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기 뇌경색의 위험인자와 NIH stroke scale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Risk Factors of Acute Brain Infarction And NIH stroke scal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5 no.3, 2011년, pp.573 - 581  

김도경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정현윤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손호영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재욱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이영준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최상옥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경민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영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권정남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임상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risk factors between controls group and acute brain infarction patients group, and to compare high risk group with low risk group through NIHSS(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We compared the risk factors between acute brain infarction patients group(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급성기 뇌경색군과 대조군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고혈압, 당뇨,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호모시스테인, 비만 등 뇌경색의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그 후 급성기 뇌경색군 내에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나누어, 입원 당시 NIH stroke scale과 한방 입원 치료 3주 후 NIH stroke scale의 호전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NIHss와 연관된 뇌경색의 위험인자와 예후예측인자로서의 가능성 및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발병 2주 이내의 급성기 뇌경색 환자와 대조군을 비교분석한 후, 급성기 뇌경색군 내에서 신경학적 손상의 정도를 파악하는 데 지표가 되는 NIHss를 통하여 위험인자에 따른 입원 당시 scale과 한방 입원 치료 3주 후 호전도의 비교분석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 이에 저자는 먼저 뇌경색의 유의한 위험인자를 연구하고, 그 위험인자가 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초기 신경학적인 손상에 끼치는 영향을 객관적으로 파악하여 위험인자의 예방 및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초기 신경학적 손상 정도에 대한 분석에 집중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한의학적 치료 후 뇌경색의 위험인자에 따른 호전도를 객관적으로 비교하여 기능 회복에 영향을 끼치는 위험인자에 대한 선행 관리의 중요성을 재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 이상의 결과를 통해 기존의 연구들에 의해 뇌경색 위험인자들로 알려진 요인들을 재차 확인하고, 위험인자에 따른 신경학적 손상의 정도 및 호전도를 객관적,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입원 당시 NIHss의 평균이 고위험군에서 높고, 호전도가 고위험군에서 낮을 경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뇌경색을 예방하거나, 뇌경색이 발생 시 초기 신경 손상을 낮추고 호전도를 높이기 위하여 위험인자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중풍은 치명률이 높고 사망하지 않더라도 심각한 후유 장애를 남김으로써 사회생활로의 복귀가 어려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히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질환이며, 발병 후에는 증상의 악화와 후유 장애를 최소화하는데 그 목표를 둔다. 따라서 유의한 위험인자를 파악하고 선행 질환에 대해 관리하는 것이 중요시되고 있다.

가설 설정

  • 01. 1st : 입원 당시 NIHss 측정 점수. after 3wks : 입원 3주 후 NIHss 측정 점수.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년 기준 국내3대 사망 원인은? 통계청에 따르면 2009년 총 사망자 24만6천7백 명 중에서3대 사망 원인(암,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전체 사망자의 47.8%를 차지하였고1), 이 중 뇌혈관 질환은 악성신생물에 이어 국내 사망률 원인 2위이다.
중풍을 일으키는 위험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중풍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위험인자들이 작용하여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절이 불가능한 위험인자에는 나이, 성별, 민족, 유전 등이 있으며, 예방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조절이 가능한 위험인자에는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 심방세동, 흡연, 과음, 비만, 무증상의 경동맥협착증 등이 있다10).
NIHss의 장점은? NIHss는 운동성의 평가에 치중하지 않으며. 후순환계 경색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이 있어 다른 뇌졸중 점수화 검사보다 임상 증상을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초기 NIHss는 예후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탁월한 민감도와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검사자 간 신뢰도가 높아 널리 사용되며, 후향적 조사를 통한 임상연구에도 가장 적합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6,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통계청. 통계 정보시스템 사망원인 통계 메타 DB. http://www.kosis.kr 

  2. Warlow, C., Sudlow, C., Dennis, M., Wardlaw, J., Sanderock, P. Stroke. The Lancet. 362: 1211-1224, 2003. 

  3. 용형순, 고성규. 뇌졸중 환자 96례에 대한 임상적고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1):85-96, 1998. 

  4. 정한영, 권희규, 오정희. 뇌졸중환자의 재활치료시점에서의 평가와 기능적 회복에 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5(4):398-404, 1991. 

  5. 권도익, 고창남,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이경섭. 한방 병원 심계내과 입원환자에 대한 임상연구. 경희의학. 12(2):200-213, 1996. 

