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미설프라이드로 유발된 고프로락틴혈증: 예비 연구
Amisulpride-Induced Hyperprolactinemia: Preliminary Study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19 no.1, 2011년, pp.41 - 47  

이정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박영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이승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  강승걸 (대구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이분희 (카프병원) ,  박은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고프로락틴혈증은 항정신병약물로 인한 흔한 부작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임상가들의 관심은 적은 편이다. 왜냐하면 고프로락틴혈증으로 인한 부작용의 심각성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아미설프라이드로 인한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에서의 아미설프라이드로 인한 프로락틴 수치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의 외래와 입원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미설프라이드 사용 전후의 프로락틴 수치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아미설프라이드 용량, 투약 기간과 프로락틴 수치 변화율과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아미설프라이드를 투여한 모든 환자에서 고프로락틴혈증이 발생하였다. 아미설프라이드 투여 후의 프로락틴 수치는 투여 전 보다 유의하게 상승하였다(z=-3.702, p=0.000). 아미설프라이드 용량과 프로락틴 상승의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61, p=0.002), 아미설프라이드 투여 기간과 프로락틴 상승의 정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아미설프라이드 용량과 프로락틴 수치 변화율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아미설프라이드를 포함한 항정신병약물은 프로락틴 수치를 증가시켜 장 단기간의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미설프라이드를 사용하는 임상의는 프로락틴 수치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야 하며 고프로락틴혈증과 관련된 부작용을 평가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Hyperprolactinemia is common side effect associated with antipsychotics use. Nevertheless, hyperprolactinemia is relatively neglected by clinician. Especially, there is no study related to amisulprideinduced hyperprolactinemia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amisulpride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미설프라이드 투여와 이와 관련된 고프로락틴혈증 유발 가능성에 대한 최초의 연구이다. 아미 설프라이드와 같이 고프로락틴혈증을 잘 일으키는 항정신병약물 투여 전후 에 프로락틴 수치를 측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의무기록 검토를 통하여 한국인에서 아미설프라이드로 인한 고프로락틴혈증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미설프라이드 사용 전후의 프로락틴 수치의 변화, 아미설프라이드 용량, 투약 기간과 프로락틴 수치와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일산백병원 신경정신과에서 외래 및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 중 아미설프라이드를 투여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이다. 아미설프라이드와 전형항정신병 약물을 비교한 메타분석에서 아미설프라이드는 전반적 정신분열 증상, 음성 증상 모두에서 우월한 효능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정신병약물 부작용인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임상가들의 관심은 적은 편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임상가들의 관심은 적은 편이다. 왜냐하면 고프로락틴혈증으로 인한 부작용의 심각성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아미설프라이드로 인한 고프로락틴혈증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은 어떤 질환에 사용되는가? 최근에 도입된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은 정신분열병, 분열정동장애, 양극성장애, 치료저항성 우울증, 강박증, 틱장애 등의 신경정신과 질환에서 사용되며 전형 항정신병약물을 빠른 속도로 대체하고 있다.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은 전형 항정신병 약물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왔다.
고프로락틴혈증이 야기하는 증상은 무엇이 있는가? 하지만 고프로락틴혈증의 경우 리스페리돈과 아미설프라이드와 같은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 사용이 전형 항정신병약물에 비해 이득이 없으며1) 이러한 고프로락틴혈증은 환자에게 심각한 위해를 줄 수 있다는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다.2,3) 고프로락틴혈증은 단기적으로는 여성형 유방, 유루증, 성기능 장애, 월경불순, 다모증을 발생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체중증가, 골다공증, 심지어 종양과의 연관성도 제시되고 있는 상황이다.2,3) 하지만 현재까지도 항정신병약물 투여시 프로락틴 호르몬 측정이 개별적 임상가들의 판단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어 정기적 프로락틴 호르몬 측정이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nniland C, Taylor D. Tolerability of atypical antipsychotics. Drug Saf 2000;22:195-214. 

  2. Johnsen E, Kroken RA, Abaza M, Olberg H, Jorgensen HA. Antipsychotic-induced hyperprolactinemia: a cross-sectional survey. J Clin Psychopharmacol 2008;28:686-690. 

  3. Maguire GA. Prolactin elevation with antipsychotic medications: mechanisms of action and clinical consequences. J Clin Psychiatry 2002;63:56-62. 

  4. Citrome L. Current guidelines and their recommendations for prolactin monitoring in psychosis. J Psychopharmacol 2008;22: 90-97. 

  5. McKeage K, Plosker GL. Amisulpride: a review of its use in the management of schizophrenia. CNS Drugs 2004;18:933-956. 

  6. Madhusoodanan S, Parida S, Jimenez C. Hyperprolactinemia associated with psychotropics-a review. Hum Psychopharmacol 2010;25:281-297. 

