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images typical to this city and explored ways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these images. Researchers reviewed literature about fashion cultural products and related previous research, and then conducted a closed-ended survey to analyze universal fashion preferences. For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강릉의 상징 이미지 조사는 기존 소비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강릉의 대표적인 이미지와 강릉을 상징하는 이미지의 선호도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 패션문화상품은 선행 연구의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문화적 요소와 의미적 측면 그리고 소비재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패션 상품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패션문화상품의 정의 가운데 가장 포괄적인 의미를 내포하는 Jeon(2015)의 정의를 바탕으로 독특한 정보나 의미를 표현하는 문화상징물로써 지역이나 국가의 문화적 요소와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한 현대적인 패션 상품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강릉 지역을 주거지로 하는 집단과 강릉 이외 지역을 주거지로 하는 집단을 구분하여 패션문화상품의 구매 행동과 선호도를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강릉 지역의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설문의 조사 대상은 강릉과 강릉 이외 지역에서 거주하는 20대에서 50대의 남·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 조사 기간은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6월 30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강릉시에 거주하는 사람들과 강릉시 이외 지역에서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지를 조사 도구로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선행 연구를 참고로 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작성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강릉 지역의 문화콘텐츠를 발전시킬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릉 지역의 거주자와 강릉 이외 지역의 거주자들에게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구매 행동 및 선호도 그리고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선호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션 문화상품 개발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셋째,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 문화상품 개발을 위하여 거주 지역에 따라 강릉 상징 이미지의 인지도 및 선호도를 알아본다.
  • 강릉처럼 인구가 적고 관광을 중심 산업으로 생활하는 지역의 문화상품 개발은 그 지역에 정착하여 거주하는 지역 주민뿐만 아니라, 그 지역을 방문하는 이들의 욕구가 반영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는 강릉을 주거지로 하는 사람과 강릉 이외의 지역을 주거지로 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패션문화상품의 구매 행동과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의 선호도를 조사하여 강릉의 패션문화상품 개발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조사 기간과 대상은 2017년 6월 1일부터 2017년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20대 이상에서 5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폐쇄형 설문지를 활용한 질문지법으로 연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강릉 지역의 문화콘텐츠를 발전시킬 수 있는 패션문화상품의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릉 지역의 거주자와 강릉 이외 지역의 거주자들에게 패션문화상품에 대한 구매 행동 및 선호도 그리고 강릉 이미지를 활용한 패션문화상품 선호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션 문화상품 개발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현재까지 이루어진 강릉의 문화 활성화 연구를 살펴보면, 강릉단오제 글로벌 홍보를 위한 문화 콘텐츠 개발(Yeon, 2010), 강릉 지역축제의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Po, 2014), 강릉 커피축제 이미지가 방문객의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Seo, 2012), 강릉지역 축제자원 활성화 방안 연구(Lim, 2011) 등이 이루어졌으나, 강릉의 문화상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연구를 찾아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릉을 상징하는 대표 이미지를 조사하고, 그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의 방안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강릉 이미지를 활용하여 일상생활 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의생활용품인 패션문화 상품을 연구함으로써 강릉의 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구체적 방안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강릉의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도록 하며, 문화상품이 유통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나아가 한국의 문화 상품 및 관광산업 발전에 공헌할 수 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첫째, 거주 지역에 따른 패션문화상품의 구매 경험과 패션문화상품 구매에 대한 관심의 정도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릉지역 거주자들에게 더욱 영향 있는 패션문화상품의 구매 고려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패션문화상품의 구매 고려 요인의 분석 결과, 소재, 전통적 상징성, 지역적 상징성, 내구성, 선물의 적절성은 강릉 지역 거주자들에게 구매 고려 요인으로 더욱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다른 항목들은 거주 지역에 따른 구매의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두 집단 모두에서 디자인, 칼라, 가격, 실용성, 품질이 패션문화상품 구매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문화상품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인가? 최근 지역문화 발전의 일환으로 지방자치단체를 중심한 문화상품 개발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지역의 문화상품은 지역문화에 대한 독특한 정보나 의미를 표현하는 것으로써 단순한 제품 이상의 함축적 의미를 내포하는 문화의 상징물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문화의 독창성과 다양성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국가문화 발전의 초석을 다지게 한다.
동해안의 중심 도시 가능성이 있는 강릉에 대한 인식은 어떻게 변해왔는가? 과거 강릉은 대관령이라는 백두대간의 높은 산맥의 지리적 장애 때문에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접근이 어려운 곳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고속도로나 고속철도와 같은 교통 시설이 확충됨에 따라 강릉의 지리적 접근성이 개선되었다. 강릉은 2018 평창 올림픽의 빙상경기가 개최된 도시로서 세계인의 이목이 집중되는 가운데 매우 빠른 성장 속도를 보이는 도시가 되었다. 사회적 인프라의 확충과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강릉은 동해안의 중심 도시로 성장할 가능성이 예측되지만, 현재의 변화에 맞추어 강릉을 홍보할 수 있는 문화상품은 미흡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 Y. J. (2007). Foreign visitors' attitude toward fashion cultural produ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 Choe, A.-R. (2014). A study on the folk painting-utilized developmental plan of cultural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3. Chung, K. H. (2009).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for promoting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4. Hong, H. S., Jang, A. R., Hyoun, J. E., & Kim, H. M. (2001). Tourism market segmentation in Cheju Island based on fashion image of clothing souvenir and characteristics of sub-seg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2), 303-314. 