  6. 김종득, 김영균, 김종원, 사은희, 민성순, 홍수현, 이상희, 김재규, 권정남. 급성기 허혈성 뇌중풍 환자의 한방치료와 한양방협진치료의 임상적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1(2):543-547, 2007. 

  7. 이상호, 김성수, 신현대. 한글판 NIH stroke scale의 신뢰도 평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11(3):1-12, 2001. 

  8. 김미영, 최원우, 박수경, 임정태, 박성욱, 정우상, 조기호. 급성기 중풍환자의 위험요인, 경고증상, 전조 증상 및 설진, 맥상, 변증과 NIHSS의 관련성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0(4):708-718, 2009. 

  9. 마미진, 강아미, 최동준, 한창호, 이원철, 전찬용, 조기호, 최선미. 초기 중풍 환자에 있어서 脈象과 NIHSS과의 상관성 연구 : 다기관 임상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8(4):727-732, 2007. 

  10.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제2내과학교실. 오늘의 한방중풍치료. 서울, 서원당, pp 15-20, 2004. 

  11. 손연희, 정현윤, 김도경, 이재왕, 김영균, 권정남, 신철경, 박선미. 환자-대조군연구를 통한 뇌경색 위험인자에 대한 통계적 고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3(5):1199-1205, 2009. 

  12. 김영지, 김미영, 이승엽, 최원우, 박주영, 권승원, 정우상, 문상관, 조기호, 김영석, 박성욱, 박정미, 고창남, 배형섭, 나병조. 한방병원에 입원한 뇌경색 환자의 기능회복과 관련된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30(4):719-731, 2009. 

  13. 고성규, 고창남,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이경섭. 뇌졸중환자의 기능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17(1):48-83, 1996. 

  14. Goldstein, L.B., Bertels, C., Davis, J.N.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NIH Stroke Scale. Arch Neurol. 46: 660-662, 1989. 

  15. Muir, K.W., Weir, C.J., Murray, G.D., Povey, C., Lees, K.R. Comparison of Neurological Scales and Scoring Systems for Acute Stroke Prognosis. Stroke. 27: 1817-1820, 1996. 

  16. Adams, H.P., Davis, P.H., Leira, E.C., Chang, K.C., Bendixen, B.H., Clarke, W.R., Woolson, R.F., Hansen, M.D. Baseline NIH Stroke Scale Score strongly predicts outcome after stroke:A Report of the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TOAST). Neurology. 53(1):126-131, 1999. 

  17. Goldstein, L.B., Samsa, G.P. Reliabilit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Stroke Scale:Extension to Non-Neurogists in the Context of the Clinical Trial. Stroke. 28(2):307-310, 1997. 

  18.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JNC).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2003. 

  19.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Report of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s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0: 1183-1197, 1997. 

  20. 이원로. 임상심장학. 서울, 고려의학, p 748, 1998. 

  21. 김용재. 대사증후군과 뇌졸중. 대한신경과학회지 23(5):585-594, 2005. 

  22. Spence, J.D.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How low should plasma homocysteine level go? Am J Cardiovasc Drugs. 1(2):85-89, 2001. 

  23.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 교실. 한방순환신경내과학. 군자출판사, pp 404-408, 2010. 

  24. 심동석, 박성경, 김중석, 유지연, 김범수, 정소령, 이광수, 김영인. 정상 성인에서 무증상 뇌경색의 유병률과 위험인자. 대한신경과학회지 23(3):303-306, 2005. 

  25. 신건민, 이동국, 이상도, 서정규, 박영춘. 뇌졸중의 위험인자에 관한 조사. 대한신경과학회지 6(2):218-227, 1988. 

  26. 위봉애, 한문강, 전종훈, 임민자, 정진상, 강군옥. 뇌혈전증 환자에서의 혈청 지질에 대한 조사. 대한신경과학회지 7(2):258-265, 1989. 

  27. Juan, P.B., Mariano, S., Xavier, N., Juan, R.P., Jaume, R., Luis, D. Lipoprotein and apolipoprotein profile in men with ischemic stroke. Stroke. 23(11):1556-1562, 1992. 

  28. 박영배, 이영우, 이성호. 정상인 및 각종질환에서의 혈청지질에 관한 연구: HDL Cholesterol을 중심으로. 순환기. 11(1):55-68, 1981. 

