1. 서울: 문예마당.
황병권 (2007). "탈의 제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Ingelore, E. (1984). Musken und Maskierung, Kult, Kunt and Kosmetik. Koln: Vonden Naturvilkern bis zur Gegenwart.
"모바일 기기용 액세서리 시장동향" (2010년 5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unitronics.co.kr
"서낭신제탈" (2010년 6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mask.kr
"하회탈의 개관" (2010년 5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talbang.com
"하회탈 및 병산탈" (2010년 7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cha.go.kr
"한국의 탈" (2010년 6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mask.kr
"한국탈의 역사" (2010년 6월 [2010년 7월 13일 검 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mask. kr
"한국탈춤자료" (2010년 7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maskdance.com
"전통탈" (2010년 7월 [2010년 7월 13일 검색];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koreagood.net/www.minsokmadang.com/www.koreasang.co.kr/www.gaya365.co.kr/www.auction.co.kr/www.talbang.com/www.festivalshop.or.kr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