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rs6280 and rs905568 genetic polymorphism of DRD3 gene and the treatment response of amisulpride. Methods After six weeks treatment of amisulpride, 125 schizophrenia patients were interviewed based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S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DRD3 유전자 rs6280과 rs905568의 유전자다형성과 아미설프라이드의 치료반응의 연관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미설프라이드란? 아미설프라이드는 benzamide계 비전형항정신병약물로서 도파민 D2/D3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길항제이다. 종전 보고된 연구들에 따르면 아미설프라이드는 조현병의 급성 정신병적 삽화를 호전시키는 데 있어서 할로페리돌보다 효과적이고 올란자핀과 리스페리돈과는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
종전 보고된 연구들에 따르면 아미설프라이드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있는가? 아미설프라이드는 benzamide계 비전형항정신병약물로서 도파민 D2/D3 수용체에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길항제이다. 종전 보고된 연구들에 따르면 아미설프라이드는 조현병의 급성 정신병적 삽화를 호전시키는 데 있어서 할로페리돌보다 효과적이고 올란자핀과 리스페리돈과는 유사한 효능을 보였다.1-4)국제적으로 항정신병약물의 효능과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EUFEST 연구에서도 아미설프라이드는 가장 효과적이고 유용한 항정신병약물 중 하나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아미설프라이드의 치료반응과 DRD3 유전자다형성에 대한 본 연구의 제한점은? 본 연구는 약물유전체연구로는 다소 대상자가 적은 편으로 위양성과 위음성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가진다. 그러나, 한국인 조현병환자에서 아미설프라이드의 치료반응과 DRD3 유전자다형성에 대한 최초의 연관연구로서 의미를 지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Moller HJ, Boyer P, Fleurot O, Rein W. Improvement of acute exacerbations of schizophrenia with amisulpride: a comparison with haloperidol. PROD-ASLP Study Group. Psychopharmacology (Berl) 1997; 132:396-401. 

  2. Puech A, Fleurot O, Rein W. Amisulpride, and atypical antipsychotic, in the treatment of acute episodes of schizophrenia: a dose-ranging study vs. haloperidol. The Amisulpride Study Group. Acta Psychiatr Scand 1998;98:65-72. 

  3. Mortimer A, Martin S, LOo H, Peuskens J; SOLIANOL Sudy Group. A double-blind, randomized comparative trial of amisulpride versus olanzapine for 6 months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Int Clin Psychopharmacol 2004;19:63-69. 

  4. Peuskens J, Bech P, MOller HJ, Bale R, Fleurot O, Rein W. Amisul- pride vs.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acute exacerbations of schizophrenia. Amisulpride study group. Psychiatry Res 1999;88:107- 117. 

  5. Kahn RS, Fleischhacker WW, Boter H, Davidson M, Vergouwe Y, Keet IP, et al. Effectiveness of antipsychotic drugs in first-episode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an open randomised clinical trial. Lancet 2008;371:1085-1097. 

  6. Leucht S, Pitschel-Walz G, Engel RR, Kissling W. Amisulpride, an unusual "atypical" antipsychotic: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Psychiatry 2002;159:180-190. 

  7. Colonna L, Saleem P, Dondey-Nouvel L, Rein W. Long-term safety and efficacy of amisulpride in subchronic or chronic schizophrenia. Amisulpride Study Group. Int Clin Psychopharmacol 2000;15:13-22. 

  8. Sokoloff P, Giros B, Martres MP, Bouthenet ML, Schwartz JC.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dopamine receptor (D3) as a target for neuroleptics. Nature 1990;347:146-151. 

  9. Sokoloff P, Martres MP, Giros B, Bouthenet ML, Schwartz JC. The third dopamine receptor (D3) as a novel target for antipsychotics. Biochem Pharmacol 1992;43:659-666. 

  10. Jeanneteau F, Funalot B, Jankovic J, Deng H, Lagarde JP, Lucotte G, et al. A functional variant of the dopamine D3 receptor is associated with risk and age-at-onset of essential tremor. Proc Natl Acad Sci U S A 2006;103:10753-10758. 

  11. Jonsson EG, Flyckt L, Burgert E, Crocq MA, Forslund K, Mattila-Evenden M, et al. Dopamine D3 receptor gene Ser9Gly variant and schizophrenia: association study and meta-analysis. Psychiatr Genet 2003;13:1-12. 

  12. Hwang R, Zai C, Tiwari A, Muller DJ, Arranz MJ, Morris AG, et al. Effect of dopamine D3 receptor gene polymorphisms and clozapine treatment response: exploratory analysis of nine polymorphisms and meta-analysis of the Ser9Gly variant. Pharmacogenomics J 2010;10: 200-218. 

  13. Zai CC, Tiwari AK, De Luca V, Muller DJ, Bulgin N, Hwang R, et al. Genetic study of BDNF, DRD3, and their interaction in tardive dyskinesia. Eur Neuropsychopharmacol 2009;19:317-328.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urth Edition Text-Revisio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Inc.;2000. 

  15. Guy W. ECDEU Assessment Manual for Psychopharmacology. Rockville, MD: US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and Welfare, Public Health Service, Alcohol, Drug Abuse, and Mental Health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Psychopharmacology Research Branch, Division of Extramural Research Programs; 1976. 

  16. Kay SR, Fiszbein A, Opler LA.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PANSS) for schizophrenia. Schizophr Bull 1987;13:261-276. 

  17. Joyce JN, Millan MJ. Dopamine D3 receptor antagonists as therapeutic agents. Drug Discov Today 2005;10:917-925. 

  18. Lane HY, Hsu SK, Liu YC, Chang YC, Huang CH, Chang WH. Dopamine D3 receptor Ser9Gly polymorphism and risperidone response. J Clin Psychopharmacol 2005;25:6-11. 

  19. Lundstrom K, Turpin MP. Proposed schizophrenia-related gene polymorphism: expression of the Ser9Gly mutant human dopamine D3 receptor with the Semliki Forest virus system. Biochem Biophys Res Commun 1996;225:1068-1072. 

  20. Shaikh S, Collier DA, Sham PC, Ball D, Aitchison K, Vallada H, et al. Allelic association between a Ser-9-Gly polymorphism in the dopamine D3 receptor gene and schizophrenia. Hum Genet 1996;97:714- 719. 

  21. Xuan J, Zhao X, He G, Yu L, Wang L, Tang W, et al. Effects of the dopamine D3 receptor (DRD3) gene polymorphisms on risperidone response: a pharmacogenetic study. Neuropsychopharmacology 2008; 33:305-311. 

  22. Kim B, Choi EY, Kim CY, Song K, Joo YH. Could HTR2A T102C and DRD3 Ser9Gly predict clinical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acutely exacerbated schizophrenia? Results from treatment responses to risperidone in a naturalistic setting. Hum Psychopharmacol 2008; 23:61-67. 

  23. Chen SF, Shen YC, Chen CH. Effects of the DRD3 Ser9Gly polymorphism on aripiprazole efficacy in schizophrenic patients as modified by clinical factors.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09;33:470-474. 

  24. Kim HC, Jung SW, Kim D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ntipsychotics- induced weight gain and the dopamine D2, D3, and D4 receptor gene polymorphisms in Korean. Korean J Psychopharmacol 2007;18:299-3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