  29. Brown, G., Albers, J.J., Fisher, L.D., Schaefer, S.M., Lin, J.T., Kaplan, C., Zhao, X.Q., Bisson, B.D., Fitzpatrick, V.F., Dodge, H.T. Regress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as a result of intensive lipid-lowering therapy in men with high levels of apolipoprotein B. N Engl J Med. 323(19):1289-1298, 1990. 

  30. Adunsky, A., Weitzman, A., Fleissig, Y., Levenkrohn, L., Arad, M., Doolman, R., Gavendo, S., Sela, B.A. The relation of plasma total homocysteine levels to prevalent cardiovascular disease in older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ging(Milano). 12(1):48-52, 2000. 

  31. 정우정, 송선홍, 최경호, 하상배. 뇌졸중 환자에서 혈중지질농도의 변화. 대한재활의학회지 24: 416-422, 2000. 

  32. Sacks, F.M., Pfeffer, M.A., Moye, L.A., Rouleau, J.L., Rutherford, J.D., Cole, T.G., Brown, L., Warnica, J.W., Amold, J.M., Wun, C.C., Davis, B.R., Brounwald, E. The effect of pravastatin on coronary event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with average cholesterol levels. N Engl J Med. 335: 1001-1009, 1996. 

  33. Iso, H., Jacobs, D.R.JR., Wentworth, D., Neaton, J.D., Cohen, J.D. for the MRFIT Research Group.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six-year mortality from stroke in 35,977 men screened for the multiple risk factor intervention trial. N Engl J Med. 320: 904-910, 1989. 

  34. Miller, G.J., Miller, N.E. Plasma-high-density lipoprotein concentration and development of ischemic heart disease. Lancet. 1: 16-19, 1975. 

  35. 부송아, 고성규, 정용수, 박경훈. 뇌졸중의 위험요인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과거 병력, 생활습관, 혈청지질 및 비만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2(3):423-430, 2001. 

  36. 許浚. 對譯東醫寶鑑. 서울, 법인문화사, p 946, 2003. 

  37. Gary Friday., Milton Alter., Sue-Min Lai. Control of Hypertension and Risk of Stroke Recurrence. Stroke. 33:2652-2657, 2002. 

  38. 박종구, 김기순, 이태용, 이덕희, 고광욱, 이강숙, 지선하, 서일, 류소연, 박기호, 김춘배. 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요인 구명을 위한 코호트내 환자-대조군연구. 예방의학회지 34(2):157-165, 2001. 

  39. Weinberger, J., Biscarra, V., Weisberg, M.K., Jacobson, J.H. Factors contributing to stroke in patients with atherosclerotic disease of great vessels. The role of diabetes. Stroke. 14: 709, 1983. 

  40. 정원영, 임건한, 오형균, 이승헌, 나정균. 급성 허혈성 뇌졸중의 장기 예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대한신경과학회지 13(4):806-814, 1995. 

  41. Roth, E.J. Heart disease in patients with stroke:incidence, impact, and implications for rehabilitation. Part 1:classification and prevalence. Arch Phys Med Rehabil. 74:752-760, 1993. 

  42. 李 果. 東垣十種醫書. 서울, 대성문화사, pp 635-636, 1983. 

  43. Willmot, M., Leonardi-Bee, J., Bath, P.M. High blood pressure in acute stroke and subsequent outcome:a systemic review. Hypertension. 43: 18-24, 2004. 

  44. 노진환, 최동준, 문상관,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이경섭. 한방병원에 입원한 중풍환자의 기능 회복도 평가. 한방성인병학회지 5(1):40-49, 1999. 

  45. Solzi, J., Ring, H., Najenson, T., Luz, Y. Hemiplegics after a first stroke: Late survival and risk factors. Stroke. 14: 702, 1983. 

  46. Lincoln, N.B., Jackson, J.M., Edmans, J.A., Walker, M.F., Farrow, V.M., Latham, A., Coombes, K. The accuracy predictions about progress of patients on a stroke uni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53: 972-975, 1990. 

  47. Ferrucci, L., Bandinelli, S., Guralnik, J.M., Lamponi, M., Bertini, C., Falchini, M., Baroni, A. Recovery of functional status after stroke a postrehabilitation follow up study. Stroke. 24: 200-205, 1993. 

  48. 노진환, 최동준, 문상관, 조기호, 김영석, 배형섭. 한방병원에 입원한 중풍환자의 기능 회복도 평가:MBI와 NIH Stroke Scale을 이용. 한방성인병학회지 5(1):40-49,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