  5. Hyun, S. H. (2006).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e products using traditional Korean patter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6. Jeon, H. K. (2015). A study on the design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applying Baekje relics and patterns: Focusing on the life style profiles of Baekje cultural area visito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Jeollabuk-do, Korea. 

  7. Jeong, J.-Y. (2011).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goods using Baekje traditional patterns based on buyer's characteris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8. Kang, M. (2013).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using regional tourism contents and industrialization strateg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9. Kim, S. H. (2007). A study on designs for culture and tourism products: Selectively designs for neckties as a souvenir in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shin University, Jeollanam-do, Korea. 

  10. Kwon, J., & Kim, S. Y. (2012). A study on design preference about traditional feminine head ornament for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2(4), 69-80. doi:10.7233/jksc.2012.62.4.069 

  11. Lee, H. S.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goods utilizing traditional patterns: Focusing on Silla Golden Colle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12. Lee, J.-H., Kim, M.-J., & Lee, J.-M. (2005).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high-value-added cultural fashion produc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7), 968-977. 

  13. Lee, J. M. (2003). A study for the fashioned cultural goods development based on the local culture: With priority given to the cultural goods development applied by the butterfly character of Ham Pyu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4. Lim, S. S. (2011). A study on the revitalizing strategies of festival resources in Gangneung: Focus on the festivals in Octob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5. Liu, E. (2016). Research for the tourism development of Shanxi about the design of cultural tourism souveni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ongmyong University, Busan, Korea. 

  16.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2000). 공예문화상품 통계조사 및 현황분석 [Commodity survey and analysis of craft culture]. Seoul: Author. 

  17. Park, Y.-H. (200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ewelry design & culture tourism product on the subject of Hampyeong butterfly festiv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shin University, Jeollanam-do, Korea. 

  18. Po, M. O. (2014).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a local festival on vistor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Focused on Gangneung Danoje Festiv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won-do, Korea. 

  19. Seo, J. M. (2012).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local festival image he visitor'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Focused on Gangneung Coffee Festiv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won-do, Korea. 

  20. Shim, E. S. (2005). A study on the facilitating plans for regional culture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1. Sim, Y.-S. (2000). 주류산업과 문화상품 [Liquor industry and cultural product]. 주류산업 [Liquor Industry], 20(3), 53-59. 

  22. Song, M. J. (2012). A development of fashion cultural goods design web contents applying Gaya rel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Gyeongsangnam-do, Korea. 

  23. Yeon, J.-W. (2010).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for the global marketing of Gangneung Danoje Festiv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