  7. Schlosser R, Grunder G, Anghelescu I, Hillert A, Ewald- Grunder S, Hiemke C, Benkert O. Long-term effects of the substituted benzamide derivative amisulpride on baseline and stimulated prolactin levels. Neuropsychobiol 2002;46:33-40. 

  8. Kopecek M, Bares M, Svarc J, Dockery C, Horacek J. Hyperprolactinemia after low dose of amisulpride. Neuro Endocrinol Lett 2004;25:419-422. 

  9. Raj R, Sidhu BS. Hyperprolactinaemia with amisulpride. Indian J Psychiatry 2008;50:54-56. 

  10. Lin KM, Poland RE, Lau JK, Rubin RT. Haloperidol and prolactin concentrations in Asians and Caucasians. J Clin Psychopharmacol 1988;8:195-201. 

  11. Leucht S, Corves C, Arbter D, Engel RR, Li C, Davis JM. Second-generation versus first-generation antipsychotic drugs for schizophrenia: a meta-analysis. Lancet 2009;373:31-41. 

  12. la Fougere C, Meisenzahl E, Schmitt G, Stauss J, Frodl T, Tatsch K, Hahn K, Moller HJ, Dresel S. D2 receptor occupancy during high- and low-dose therapy with the atypical antipsychotic amisulpride: a 123I-iodobenzamide SPECT study. J Nucl Med 2005;46:1028-1033. 

  13. Torre DL, Falorni A. Pharmacological causes of hyperprolactinemia. Ther Clin Risk Manag 2007;3:929-951. 

  14. Leucht S, Pitschel-Walz G, Engel RR, Kissling W. Amisulpride, an unusual "atypical" antipsychotic: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Psychiatry 2002;159:180-190. 

  15. Sechter D, Peuskens J, Fleurot O, Rein W, Lecrubier Y. Amisulpride vs. risperidone in chronic schizophrenia: results of a 6-month double-blind study. Neuropsychopharmacol 2002;27: 1071-1081. 

  16. Mortimer A, Martin S, Loo H, Peuskens J. A double-blind, randomized comparative trial of amisulpride versus olanzapine for 6 months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Int Clin Psychopharmacol 2004;19:63-69. 

  17. Eberhard J, Lindstrom E, Holstad M, Levander S. Prolactin level during 5 years of risperidone treatment in patients with psychotic disorders. Acta Psychiatr Scand 2007;115:268-276. 

  18. Peveler RC, Branford D, Citrome L, Fitzgerald P, Harvey PW, Holt RI, Howard L, Kohen D, Jones I, O'Keane V, Pariente CM, Pendlebury J, Smith SM, Yeomans D. Antipsychotics and hyperprolactinemia: clinical recommendations. J Psychopharmacol 2008;22:98-103. 

  19. Serri O, Chik CL, Ur E, Ezzat S. Diagnosis and management of hyperprolactinemia. CMAJ 2003;169:575-581. 

  20. Akkaya C, Kaya B, Kotan Z, Sarandol A, Ersoy C, Kirli S. Hyperprolactinemia and possibly related development of prolactinoma during amisulpride treatment; three cases. J Psychopharmacol 2009;23:723-726. 

  21. Paparrigopoulos T, Liappas J, Tzavellas E, Mourikis I, Soldatos C. Amisulpride-induced hyperprolactinemia is reversible following discontinuation.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7;31:92-96. 

  22. Fric M, Laux G. Prolactin Levels and Symptoms of Hyperprolactinemia in Patients Treated with Amisulpride, Risperidone, Olanzapine and Quetiapine. Psychiatr Prax 2003;30:97-101. 

  23. Volavka J, Czobor P, Cooper TB, Sheitman B, Lindenmayer JP, Citrome L, McEvoy JP, Lieberman JA. Prolactin levels in schizophrenia and schizoaffective disorder patients treated with clozapine, olanzapine, risperidone, or haloperidol. J Clin Psychiatry 2004;65:57-61. 

  24. Karagianis JL, Baksh A. High-dose olanzapine and prolactin levels. J Clin Psychiatry 2003;64:1192-1194. 

  25. Stevens JR, Kymissis PI, Baker AJ. Elevated prolactin levels in male youths treated with risperidone and quetiapine. J Child Adolesc Psychopharmacol 2005;15:893-900. 

  26. Findling RL, Kusumakar V, Daneman D, Moshang T, De Smedt G, Binder C. Prolactin levels during long-term risperidone treatment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Clin Psychiatry 2003;64:1362-1369. 

  27. Migliardi G, Spina E, D'Arrigo C, Gagliano A, Germano E, Siracusano R, Diaz FJ, de Leon J. Short- and long-term effects on prolactin of risperidone and olanzapine treatment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9;33:1496-1501. 

  28. Coker F, Taylor D. Antidepressant-induced hyperprolactinaemia: incidence, mechanisms and management. CNS Drugs 2010;24:563-574. 

  29. Marken PA, Haykal RF, Fisher JN. Management of psychotropic-induced hyperprolactinemia. Clin Pharm 1992;11:851-8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